4. 버려야 하는 법
4. 버려야 하는 법
어떤 한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나는 있다는 자기화. 이 한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두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무명(無明)과 유애(有愛). 이 두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세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세 가지 애(愛) ― 욕애(慾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 이 세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네 가지 폭류 ― 「소유의 폭류, 존재의 폭류, 견해의 폭류, 무명의 폭류」 이 네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다섯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다섯 가지 장애 ― 「소유의 관심의 장애, 진에(瞋恚)의 장애, 해태-혼침의 장애, 들뜸-후회의 장애, 의심의 장애」 이 다섯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여섯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여섯 가지 애(愛)의 무리 ― 「색애(色愛), 성애(聲愛), 향애(香愛), 미애(味愛), 촉애(觸愛), 법애(法愛)」 이 여섯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일곱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일곱 가지 잠재성향 ― 「욕탐(慾貪)의 잠재성향, 저항의 잠재성향, 견해의 잠재성향, 의심의 잠재성향, 자기화의 잠재성향, 유탐(有貪)의 잠재성향, 무명(無明)의 잠재성향」 이 일곱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여덟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여덟 가지 삿됨 ― 「삿된 견해, 삿된 사유, 삿된 말, 삿된 행위, 삿된 생활, 삿된 정진, 삿된 사띠, 삿된 삼매」 이 여덟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아홉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애(愛)를 뿌리로 하는 아홉 가지 법들 ― 「애(愛)를 연(緣)하여 조사가 있다. 조사를 연(緣)하여 습득이 있다. 습득을 연(緣)하여 차별이 있다. 차별을 연(緣)하여 욕탐(欲貪)이 있다. 욕탐을 연(緣)하여 묶임이 있다. 묶임을 연(緣)하여 잡음이 있다. 잡음을 연(緣)하여 인색이 있다. 인색을 연(緣)하여 보호가 있다. 보호를 위해 몽둥이를 들고 칼을 들고, 싸우고, 다투고, 분쟁하고, 서로서로 이간하고, 거짓말하는 여러 가지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이 생겨난다.」 이 아홉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열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열 가지 삿됨 ― 「삿된 견해, 삿된 사유, 삿된 말, 삿된 행위, 삿된 생활, 삿된 정진, 삿된 사띠, 삿된 삼매, 삿된 앎, 삿된 해탈」 이 열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