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제1권 (SN 1.58-잘못된 길 경)[범행을 닦는 자의 더러움 & 물 없는 목욕](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
▣ 상윳따 니까야 제1권 (SN 1.58-잘못된 길 경)[범행을 닦는 자의 더러움 & 물 없는 목욕](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1230)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qAje0paI98
(SN 1.58-잘못된 길 경)은 법의 걸음의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 법의 걸음 = 불간탐(不慳貪)-부진에(不瞋恚)-정념(正念)-정정(正定)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355
네 가지의 개념을 문답하는데, ①잘못된 길은 탐(貪)이어서 비법의 걸음을 이끌고, ②밤낮으로 부서지는 것을 무너짐이라고 합니다. ③범행을 닦는 자의 더러움은 이성이고 여기에 매달립니다. 또한, ④물 없는 목욕이 있는데,종교적 삶과 범행입니다.
이때, ③은 마음이 몸에 구속된 중생의 대표적 현상이 음행(淫行)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AN 1.1-10-모습 등 품)의 관점을 필요로 합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1_01&wr_id=1(comments의 연결 글들 참조)
④물 없는 목욕은 중요한 주제인데, (MN 7-옷감 경)에서 힌두교와 불교의 목욕의 차이를 설명하였습니다. ― 사람들의 동의에 의한 것(거짓)과 내적인 목욕(참)으로 목욕한 자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1_07&wr_id=3
또한, ‘목욕한 자’라는 말로 삶을 완성한 아라한을 지시하는 경들이 있는데,
• (MN 39-앗싸뿌라 큰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9&wr_id=3
• 갈망하지 않음으로 목욕한 부처 ― (MN 98-와셋타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0_08&wr_id=2
• 갈망하지 않음으로 목욕한 부처 ― 법구경, 바라문 품 게송(422)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3_13&wr_id=16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