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arahantasuttaṃ (SN 1.25-아라한 경)
3. sattivaggo, 5. arahantasuttaṃ (SN 1.25-아라한 경)
25.
“yo hoti bhikkhu arahaṃ katāvī,
khīṇāsavo antimadehadhārī.
ahaṃ vadāmītipi so vadeyya,
mamaṃ vadantītipi so vadeyyā”ti.
해야 할 일을 마쳐 마지막 몸을 지닌 번뇌 다한 아라한이
‘내가 말한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그들이 나에게 말한다.’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까?
“yo hoti bhikkhu arahaṃ katāvī,
khīṇāsavo antimadehadhārī.
ahaṃ vadāmītipi so vadeyya,
mamaṃ vadantītipi so vadeyya.
loke samaññaṃ kusalo viditvā,
vohāramattena so vohareyyā”ti.
해야 할 일을 마쳐 마지막 몸을 지닌 번뇌 다한 아라한도
‘내가 말한다.’라고 말할 수 있고, ‘그들이 나에게 말한다.’라고도 말할 수 있다.
유익을 가진 자는 세상에서 지시하는 이름을 알기 때문에
언어적인 삶만큼 말할 수 있다.
“yo hoti bhikkhu arahaṃ katāvī,
khīṇāsavo antimadehadhārī.
mānaṃ nu kho so upagamma bhikkhu,
ahaṃ vadāmītipi so vadeyya.
mamaṃ vadantītipi so vadeyyā”ti.
해야 할 일을 마쳐 마지막 몸을 지닌 번뇌 다한 아라한인 그 비구가
자기화 되어서 ‘내가 말한다.’라고 말하거나 ‘그들이 나에게 말한다.’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까?
“pahīnamānassa na santi ganthā,
vidhūpitā mānaganthassa sabbe.
sa vītivatto maññataṃ sumedho,
ahaṃ vadāmītipi so vadeyya.
“mamaṃ vadantītipi so vadeyya.
loke samaññaṃ kusalo viditvā.
vohāramattena so vohareyyā”ti.
자기화가 버려진 자에게는 매듭들이 없다.
자기화의 매듭이 완전히 풀렸다.
(유위의) 생각을 극복한 현자(賢者)인 그는
‘내가 말한다.’라고 말할 수 있고, ‘그들이 나에게 말한다.’라고도 말할 수 있다.
유익을 가진 자는 세상에서 지시하는 이름을 알기 때문에
언어적인 삶만큼 말할 수 있다.
• [vohāra] - 1.포괄적 의미에서의 삶, 2.제한적으로 지칭되는 언어적인 삶[표현] ☞ https://cafe.naver.com/happybupdang/10372
• ganthasuttaṃ (SN 45.175-매듭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01_14&wr_id=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