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upanisasuttaṃ (SN 12.23-기반 경)
3. dasabalavaggo, 3. upanisasuttaṃ (SN 12.23-기반 경)
• upanisā: cause; means; likeness. (f.)
알고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을 나는 말한다.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자에게가 아니다. 무엇을 알고 무엇을 보는 자에게 번뇌들의 부서짐이 있는가? ‘이렇게 색(色)이 있고, 이렇게 색(色)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색(色)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수(受)가 있고, 이렇게 수(受)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수(受)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상(想)이 있고, 이렇게 상(想)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상(想)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행(行)들이 있고, 이렇게 행(行)들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행(行)들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식(識)이 있고, 이렇게 식(識)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식(識)의 줄어듦이 있다.’라고, 비구들이여,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는 자에게 번뇌들이 부서진다.
“비구들이여, 부서짐에서 부서짐에 대한 앎은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부서짐에 대한 앎의 기반은 무엇인가? 해탈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해탈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해탈의 기반은 무엇인가? 이탐(離貪)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탐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이탐의 기반은 무엇인가? 염오(厭惡)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염오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염오의 기반은 무엇인가? 여실지견(如實知見)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여실지견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여실지견의 기반은 무엇인가? 삼매(三昧)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삼매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삼매의 기반은 무엇인가? 행복[락(樂)]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행복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행복의 기반은 무엇인가? 진정[경안(輕安)]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진정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진정의 기반은 무엇인가? 기쁨[희열(喜悅)]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기쁨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기쁨의 기반은 무엇인가? 환희(歡喜)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환희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환희의 기반은 무엇인가? 믿음[신(信)]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믿음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믿음의 기반은 무엇인가? 괴로움[고(苦)]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괴로움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괴로움의 기반은 무엇인가? 태어남[생(生)]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태어남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태어남의 기반은 무엇인가? 존재[유(有)]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존재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존재의 기반은 무엇인가? 집착[취(取)]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집착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집착의 기반은 무엇인가? 갈애[애(愛)]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갈애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갈애의 기반은 무엇인가? 느낌/경험[수(受)]이라고 말해야 한다. … 촉(觸)이라고 말해야 한다. … 육입(六入)이라고 말해야 한다. … 명색(名色)이라고 말해야 한다. … 식(識)이라고 말해야 한다. … 행(行)이라고 말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행(行)도 기반이 있다고 나는 말한다. 기반이 없는 것이 아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행의 기반은 무엇인가? 무명(無明)이라고 말해야 한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무명을 기반으로 행들이, 행들을 기반으로 식이, 식을 기반으로 명색이, 명색을 기반으로 육입이, 육입을 기반으로 촉이, 촉을 기반으로 수가, 수를 기반으로 애가, 애를 기반으로 취가, 취를 기반으로 유가, 유를 기반으로 생이, 생을 기반으로 고가, 고를 기반으로 신이, 신을 기반으로 환희가, 환희를 기반으로 희열이, 희열을 기반으로 진정이, 진정을 기반으로 즐거움이, 즐거움을 기반으로 삼매가, 삼매를 기반으로 여실지견이, 여실지견을 기반으로 염오가, 염오를 기반으로 이탐이, 이탐을 기반으로 해탈이, 해탈을 기반으로 부서짐에 대한 앎이 있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산 위에 큰 비가 내리면 경사진 곳을 따라 빗물이 흘러내려서 산의 협곡과 계곡과 지류를 채운다. 협곡과 계곡과 지류들을 채우면 다시 작은 연못을 채운다. 작은 연못을 채우면 다시 큰 연못을 채운다. 큰 연못을 채우면 다시 작은 강을 채운다. 작은 강을 채우면 다시 큰 강을 채운다. 큰 강을 채우면 큰 바다를 채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무명을 기반으로 행들이, 행들을 기반으로 식이, 식을 기반으로 명색이, 명색을 기반으로 육입이, 육입을 기반으로 촉이, 촉을 기반으로 수가, 수를 기반으로 애가, 애를 기반으로 취가, 취를 기반으로 유가, 유를 기반으로 생이, 생을 기반으로 고가, 고를 기반으로 신이, 신을 기반으로 환희가, 환희를 기반으로 희열이, 희열을 기반으로 진정이, 진정을 기반으로 즐거움이, 즐거움을 기반으로 삼매가, 삼매를 기반으로 여실지견이, 여실지견을 기반으로 염오가, 염오를 기반으로 이탐이, 이탐을 기반으로 해탈이, 해탈을 기반으로 부서짐에 대한 앎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