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16.kassapa
9. jhānābhiññasuttaṃ (SN 16.9-선(禪)과 실다운 지혜 경) [구차제정과 육신통]
kassapasaṃyuttaṃ, 9. jhānābhiññasuttaṃ (SN 16.9-선(禪)과 실다운 지혜 경)
sāvatthiyaṃ viharati ... pe ...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사왓티에 머물다. …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소유의 삶에서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에서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소유의 삶에서 벗어나고, 불선법(不善法)들에서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初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 pe ...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위딱까와 위짜라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위딱까도 없고 위짜라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위딱까와 위짜라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위딱까도 없고 위짜라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제이선(第二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āmi sato ca sampajāno sukhañca kāyena paṭisaṃvedemi, yaṃ taṃ ariyā ācikkhanti —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ati sato ca sampajāno, sukhañca kāyena paṭisaṃvedeti, yaṃ taṃ ariyā ācikkhanti —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기쁨의 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와 바른 앎을 가지고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면서, 성인들이 '평정을 가진 자, 사띠를 가진 자, 즐거움에 머무는 자[사념락주(捨念樂住)].'라고 말하는 제삼선(第三禪)(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기쁨의 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와 바른 앎을 가지고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면서, 성인들이 '평정을 가진 자, 사띠를 가진 자, 즐거움에 머무는 자[사념락주(捨念樂住)].'라고 말하는 제삼선(第三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sukhassa ca pahānā dukkhassa ca pahān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ṃ atthaṅgamā adukkhamasukhaṃ upekkhāsatipārisuddhi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sukhassa ca pahānā ... pe ...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줄어듦으로부터, 괴로움도 즐거움도 없고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줄어듦으로부터, 괴로움도 즐거움도 없고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sabbaso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ṃ atthaṅgamā nānattasaññānaṃ amanasikārā ananto ākāsoti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sabbaso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 pe ...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완전하게 색상(色想)을 넘어서고, 저항의 상(想)이 줄어들고, 다양한 상(想)을 작의(作意)하지 않음으로부터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완전하게 색상(色想)을 넘어서고, 저항의 상(想)이 줄어들고, 다양한 상(想)을 작의(作意)하지 않음으로부터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sabbaso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sabbaso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공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공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 pe ...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식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아무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식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아무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sabbaso ākiñc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 pe ...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무소유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무소유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sabbaso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saññāvedayitanirodhaṃ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 pe ... saññāvedayitanirodhaṃ upasampajja vih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상수멸(想受滅)을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상수멸(想受滅)을 성취하여 머문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anekavihitaṃ iddhividhaṃ paccanubhomi — ekopi hutvā bahudhā homi, bahudhāpi hutvā eko homi; āvibhāvaṃ, tirobhāvaṃ, tirokuṭṭaṃ, tiropākāraṃ, tiropabbataṃ, asajjamāno gacchāmi, seyyathāpi ākāse; pathaviyāpi ummujjanimujjaṃ karomi, seyyathāpi udake; udakepi abhijjamāne gacchāmi, seyyathāpi pathaviyaṃ; ākāsepi pallaṅkena kamāmi, seyyathāpi pakkhī sakuṇo; imepi candimasūriye evaṃmahiddhike evaṃmahānubhāve pāṇinā parimasāmi parimajjāmi; yāva brahmalokāpi kāyena vasaṃ vatte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anekavihitaṃ iddhividhaṃ paccanubhoti ... pe ... yāva brahmalokāpi kāyena vasaṃ vatte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여러 가지 종류의 신통을 실행한다[신족통(神足通)]. ―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기도 하고,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기도 한다.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분말과 성벽과 산을 가로지르기를 허공에서처럼 닿지 않고 간다. 땅에서도 물에서처럼 떠오르고 들어간다. 물에서도 땅에서처럼 빠지지 않고 간다. 허공에서도 가부좌하고 날개 달린 새처럼 간다. 이렇게 강력하고 웅장한 저 달과 해를 손으로 닿아 쓰다듬는다. 범천의 세상까지도 몸으로 나아간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여러 가지 종류의 신통을 실행한다[신족통(神足通)]. ―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기도 하고,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기도 한다.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분말과 성벽과 산을 가로지르기를 허공에서처럼 닿지 않고 간다. 땅에서도 물에서처럼 떠오르고 들어간다. 물에서도 땅에서처럼 빠지지 않고 간다. 허공에서도 가부좌하고 날개 달린 새처럼 간다. 이렇게 강력하고 웅장한 저 달과 해를 손으로 닿아 쓰다듬는다. 범천의 세상까지도 몸으로 나아간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dibbāya sotadhātuyā visuddhāya atikkantamānusikāya ubho sadde suṇāmi, dibbe ca mānuse ca, ye dūre santike ca.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dibbāya sotadhātuyā ... pe ... dūre santike ca.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 양쪽의 소리를 듣는다[천이통(天耳通)].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 양쪽의 소리를 듣는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parasattānaṃ parapuggalānaṃ cetasā ceto paricca pajānāmi — sarāgaṃ vā cittaṃ sarāgaṃ cittanti pajānāmi, vītarāgaṃ vā cittaṃ vītarāgaṃ cittanti pajānāmi, sadosaṃ vā cittaṃ ... pe ... vītadosaṃ vā cittaṃ... samohaṃ vā cittaṃ... vītamohaṃ vā cittaṃ... saṃkhittaṃ vā cittaṃ... vikkhittaṃ vā cittaṃ... mahaggataṃ vā cittaṃ... amahaggataṃ vā cittaṃ... sauttaraṃ vā cittaṃ... anuttaraṃ vā cittaṃ... samāhitaṃ vā cittaṃ... asamāhitaṃ vā cittaṃ... 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cittanti pajān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parasattānaṃ parapuggalānaṃ cetasā ceto paricca pajānāti — sarāgaṃ vā cittaṃ sarāgaṃ cittanti pajānāti ... pe ... a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cittanti pajānā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다른 중생들과 다른 사람들의 심(心)을 심(心)으로 분별하여 분명히 안다[타심통(他心通)]. ― ①탐(貪)이 있는 심(心)을 ‘탐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②탐이 없는 심을 ‘탐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③진(嗔)이 있는 심을 ‘진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④진이 없는 심을 ‘진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⑤치(癡)가 있는 심을 ‘치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⑥치가 없는 심을 ‘치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⑦수축된 심을 ‘수축된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⑧흩어진 심을 ‘흩어진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⑨개발된 심을 ‘개발된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⑩개발되지 않은 심을 ‘개발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⑪위가 있는 심을 ‘위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⑫위가 없는 심을 ‘위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⑬삼매를 닦는 심을 ‘삼매를 닦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⑭삼매를 닦지 않는 심을 ‘삼매를 닦지 않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⑮해탈된 심을 ‘해탈된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⑯해탈되지 않은 심을 ‘해탈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다른 중생들과 다른 사람들의 심(心)을 심(心)으로 분별하여 분명히 안다. ― ①탐이 있는 심을 ‘탐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②탐이 없는 심을 ‘탐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③진이 있는 심을 ‘진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④진이 없는 심을 ‘진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⑤치가 있는 심을 ‘치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⑥치가 없는 심을 ‘치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⑦수축된 심을 ‘수축된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⑧흩어진 심을 ‘흩어진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⑨개발된 심을 ‘개발된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⑩개발되지 않은 심을 ‘개발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⑪위가 있는 심을 ‘위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⑫위가 없는 심을 ‘위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⑬삼매를 닦는 심을 ‘삼매를 닦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⑭삼매를 닦지 않는 심을 ‘삼매를 닦지 않는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⑮해탈된 심을 ‘해탈된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⑯해탈되지 않은 심을 ‘해탈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안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āmi, seyyathidaṃ — ekampi jātiṃ dvepi jātiyo tissopi jātiyo catassopi jātiyo pañcapi jātiyo dasapi jātiyo vīsampi jātiyo tiṃsampi jātiyo cattālīsampi jātiyo paññāsampi jātiyo jātisatampi jātisahassampi jātisatasahassampi, anekepi saṃvaṭṭakappe anekepi vivaṭṭakappe anekepi saṃvaṭṭavivaṭṭakappe — ‘amutrāsiṃ evaṃnāmo evaṃgotto evaṃvaṇṇo evamāhāro evaṃsukhadukkhappaṭisaṃvedī evamāyupariyanto, so tato cuto amutra udapādiṃ; tatrāpāsiṃ evaṃnāmo evaṃgotto evaṃvaṇṇo evamāhāro evaṃsukhadukkhappaṭisaṃvedī evamāyupariyanto, so tato cuto idhūpapanno’ti. iti sākāraṃ sauddesaṃ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ti, seyyathidaṃ — ekampi jātiṃ ... pe ... iti sākāraṃ sauddesaṃ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전생(前生)]를 기억한다[숙명통(宿命通)]. 즉 ― 한 번의 생, 두 번의 생, 세 번의 생, 네 번의 생, 다섯 번의 생, 열 번의 생, 스무 번의 생, 서른 번의 생, 마흔 번의 생, 쉰 번의 생, 백 번의 생, 천 번의 생, 십만 번의 생, 세계가 자라나는[퇴보] 여러 겁, 세계가 줄어드는[진화] 여러 겁, 세계가 자라나고 줄어드는 여러 겁을 기억한다. — ‘이러이러한 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이러이러한 곳에 태어났다. 그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여기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상태와 함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를 기억한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를 기억한다. 즉 ― 한 번의 생, 두 번의 생, 세 번의 생, 네 번의 생, 다섯 번의 생, 열 번의 생, 스무 번의 생, 서른 번의 생, 마흔 번의 생, 쉰 번의 생, 백 번의 생, 천 번의 생, 십만 번의 생, 세계가 자라나는[퇴보] 여러 겁, 세계가 줄어드는[진화] 여러 겁, 세계가 자라나고 줄어드는 여러 겁을 기억한다. — ‘이러이러한 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이러이러한 곳에 태어났다. 그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여기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상태와 함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를 기억한다.
“ahaṃ,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āmi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satte passāmi cavamāne upapajjamāne hīne paṇīte suvaṇṇe dubbaṇṇe, sugate duggate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āmi — ‘ime vata, bhonto, sattā kāyaduccaritena samannāgatā vacīduccaritena samannāgatā manoduccaritena samannāgatā ariyānaṃ upavādakā micchādiṭṭhikā micchādiṭṭhikammasamādānā; t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nnā, ime vā pana, bhonto, sattā kāyasucaritena samannāgatā vacīsucaritena samannāgatā manosucaritena samannāgatā ariyānaṃ anupavādakā sammādiṭṭhikā sammādiṭṭhikammasamādānā; t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nnā’ti. iti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satte passāmi cavamāne upapajjamāne hīne paṇīte suvaṇṇe dubbaṇṇe, sugate duggate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āmi. kassapopi, bhikkhave, yāvadeva ākaṅkhati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satte passati cavamāne ... pe ...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āti.
비구들이여, 나는 원하는 만큼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천안(天眼)]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고,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선처(善處)]에 가고 나쁜 곳[악처(惡處)]에 가는 것을 본다[천안통(天眼通)].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안다. ― ‘이들은 몸으로 나쁜 삶을 살고 말로 나쁜 삶을 살고 의(意)로 나쁜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고, 삿된 견해를 가졌고, 사견업(邪見業)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났다. 그러나 이들은 몸으로 좋은 삶을 살고 말로 좋은 삶을 살고 의(意)로 좋은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지 않고, 바른 견해를 지니고, 정견업(正見業)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는 것을 본다.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등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안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원하는 만큼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고,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것을 본다.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안다. ― ‘이들은 몸으로 나쁜 삶을 살고 말로 나쁜 삶을 살고 의로 나쁜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고, 삿된 견해를 가졌고, 사견업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났다. 그러나 이들은 몸으로 좋은 삶을 살고 말로 좋은 삶을 살고 의로 좋은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지 않고, 바른 견해를 지니고, 정견업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는 것을 본다.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등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안다.
“ahaṃ, bhikkhave, āsavānaṃ khayā anāsavaṃ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āmi. kassapopi, bhikkhave, āsavānaṃ khayā anāsavaṃ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tī”ti.
비구들이여, 나는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문다. 비구들이여, 깟사빠도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과 혜해탈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