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22.khandha
2. dukkhasuttaṃ (SN 22.104-고 경)
11. antavaggo, 2. dukkhasuttaṃ (SN 22.104-고(苦) 경)
104. sāvatthinidānaṃ. “dukkhañca vo, bhikkhave, desessāmi dukkhasamudayañca dukkhanirodhañca dukkhanirodhagāminiñca paṭipadaṃ. taṃ suṇātha. katamañca, bhikkhave, dukkhaṃ? pañcupādānakkhandhātissa vacanīyaṃ. katame pañca? seyyathidaṃ — rūpupādānakkhandho ... pe ... viññāṇupādānakkhandho. idaṃ vuccati, bhikkhave, dukkhaṃ. katamo ca, bhikkhave, dukkhasamudayo? yāyaṃ taṇhā ponobhavikā ... pe ...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asamudayo. katamo ca, bhikkhave, dukkhanirodho?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anirodho. katamā ca, bhikkhave,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ayaṃ vuccati, bhikkhave, dukkh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dutiyaṃ.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고(苦)와 고(苦)의 자라남과 고(苦)의 소멸과 고(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설할 것이다. 그것을 들어라.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고(苦)인가? 오취온(五取蘊)이라고 말해야 한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색취온(色取蘊) … 식취온(識取蘊), 이것이 비구들이여, 고(苦)라고 불린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고(苦)의 자라남인가? 다시 존재로 이끌고 소망과 탐(貪)이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인 애(愛) 즉 소유의 애(愛), 존재의 애(愛), 존재하지 않음의 애(愛) ― 이것이, 비구들이여, 고(苦)의 자라남이라고 불린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고(苦)의 소멸인가? 그 애(愛)가 남김없이 바랜 소멸, 포기, 놓음, 풀림, 집착의 경향 없음 ― 이것이, 비구들이여, 고(苦)의 소멸이라고 불린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고(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인가? 오직 이것,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道)[팔정도(八正道)] ― 이것이, 비구들이여, 고(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