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상윳따 니까야 1~4권 > 35.saḷāyatana(1)
6. ādittasuttaṃ (SN 35.28-불탐 경)
3. sabbavaggo, 6. ādittasuttaṃ (SN 35.28-불탐 경)
28. ekaṃ samayaṃ bhagavā gayāyaṃ viharati gayāsīse saddhiṃ bhikkhusahassena.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sabbaṃ, bhikkhave, ādittaṃ. kiñca, bhikkhave, sabbaṃ ādittaṃ? cakkhu, bhikkhave, ādittaṃ, rūpā ādittā, cakkhuviññāṇaṃ ādittaṃ, cakkhusamphasso āditto.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ādittaṃ. kena ādittaṃ? ‘rāgagginā, dosagginā, mohagginā ādittaṃ, jātiyā jarāya maraṇena sokehi paridevehi dukkhehi domanassehi upāyāsehi ādittan’ti vadāmi ... pe ... jivhā ādittā, rasā ādittā, jivhāviññāṇaṃ ādittaṃ, jivhāsamphasso āditto. yampidaṃ jivhā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ādittaṃ. kena ādittaṃ? ‘rāgagginā, dosagginā, mohagginā ādittaṃ, jātiyā jarāya maraṇena sokehi paridevehi dukkhehi domanassehi upāyāsehi ādittan’ti vadāmi ... pe ... mano āditto, dhammā ādittā, manoviññāṇaṃ ādittaṃ, manosamphasso āditto.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mpi ādittaṃ. kena ādittaṃ? ‘rāgagginā, dosagginā, mohagginā ādittaṃ, jātiyā jarāya maraṇena sokehi paridevehi dukkhehi domanassehi upāyāsehi ādittan’ti vadāmi. evaṃ passaṃ, bhikkhave, sutavā ariyasāvako cakkhusmimpi nibbindati, rūpesupi nibbindati, cakkhuviññāṇepi nibbindati, cakkhusamphassepi nibbindati, yampidaṃ cakkhu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smimpi nibbindati ... pe ... yampidaṃ manosamphassapaccayā uppajjati vedayitaṃ sukhaṃ vā dukkhaṃ vā adukkhamasukhaṃ vā tasmimpi nibbindati. nibbindaṃ virajjati; virāgā vimuccati; vimuttasmiṃ vimuttamiti ñāṇaṃ hoti. ‘khīṇā jāti, vusitaṃ brahmacariyaṃ, kataṃ karaṇīyaṃ, nāparaṃ itthattāyā’ti pajānātī”ti.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te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ṃ. imasmiñca pana veyyākaraṇasmiṃ bhaññamāne tassa bhikkhusahassassa anupādāya āsavehi cittāni vimucciṃsūti. chaṭṭhaṃ.
한때 세존은 가야의 가야시사에서 천 명의 비구와 함께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에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일체(一切)는 불탄다. 무엇이 일체가 불타는 것인가? 비구들이여, 안(眼)은 불탄다. 색(色)들은 불탄다. 안식(眼識)은 불탄다. 안촉(眼觸)은 불탄다. 안촉(眼觸)을 조건으로 생기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경험도 불탄다. 무엇에 의해 불타는가? ‘탐(貪)의 불, 진(嗔)의 불, 치(癡)의 불에 의해서 불탄다. 생(生)과 노(老)와 사(死) 그리고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로 불탄다.’라고 나는 말한다. … 설(舌)은 불탄다. 미(味)들은 불탄다. 설식(舌識)은 불탄다. 설촉(舌觸)은 불탄다. 설촉(舌觸)을 조건으로 생기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경험도 불탄다. 무엇에 의해 불타는가? ‘탐(貪)의 불, 진(嗔)의 불, 치(癡)의 불에 의해서 불탄다. 생(生)과 노(老)와 사(死) 그리고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로 불탄다.’라고 나는 말한다. … 의(意)는 불탄다. 법(法)들은 불탄다. 의식(意識)은 불탄다. 의촉(意觸)은 불탄다. 의촉(意觸)을 조건으로 생기는 락(樂)-고(苦)-불고불락(不苦不樂)의 경험도 불탄다. 무엇에 의해 불타는가? ‘탐(貪)의 불, 진(嗔)의 불, 치(癡)의 불에 의해서 불탄다. 생(生)과 노(老)와 사(死) 그리고 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로 불탄다.’라고 나는 말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보는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안(眼)에 대해서도 염오(厭惡)하고, 색(色)들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안식(眼識)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안촉(眼觸)에 대해서도 염오하고, 안촉(眼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에 대해서도 염오한다. … 의촉(意觸))의 조건으로부터 생기는 락(樂), 고(苦), 불고불락(不苦不樂)의 이 경험에 대해서도 염오한다. 염오하는 자는 이탐(離貪)한다. 이탐으로부터 해탈(解脫)한다. 해탈했을 때 ‘나는 해탈했다.’라는 앎이 있다. ― '태어남은 다했다. 범행은 완성되었다. 해야 할 일을 했다. 다음에는 현재 상태[유(有)]가 되지 않는다.'라고 분명히 안다.”라고.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그 비구들은 즐거워하면서 세존의 말씀을 기뻐했다. 그리고 이 설명이 설해졌을 때 그 천 명의 비구들의 심(心)은 집착에서 벗어나 번뇌들로부터 해탈하였다.
Comments
보인
2022.01.02 16:41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25 15:04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20&sca=%EB%91%98%EC%9D%98+%EB%AA%A8%EC%9D%8C&page=2 참조 (앙굿따라 관통법회 2 - (3-6)[태움-정근-족쇄에 묶일 법들)
대원행
2022.09.08 22:30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01&wr_id=11 참조 (법구경 강의 ㅡ 1 쌍 품, 게송(15-18)[악업을 지은 자와 공덕을 지은 자의 차이]
대원행
2022.10.17 22:19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07&wr_id=2 참조 (법구경 강의 7. 아라한 품, 게송(90)[아라한은 누구인가]
대원행
2023.08.24 21:32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100 참조 (나는 불교를 믿는다 - 조상제사 & 제3장 가르침[세상을 넘어선 - 공에 연결된 - 깨달음-제어-그침-완전한 꺼짐을 위한 법]
대원행
2024.08.25 20:31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1_05&wr_id=22 참조 ((SN 5.7-우빠짤라 경)[어디에도 태어나기를 원하지 않음 - 사실의 영역에서 즐거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