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매-노력-평정의 상] nimittasuttaṃ (AN 3.103-상(相) 경)
(10) 5. loṇakapallavaggo, 11. nimittasuttaṃ (AN 3.103-상(相) 경)
비구들이여,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는 세 가지 상(相)을 적절한 때에 작의(作意)해야 한다. — 적절한 때에 삼매의 상(相)을 작의 해야 한다. 적절한 때에 노력의 상(相)을 작의 해야 한다. 적절한 때에 평정의 상(相)을 작의 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전적으로 삼매의 상(相)만을 작의 한다면, 그 경우에 심(心)은 게으름으로 이끌릴 것이다. 비구들이여, 만약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전적으로 노력의 상(相)만을 작의 한다면, 그 경우에 심(心)은 들뜸으로 이끌릴 것이다. 비구들이여, 만약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전적으로 평정의 상(相)만을 작의 한다면, 그 경우에 심(心)은 번뇌들의 부서짐을 위해 바르게 삼매에 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적절한 때에 삼매의 상(相)을 작의하고, 적절한 때에 노력의 상(相)을 작의하고, 적절한 때에 평정의 상(相)을 작의 할 때, 그 심(心)은 유연하고 준비되고 빛나고 잘 부서지지 않고 번뇌들의 부서짐을 위해 바르게 삼매에 들어진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금 세공인이나 금 세공인의 제자가 용광로를 준비할 것이다. 용광로를 준비한 뒤에 용광로 입구에 불을 붙일 것이다. 용광로 입구에 불을 붙인 뒤에 집게로 금을 집어서 용광로 안에 넣을 것이다. 용광로 안에 넣은 뒤에 적절한 때에 불 것이고, 적절한 때에 물을 뿌릴 것이고, 적절한 때에 관찰할 것이다.
만약, 비구들이여, 금 세공인이나 금 세공인의 제자가 그 금을 일방적으로 불기만 한다면, 그 경우에 금은 타버릴 것이다. 만약, 비구들이여, 금 세공인이나 금 세공인의 제자가 그 금에게 일방적으로 물을 뿌리기만 한다면, 그 경우에 금은 식어버릴 것이다. 만약, 비구들이여, 금 세공인이나 금 세공인의 제자가 그 금을 일방적으로 관찰하기만 한다면, 그 경우에 금은 완성될 수 없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금세공인이나 금세공인의 제자가 그 금을 적절한 때에 불고, 적절한 때에 물을 뿌리고, 적절한 때에 관찰할 때, 그 금은 유연하고 준비되고 빛나고 잘 부서지지 않고 작업을 위한 상태를 바르게 얻는다. 허리띠거나, 귀걸이거나, 목걸이거나, 금으로 된 환이거나 장식품을 만들기 위해 원하는 것들의 목적을 실행한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는 세 가지 상(相)을 적절한 때에 작의(作意)해야 한다. — 적절한 때에 삼매의 상(相)을 작의 해야 한다. 적절한 때에 노력의 상(相)을 작의 해야 한다. 적절한 때에 평정의 상(相)을 작의 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전적으로 삼매의 상(相)만을 작의 한다면, 그 경우에 심(心)은 게으름으로 이끌릴 것이다. 비구들이여, 만약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전적으로 노력의 상(相)만을 작의 한다면, 그 경우에 심(心)은 들뜸으로 이끌릴 것이다. 비구들이여, 만약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전적으로 평정의 상(相)만을 작의 한다면, 그 경우에 심(心)은 번뇌들의 부서짐을 위해 바르게 삼매에 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높은 심(心)을 닦는 비구가 적절한 때에 삼매의 상(相)을 작의하고, 적절한 때에 노력의 상(相)을 작의하고, 적절한 때에 평정의 상(相)을 작의 할 때, 그 심(心)은 유연하고 준비되고 빛나고 잘 부서지지 않고 번뇌들의 부서짐을 위해 바르게 삼매에 들어진다. 실다운 지혜를 실현하기 위해 어떤 것이든 실다운 지혜로 실현해야 하는 법들로 심(心)을 기울인다. 그는, 사띠토대가 있을 때, 어디에서든 실현능력을 얻는다.
만약 그가 ‘여러 가지 종류의 신통을 실행해야겠다. … (여섯 가지 실다운 지혜로 펼쳐져야한다) … 번뇌들의 부숨으로부터 … 실현하여 성취하여 머물러야겠다.’라고 바란다면, 그는, 사띠토대가 있을 때, 어디에서든 실현능력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