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vitthatadhanasuttaṃ (AN 7.6-상세한 재산 경) 독송용
1. dhanavaggo, 6. vitthatadhanasuttaṃ (AN 7.6-상세한 재산 경)
삿띠마-니, 빅카웨-, 다나-니. 까따마-니 삿따? 삳다-다낭, 시-ㄹ라다낭, 히리-다낭, 옷땁빠다낭, 수따다낭, 짜-가다낭, 빤냐-다낭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재산이 있다. 어떤 일곱 가지인가? 믿음의 재산, 계의 재산, 히리의 재산, 옷땁빠의 재산, 배움의 재산, 보시의 재산, 지혜의 재산 —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재산이 있다.
까따만짜, 빅카웨-, 삳다-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삳도- 호-띠, 삳다하띠 따타-가땃사 보-딩 ― ‘이띠삐 소- 바가와- 아라항 삼마-삼붇도- 윗자-짜라나삼빤노- 수가또- 로-까위두- 아눗따로- 뿌리사담마사-라티 삿타- 데-와마눗사-낭 붇도- 바가와-’띠. 이당 웃짜띠, 빅카웨-, 삳다-다낭
비구들이여, 무엇이 믿음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믿음을 가졌다. ‘이렇게 그분 세존(世尊)께서는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밝음과 실천을 갖추신 분, 진리의 길 보이신 분, 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 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 모든 천상과 인간의 스승, 깨달으신 분, 존귀하신 분이시다.’라고 여래(如來)의 깨달음을 믿는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믿음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까따만짜, 빅카웨-, 시-ㄹ라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빠-나-띠빠-따- 빠띠위라또- 호-띠, 아딘나-다-나- 빠띠위라또- 호-띠, 까-메-수밋차-짜-라- 빠띠위라또- 호-띠, 무사-와-다- 빠띠위라또- 호-띠, 수라-메-라야맛잡빠마-닷타-나- 빠띠위라또- 호-띠. 이당 웃짜띠, 빅카웨-, 시-ㄹ라다낭
비구들이여, 무엇이 계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생명을 해치는 행위를 피하고,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행위를 피하고, 음행(淫行)에 대해 삿된 행위를 피하고, 거짓을 말하는 행위를 피하고,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을 피한다. — 이것이, 비구들이여, 계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까따만짜, 빅카웨-, 히리-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히리-마- 호-띠, 히리-야띠 까-야둣짜리떼-나 와찌-둣짜리떼-나 마노-둣짜리떼-나, 히리-야띠 빠-빠까-낭 아꾸살라-낭 담마-낭 사마-빳띠야-. 이당 웃짜띠, 빅카웨-, 히리-다낭
비구들이여, 무엇이 히리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히리를 가졌다. 몸의 나쁜 행위와 말의 나쁜 행위와 의(意)의 나쁜 행위에 의해 히리하고, 악한 불선법들의 성취를 히리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히리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까따만짜, 빅카웨-, 옷땁빠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옷땁삐- 호-띠, 옷땁빠띠 까-야둣짜리떼-나 와찌-둣짜리떼-나 마노-둣짜리떼-나, 옷땁빠띠 빠-빠까-낭 아꾸살라-낭 담마-낭 사마-빳띠야-. 이당 웃짜띠, 빅카웨-, 옷땁빠다낭
비구들이여, 무엇이 옷땁빠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옷땁빠를 가졌다. 몸의 나쁜 행위와 말의 나쁜 행위와 의(意)의 나쁜 행위에 의해 옷땁빠하고, 악한 불선법들의 성취를 옷땁빠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옷땁빠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까따만짜, 빅카웨-, 수따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바훗수또- 호-띠 수따다로- 수따산니짜요-, 예- 떼- 담마- 아-디깔랴-나- 맛제-깔랴-나- 빠리요-사-나깔랴-나- 사-ㅌ탕 사뱐자낭 께-왈라빠리뿐낭 빠리숟당 브라흐마짜리양 아비와단띠, 따타-루-빠-ㅅ사 담마- 바훗수따- 혼띠 다-따- 와짜사- 빠리찌따- 마나사-누뻭키따-, 딧티야- 숩빠띠윋다-, 이당 웃짜띠, 빅카웨-, 수따다낭
비구들이여, 무엇이 배움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많이 배우고, 배운 것을 명심하고, 배운 것을 쌓는다. 처음도 좋고 중간에도 좋고 끝도 좋은, 의미를 갖추고 표현을 갖춘 법들과 온전하게 완전하고 청정한 범행(梵行)을 선언하는 가르침을 많이 배우고 만족하고 말에 의해 익숙해지고 의(意)로써 이어 보고 견해로써 잘 꿰뚫는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배움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까따만짜, 빅카웨-, 짜-가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위가따말라맛체-레-나 쩨-따사- 아가-랑 앗자-와사띠 뭇따짜-고- 빠야따빠-니 옷삭가라또- 야-짜요-고- 다-나상위바-가라또-. 이당 웃짜띠, 빅카웨-, 짜-가다낭
비구들이여, 무엇이 보시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인색(吝嗇)에 인색의 오염을 떠난 마음으로 자유롭게 보시하고, 손은 깨끗하고, 주기를 좋아하고, 다른 사람의 요구에 응할 준비가 되어있고, 베풂과 나눔을 좋아하며 재가에 산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보시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까따만짜, 빅카웨-, 빤냐-다낭?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빤냐와- 호-띠 우다얏타가-미니야- 빤냐-야 사만나-가또- 아리야-야 닙베-디까-야 삼마- 둑칵카야가-미니야-. 이당 웃짜띠, 빅카웨-, 빤냐-다낭. 이마-니 코-, 빅카웨-, 삿따다나-니-띠
비구들이여, 무엇이 지혜의 재산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지혜를 가졌다. 자라남-줄어듦으로 이끌고, 성스러운 꿰뚫음에 의해 바르게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지혜를 갖추었다. — 이것이 비구들이여, 지혜의 재산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재산이 있다.
“saddhādhanaṃ sīladhanaṃ, hirī ottappiyaṃ dhanaṃ.sutadhanañca cāgo ca, paññā ve sattamaṃ dhanaṃ.
삳다-다낭 시-ㄹ라다낭, 히리- 옷땁삐양 다낭
수따다난짜 짜-고- 빠, 빤냐- 웨- 삿따망 다낭
믿음의 재산, 계의 재산, 히리와 옷땁빠의 재산
배움과 보시의 재산, 일곱 번째로 지혜의 재산
“yassa ete dhanā atthi, itthiyā purisassa vā.adaliddoti taṃ āhu, amoghaṃ tassa jīvitaṃ.
얏사 에-떼- 다나- 앗티, 잇티야- 뿌리삿사 와-.
아달릳도-띠 땅 아-후, 아모-강 땃사 지-위땅.
여자거나 남자 가운데 이런 재산을 가진 사람을 가난하지 않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그의 삶은 쓸모없지 않다.
“tasmā saddhañca sīlañca, pasādaṃ dhammadassanaṃ.anuyuñjetha medhāvī, saraṃ buddhāna sāsanan”ti.
따스마- 삳단짜 시-ㄹ란짜, 빠사-당 담마닷사낭
아누윤제-타 메-다-위-, 사랑 붇다-나 사-사난”띠
그러므로 현명한 자는 믿음과 계(戒)와 분명하게 법을 보는 일
그리고 부처님들의 가르침에 대한 기억을 실천하게 해야[가르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