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appamādavaggo (KN 2.2-불방일 품)
2. appamādavaggo (KN 2.2-불방일 품)
21.
appamādo amatapadaṃ, pamādo maccuno padaṃ.
appamattā na mīyanti, ye pamattā yathā matā.
불방일(不放逸)은 불사(不死)로 가는 걸음이고, 방일(放逸)은 죽음으로 가는 걸음이다.
불방일한 자들은 죽지 않는다. 방일한 자들은 죽은 자와 같다.
22.
evaṃ visesato ñatvā, appamādamhi paṇḍitā.
appamāde pamodanti, ariyānaṃ gocare ratā.
현자들은 실로 불방일에 대해 이렇게 구별해서 안 뒤에
불방일에서 환희하고, 성자들의 영역에서 기뻐한다.
23.
te jhāyino sātatikā, niccaṃ daḷhaparakkamā.
phusanti dhīrā nibbānaṃ, yogakkhemaṃ anuttaraṃ.
끊임없이 선(禪)을 닦고, 항상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들.
현명한 자들은 위없는 유가안온(瑜伽安穩)인 열반에 닿는다.
24.
uṭṭhānavato satīmato, sucikammassa nisammakārino.
saññatassa dhammajīvino, appamattassa yasobhivaḍḍhati.
활력 있고 사띠를 가진 사람, 깨끗한 업(業)을 신중하게 짓는 사람
제어되고 법에 맞는 생계를 가진 사람, 불방일한 자에게 명성은 늘어난다.
25.
uṭṭhānenappamādena, saṃyamena damena ca.
dīpaṃ kayirātha medhāvī, yaṃ ogho nābhikīrati.
활력과 불방일, 자제와 길듦에 의해
현명한 자는 스스로 폭류가 덮치지 못하는 섬이 될 것이다.
26.
pamādamanuyuñjanti, bālā dummedhino janā.
appamādañca medhāvī, dhanaṃ seṭṭhaṃva rakkhati.
어리석고 바보 같은 사람들은 방일에 빠진다.
으뜸의 재산을 보호하듯이, 현명한 자는 불방일을 보호한다.
27.
mā pamādamanuyuñjetha, mā kāmaratisanthavaṃ.
appamatto hi jhāyanto, pappoti vipulaṃ sukhaṃ.
방일에 빠지지 말라. 소유의 기쁨을 구하지 말라.
방일하지 않고 선(禪)을 닦는 자는 큰 행복에 닿는다.
28.
pamādaṃ appamādena, yadā nudati paṇḍito.
paññāpāsādamāruyha, asoko sokiniṃ pajaṃ.
pabbataṭṭhova bhūmaṭṭhe, dhīro bāle avekkhati.
현명한 사람이 불방일로써 방일을 떨칠 때
지혜의 성에 오른 뒤, 슬픔이 없는슬픔을 떠난 사람은 슬픈 사람을 살핀다.
산정에 선 사람이 땅 위에 선 사람을 살피듯이, 현명한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을 살핀다.
29.
appamatto pamattesu, suttesu bahujāgaro.
abalassaṃva sīghasso, hitvā yāti sumedhaso.
빠른 말이 약한 말을 앞질러 나아가듯
불방일하고 늘 깨어있는 현명한 사람은 방일한 사람들, 잠자는 사람들 가운데서 앞질러 나아간다.
30.
appamādena maghavā, devānaṃ seṭṭhataṃ gato.
appamādaṃ pasaṃsanti, pamādo garahito sadā.
삭까는 불방일에 의해 신들 가운데 으뜸의 자리로 간다.
사람들은 불방일을 칭찬한다. 방일은 언제나 비난받는다.
31.
appamādarato bhikkhu, pamāde bhayadassi vā.
saṃyojanaṃ aṇuṃ thūlaṃ, ḍahaṃ aggīva gacchati.
불방일을 기뻐하고 방일에서 두려움을 보는 비구는
불이 태우듯이 작든 크든 족쇄를 태운다.
32.
appamādarato bhikkhu, pamāde bhayadassi vā.
abhabbo parihānāya, nibbānasseva santike.
불방일을 기뻐하고 방일에서 두려움을 보는 비구는
열반을 직면했을 뿐, 퇴보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