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강의(230410) ― 25. 비구 품, 게송(377-382)[보호자 & 가르침에 전념하는 비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
▣ 법구경 강의(230410) ― 25. 비구 품, 게송(377-382)[보호자 & 가르침에 전념하는 비구](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n-l-IbSw2k
(게송 377-78)
만개한 쟈스민이 시든 꽃을 떨구듯이
비구들이여, 이렇게 탐(貪)과 진(嗔)을 떨쳐내야 한다.
몸이 평화롭고 말이 평화로운 자, 평화롭게 잘 삼매를 닦는
물질의 세상을 버린 비구는 가라앉은 자라고 불린다.
; 물질의 세상을 버린 비구 = 가라앉은 자(upasanto) ⇒ santā vimokkhā atikkamma rūpe āruppā 색(色)을 넘어선 무색(無色)의 평화로운 해탈들 ― (AN 10.9-평화로운 해탈 경) 등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8_01&wr_id=9
(게송 379-380)
스스로 자신을 책망하고, 스스로 제어해야 한다.
사띠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그는, 비구여, 행복하게 머물 것이다.
참으로 자신이 자신의 보호자이다. (어떤 다른 이가 참으로 보호자일 수 있겠는가) 참으로 자신이 자신의 갈 곳이다. 그러므로 자신을 단속해야 한다. 상인이 좋은 말을 단속하는 것처럼.
; 스스로 자신을 책망하고 = 자책(自責)의 두려움으로 행위를 제어함 = 히리(hiri) → 사띠하여 자신을 보호 → 행복하게 머묾
; 보호자(nātho) ― (AN 10.17-보호자 경1)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8_02&wr_id=5
(AN 10.18-보호자 경2)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8_02&wr_id=8
(DN 33.13-합송경 열 가지로 구성된 법들) ㅡ 1)보호자를 만드는 법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3_10&wr_id=9
(DN 34-십상경) ―열 가지 보호자를 만드는 법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4_03_12&wr_id=1
(게송 381-382)
충만하게 환희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기뻐하는 비구가
행(行)들이 가라앉아 행복한 평화로운 경지를 얻을 수 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전념하는 젊은 비구
그는 구름에서 벗어난 달처럼, 이 세상을 밝힌다.
; (게송 368)은 자애로 머묾 즉 관계의 성숙의 관점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기뻐하는 비구가 열반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하고, 이 게송은 충만한 환희 즉 내적 성숙의 관점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기뻐하는 비구가 열반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내적인 성숙과 관계의 성숙 양면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에 전념하는 비구가 이 세상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