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44. 교리문답의 작은 경2)[팔정도와 삼매수행](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20105)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44. 교리문답의 작은 경2)[팔정도와 삼매수행](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20105)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dROO0mq_dyU
유신과 유신견에 이어 세 번째 주제는 유신견의 해소를 위한 방법인 팔정도입니다. 경은 이 주제 안에서 팔정도가 유위이고, 계-정-혜의 세 가지 온이 팔정도를 따른다는 점, 삼매-삼매의 상(相)-삼매의 보호-삼매수행에 대한 정의를 이어서 말합니다. (MN 117-커다란 마흔의 경)은 필수품을 갖춘 삼매로서의 바른 삼매[정정(正定)]에 이어 정지(正知-바른 앎)와 정해탈(正解脫-바른 해탈)을 설명하는데, 깨달음으로 이끄는 특별한 삼매인 바른 삼매는 특별한 조건 즉 필수품을 갖춰야 한다는 측면과 삼매 위에서 깨달음으로 이끌리는 특별한 과정의 측면입니다. 네 단계의 삼매수행을 설명하는 (AN 4.41-삼매수행 경)과 연결하여 그림「팔정도(八正道)와 삼매수행(三昧修行)」을 그렸습니다.
3. 팔정도(八正道)
유신(有身)과 유신견(有身見)에 이어 세 번째 주제는 팔정도인데, 유신견의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문답이 전개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주제 안에서 팔정도가 유위(有爲)이고, 계(戒)-정(定)-혜(慧)의 세 가지 온(蘊)이 팔정도를 따른다는 점, 삼매-삼매의 상(相)-삼매의 보호-삼매수행에 대한 정의를 이어서 말합니다.
1) 팔정도 ― 필수품을 갖춘 삼매와 삼매수행의 연결된 의미
(MN 117-커다란 마흔의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2_07&wr_id=1)은 필수품을 갖춘 삼매로서의 바른 삼매[정정(正定)]에 이어 정지(正知-바른 앎)와 정해탈(正解脫-바른 해탈)을 설명하는데, 삼매 가운데 깨달음으로 이끄는 특별한 삼매로서의 바른 삼매는 특별한 조건 즉 필수품을 갖추어야 한다는 측면과 삼매 위에서 깨달음으로 이끌리는 특별한 과정의 측면입니다.
(MN 117-커다란 마흔의 경)에 의해 필수품을 갖춘 삼매를 설명하고, (AN 4.41-삼매수행 경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7_05&wr_id=4)에 의해 네 단계의 삼매 수행을 설명하였는데, 그림「팔정도(八正道)와 삼매수행(三昧修行)」으로 나타내었습니다. 특히, 삼매수행의 네 단계를
①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 ― 깨달음의 토대로서의 사선(四禪),
②지(知)와 견(見)의 얻음으로 이끎 ― 법의 드러남을 위한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
③염(念)-정지(正知)로 이끎 ― 정지(正知) 즉 여실지견(如實知見)을 위한 법(法)의 위빳사나,
④번뇌의 부서짐으로 이끎 ― 정해탈(正解脫) 즉 부동(不動)의 심해탈(心解脫)을 위한 (사마타-)위빳사나=오취온(五取蘊)의 생겨남-무너짐을 이어봄
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
2) 팔정도는 유위(有爲)
• (AN 4.34-으뜸의 믿음 경) ― 유위법(有爲法)과 비교할 때 팔정도가 으뜸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7_04&wr_id=2
• (MN 22-뱀의 비유 경)의 뗏목의 비유에 의하면, 팔정도는 강을 건너기 위한 도구이고, 강을 건넌 뒤에는 내려놓아야 하므로 유위(有爲)임. 하지만, 무위(無爲)의 실현을 위한 수단이므로 유위 가운데 으뜸이라고 하는 것임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3_02&wr_id=5
3) 계(戒)-정(定)-혜(慧)의 세 가지 온(蘊)이 팔정도를 따름
많은 계(戒) 가운데 깨달음으로 이끄는 계(戒)로서 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이 있으므로 계온(戒蘊)이 팔정도를 따르고, 많은 삼매 가운데 깨달음으로 이끄는 삼매로서 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이 있으므로 정온(定蘊)이 팔정도를 따르고, 많은 지혜 가운데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가 있으므로 혜온(慧蘊)이 팔정도를 따르는 것임.
4) 삼매-삼매의 상(相)-삼매의 보호-삼매수행에 대한 정의
• 삼매(三昧-samādhi) = 심일경성(心一境性-cittassa ekaggatā) ― 심(心)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됨
• 삼매의 상(相-samādhinimittā) = 사념처(四念處) ― 심(心)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되기 위한 대상으로 바른 삼매는 사념처의 신(身)-수(受)-심(心)-법(法)을 제시함. 이때, 상(相-nimittā)은 탐(貪)-진(嗔)-치(癡)에 의해 왜곡된 육외입처(六外入處) 즉 인식 대상(visaya)을 의미함.
• 삼매를 보호하는 것 = 사정근(四正勤)
• 삼매수행(三昧修行-samādhibhāvanā) = 그 법들의 실천과 닦음을 많이 행하는 것 → (AN 4.41-삼매수행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