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1.brahmajālasuttaṃ
범망경(D1) 강의 - 62가지 견해(서울 저녁 160414 & 28)
▣ 범망경(D1) 강의 - 62가지 견해(서울 저녁 160414 & 28)
[동영상] ☞ https://youtu.be/58TsM4KtQ5U
「교본5 - 벗어남의 실천 경(M8) & 범망경(D1)(서울 저녁 160414)」와 「교본6 - 수행지도 & 종교의 의미 & 범망경(D1)(서울 저녁 160428)」 중에서 범망경에 대한 설명만을 발췌해 연결한 동영상입니다. ☞http://cafe.naver.com/happydhamma/396 & http://cafe.naver.com/happydhamma/408
범망경(D1)은 1차 결집된 경전들 중 가장 먼저 결집된 경입니다. 아(我)를 전제한 삿된 견해가 과거를 모색하는 18가지와 미래를 모색하는 44가지를 더해 62가지 견해로 나타나는데, http://cafe.naver.com/happybupdang/1064 에 요약된 교재를 첨부하였습니다[답글 참조]. 그런데 이 내용[62가지 견해는 모두 육촉처의 동요에 의한 것 → 탐진치의 멸에 의한 무아(無我)의 견해는 육촉처를 동요하지 않음]이 부처님의 깨달음의 내용으로 나타난다는 점은 주목해야 합니다.
과거를 모색하는 18가지는 주로 삼매에 들어 스스로 확인하는 전생들의 영역을 기준으로 판단한 견해입니다.
이에 반해 미래를 모색하는 44가지는 주로 자아와 몸 그리고 상(想)에 대한 경우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중생인 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라고 해야 합니다. 이전에 공부한 '자아에 속지 않아야 합니다!'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자아에 속지 않아야 합니다!' ☞ http://cafe.naver.com/happydhamma/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