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2.sāmaññaphalasuttaṃ
dibbasotañāṇaṃ (DN 2.27-사문과경, 하늘 귀의 앎)
● dibbasotañāṇaṃ (DN 2.27-사문과경, 하늘 귀의 앎)
240. “so evaṃ samāhite citte parisuddhe pariyodāte anaṅgaṇe vigatūpakkilese mudubhūte kammaniye ṭhite āneñjappatte dibbāya sotadhātuyā cittaṃ abhinīharati abhininnāmeti. so dibbāya sotadhātuyā visuddhāya atikkantamānusikāya ubho sadde suṇāti dibbe ca mānuse ca ye dūre santike ca.
그는 이렇게 심(心)이 삼매를 닦고, 청정하고 아주 깨끗하고 침착하고 오염원이 없고 유연하고 준비되고 안정되고 흔들림 없음에 도달했을 때, 신성한 귀의 요소로 심(心)을 향하게 하고 기울게 합니다.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의 양쪽 소리를 듣습니다.
241. “seyyathāpi, mahārāja, puriso addhānamaggappaṭipanno. so suṇeyya bherisaddampi mudiṅgasaddampi saṅkhapaṇavadindimasaddampi. tassa evamassa — ‘bherisaddo’ itipi, ‘mudiṅgasaddo’ itipi, ‘saṅkhapaṇavadindimasaddo’ itipi. evameva kho, mahārāja, bhikkhu evaṃ samāhite citte parisuddhe pariyodāte anaṅgaṇe vigatūpakkilese mudubhūte kammaniye ṭhite āneñjappatte dibbāya sotadhātuyā cittaṃ abhinīharati abhininnāmeti. so dibbāya sotadhātuyā visuddhāya atikkantamānusikāya ubho sadde suṇāti dibbe ca mānuse ca ye dūre santike ca. idampi kho, mahārāja, sandiṭṭhikaṃ sāmaññaphalaṃ purimehi sandiṭṭhikehi sāmaññaphalehi abhikkantatarañca paṇītatarañca.
예를 들면, 대왕이여, 먼 길을 걷는 사람이 북소리, 무딩가 소리, 소라고둥 소리, 심벌즈 소리, 작은 북소리를 들을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이것은 북소리다. 이것은 무딩가 소리다. 이것은 소라고둥 소리다. 이것은 심벌즈 소리다. 이것은 작은 북소리다.’라고. 이처럼, 대왕이여, 비구는 이렇게 심(心)이 삼매를 닦고, 청정하고 아주 깨끗하고 침착하고 오염원이 없고 유연하고 준비되고 안정되고 흔들림 없음에 도달했을 때, 신성한 귀의 요소로 심(心)을 향하게 하고 기울게 합니다.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의 양쪽 소리를 듣습니다. 이것도, 대왕이여, 이전의 눈에 보이는 사문의 결실들보다 더 훌륭하고 더 뛰어난 눈에 보이는 사문의 결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