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mahāsīhanādasuttaṃ, sīhanādakathā (DN 8.7-사자후 큰 경, 사자후 이야기)
8. mahāsīhanādasuttaṃ, sīhanādakathā (DN 8.7-사자후 큰 경, 사자후 이야기)
깟사빠여, 계를 말하는 어떤 사문-바라문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계를 칭송합니다. 깟사빠여, 성스러운 최상의 계에 관한 한 나는 나와 대등한 자를 보지 못하는데, 어디에 더 뛰어난 자가 있겠습니까! 높은 계에서 오직 내가 더 뛰어납니다.
깟사빠여, 고행에 의한 혐오를 말하는 어떤 사문-바라문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행에 의한 혐오를 칭송합니다. 깟사빠여, 성스러운 최상의 고행에 의한 혐오에 관한 한 나는 나와 대등한 자를 보지 못하는데, 어디에 더 뛰어난 자가 있겠습니까! 고행에 의한 혐오에서 오직 내가 더 뛰어납니다.
깟사빠여, 지혜를 말하는 어떤 사문-바라문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혜를 칭송합니다. 깟사빠여, 성스러운 최상의 지혜에 관한 한 나는 나와 대등한 자를 보지 못하는데, 어디에 더 뛰어난 자가 있겠습니까! 높은 지혜에서 오직 내가 더 뛰어납니다.
깟사빠여, 해탈을 말하는 어떤 사문-바라문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해탈을 칭송합니다. 깟사빠여, 성스러운 최상의 해탈에 관한 한 나는 나와 대등한 자를 보지 못하는데, 어디에 더 뛰어난 자가 있겠습니까! 높은 해탈에서 오직 내가 더 뛰어납니다.
깟사빠여, 외도 유행승들이 이렇게 말할 것이라는 경우는 있습니다. ― ‘사문 고따마는 사자후를 토한다. 그러나 그것은 빈집에서 토하는 것이지 모임에서는 아니다.’라고. 그들에게 ‘그렇게 말하지 마시오.’라고 말해야 합니다. ‘사문 고따마는 사자후를 토한다. 모임에서도 사자후를 토한다.’라고, 깟사빠여, 말해야 합니다.
깟사빠여, 외도 유행승들이 이렇게 말할 것이라는 경우는 있습니다. ― ‘사문 고따마는 사자후를 토한다. 모임에서도 사자후를 토한다. 그러나 자신감을 가지고 토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그들에게 ‘그렇게 말하지 마시오.’라고 말해야 합니다. ‘사문 고따마는 사자후를 토한다. 모임에서도 사자후를 토한다. 자신감을 가지고 사자후를 토한다.’라고, 깟사빠여, 말해야 합니다.
깟사빠여, 외도 유행승들이 이렇게 말할 것이라는 경우는 있습니다. ― ‘사문 고따마는 사자후를 토한다. 모임에서도 사자후를 토한다. 자신감을 가지고 사자후를 토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에게 질문하지 않는다.’라고 … 사람들이 그에게 질문한다. 그러나 질문받은 그는 그들에게 설명하지 않는다 … 질문받은 그는 그들에게 설명한다. 그러나 질문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심(心)을 만족하게 하지 못한다 … 질문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심(心)을 만족하게 한다. 그러나 그들은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그들은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배우고서 그들은 분명하지 않다 … 배우고서 그들은 분명해진다. 그러나 그들은 확실한 믿음을 일으키지 못한다 … 그들은 확실한 믿음을 일으킨다. 그러나 그들은 사실 됨을 인정하지 못한다 … 그들은 사실 됨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실천한 자들을 만족하게 하지 못한다.라고. 그들에게 ‘그렇게 말하지 마시오.’라고 말해야 합니다. ‘사문 고따마는 사자후를 토한다. 모임에서도 사자후를 토한다. 자신감을 가지고 사자후를 토한다. 사람들이 그에게 질문한다. 질문받은 그는 그들에게 설명한다. 질문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심(心)을 만족하게 한다. 그들은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배우고서 그들은 분명해진다. 그들은 확실한 믿음을 일으킨다. 그들은 사실 됨을 인정한다. 그들은 실천한 자들을 만족하게 한다.’라고, 깟사빠여, 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