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ārikāanujānanaṃ (DN 14.16-대전기경, 유행(遊行)의 허락) ㅡ> 칠불통계(七佛通戒)
1. mahāpadānasuttaṃ, cārikāanujānanaṃ (DN 14.16-대전기경, 유행(遊行)의 허락)
“tatra sudaṃ, bhikkhave, vipassī bhagavā arahaṃ sammāsambuddho bhikkhusaṅghe evaṃ pātimokkhaṃ uddisati —
비구들이여, 그때 위빳시 세존-아라한-정등각은 비구 상가(僧伽)에게 이렇게 계목을 제정했다.[칠불통계(七佛通戒)] ㅡ
‘khantī paramaṃ tapo titikkhā,
nibbānaṃ paramaṃ vadanti buddhā.
na hi pabbajito parūpaghātī,
na samaṇo hoti paraṃ viheṭhayanto.
인내와 용서가 최상의 고행(苦行)[난행(難行)-계행(戒行)-수도(修道) → 종교적인 삶]이고, 열반(涅槃)은 최상이라고 부처님들은 말한다.
출가자는 참으로 남을 해치지 않는다.
남을 괴롭히는 자는 사문이 아니다.
‘sabbapāpassa akaraṇaṃ, kusalassa upasampadā.
sacittapariyodapanaṃ, etaṃ buddhānasāsanaṃ.
모든 악(惡)을 행하지 않음과 유익(有益)의 성취
자신의 심(心)을 깨끗이 하는 것, 이것이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다.
‘anūpavādo anūpaghāto, pātimokkhe ca saṃvaro.
mattaññutā ca bhattasmiṃ, pantañca sayanāsanaṃ.
adhicitte ca āyogo, etaṃ buddhānasāsanan’ti.
모욕하지 않고, 해치지 않고, 계목 위에서 단속하는 것
음식에 대해 절제하고, 홀로 머물며 앉고 눕는 것
심(心)의 집중 위에서 노력하는 것, 이것이 부처님들의 가르침이다.
※ tapo[고행(苦行)[난행(難行)-계행(戒行)-수도(修道) → 종교적인 삶]에 대해서는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4_02&wr_id=50를 참고하십시오.
※ titikkhā: endurance(인내), forgiveness(용서), longsuffering(참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