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22.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법념처 - 장애] dhammānupassanā nīvaraṇapabbaṃ (DN 22.10)
이 내용은 dutiyasoceyyasuttaṃ (AN 3.122-청결 경2)에 의하면 의(意)의 청결입니다.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6_02&wr_id=3
“kathañca pana,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idha,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pañcasu nīvaraṇesu. kathañca pana,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viharati pañcasu nīvaraṇesu?
어떻게, 비구들이여, 비구가 현상(法)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머무는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오장(五障)-오개(五蓋)]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보면서 머문다. 어떻게, 비구들이여, 비구가 다섯 가지 장애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보면서 머무는가?
“idha, bhikkhave, bhikkhu santaṃ vā ajjhattaṃ kāmacchandaṃ‘atthi me ajjhattaṃ kāmacchando’ti pajānāti, asantaṃ vā ajjhattaṃ kāmacchandaṃ ‘natthi me ajjhattaṃ kāmacchando’ti pajānāti, yathā ca anuppannassa kāmacchandassa 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uppannassa kāmacchandassa pahānaṃ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pahīnassa kāmacchandassa āyatiṃ an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안에 소유의 관심이 있을 때 ‘내 안에 소유의 관심이 있다.’라고 분명히 알고, 안에 소유의 관심이 없을 때 ‘내 안에 소유의 관심이 없다.’라고 분명히 안다. 생겨나지 않은 소유의 관심이 생겨나면 생겨났다고 분명히 알고, 생겨난 소유의 관심이 버려지면 버려졌다고 분명히 알며, 버려진 소유의 관심이 이후에 생겨나지 않으면 생겨나지 않는다고 분명히 안다.
“santaṃ vā ajjhattaṃ byāpādaṃ ‘atthi me ajjhattaṃbyāpādo’ti pajānāti, asantaṃ vā ajjhattaṃ byāpādaṃ ‘natthi me ajjhattaṃbyāpādo’ti pajānāti, yathā ca anuppannassa byāpādassa 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uppannassa byāpādassa pahānaṃ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pahīnassa byāpādassa āyatiṃ an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안에 진에가 있을 때 ‘내 안에 진에가 있다.’라고 분명히 알고, 안에 진에가 없을 때 ‘내 안에 진에가 없다.’라고 분명히 안다. 생겨나지 않은 진에가 생겨나면 생겨났다고 분명히 알고, 생겨난 진에가 버려지면 버려졌다고 분명히 알며, 버려진 진에가 이후에 생겨나지 않으면 생겨나지 않는다고 분명히 안다.
“santaṃ vā ajjhattaṃ thinamiddhaṃ ‘atthi me ajjhattaṃthinamiddhan’ti pajānāti, asantaṃ vā ajjhattaṃ thinamiddhaṃ ‘natthi me ajjhattaṃthinamiddhan’ti pajānāti, yathā ca anuppannassa thinamiddhassa 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uppannassa thinamiddhassa pahānaṃ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pahīnassa thinamiddhassa āyatiṃ an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안에 해태-혼침이 있을 때 ‘내 안에 해태-혼침이 있다.’라고 분명히 알고, 안에 해태-혼침이 없을 때 ‘내 안에 해태-혼침이 없다.’라고 분명히 안다. 생겨나지 않은 해태-혼침이 생겨나면 생겨났다고 분명히 알고, 생겨난 해태-혼침이 버려지면 버려졌다고 분명히 알며, 버려진 해태-혼침이 이후에 생겨나지 않으면 생겨나지 않는다고 분명히 안다.
“santaṃ vā ajjhattaṃ uddhaccakukkuccaṃ ‘atthi me ajjhattaṃuddhaccakukkuccan’ti pajānāti, asantaṃ vā ajjhattaṃ uddhaccakukkuccaṃ ‘natthi me ajjhattaṃuddhaccakukkuccan’ti pajānāti, yathā ca anuppannassa uddhaccakukkuccassa 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uppannassa uddhaccakukkuccassa pahānaṃ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ca pahīnassa uddhaccakukkuccassa āyatiṃ an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안에 들뜸-후회가 있을 때 ‘내 안에 들뜸-후회가 있다.’라고 분명히 알고, 안에 들뜸-후회가 없을 때 ‘내 안에 들뜸-후회가 없다.’라고 분명히 안다. 생겨나지 않은 들뜸-후회가 생겨나면 생겨났다고 분명히 알고, 생겨난 들뜸-후회가 버려지면 버려졌다고 분명히 알며, 버려진 들뜸-후회가 이후에 생겨나지 않으면 생겨나지 않는다고 분명히 안다.
“santaṃ vā ajjhattaṃ vicikicchaṃ ‘atthi me ajjhattaṃvicikicchā’ti pajānāti, asantaṃ vā ajjhattaṃ vicikicchaṃ ‘natthi me ajjhattaṃvicikicchā’ti pajānāti, yathā ca anuppannāya vicikicchāya 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uppannāya vicikicchāya pahānaṃ hoti tañca pajānāti, yathā ca pahīnāya vicikicchāya āyatiṃ anuppādo hoti tañca pajānāti.
안에 의심이 있을 때 ‘내 안에 의심이 있다.’라고 분명히 알고, 안에 의심이 없을 때 ‘내 안에 의심이 없다.’라고 분명히 안다. 생겨나지 않은 의심이 생겨나면 생겨났다고 분명히 알고, 생겨난 의심이 버려지면 버려졌다고 분명히 알며, 버려진 의심이 이후에 생겨나지 않으면 생겨나지 않는다고 분명히 안다.
“iti ajjhattaṃ 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bahiddhā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ajjhattabahiddhā 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samudayadhammānupassī vā dhammesu viharati, vayadhammānupassī vā dhammesu viharati, samudayavayadhammānupassīvā dhammesu viharati ‘atthi dhammā’ti vā panassa sati paccupaṭṭhitā hoti yāvadeva ñāṇamattāya paṭissatimattāya anissito ca viharati, na ca kiñci loke upādiyati. evampi kho,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pañcasu nīvaraṇesu.
이렇게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안에 머물거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밖에 머물거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안팎에 머문다. 또는 자라나는 법을 이어 보면서 현상에 머물거나, 무너지는 법을 이어 보면서 현상에 머물거나, 자라나고 무너지는 법을 이어 보면서 현상에 머문다. 또는 오직 앎[지(知)]만이 있고 밀착된 사띠만이 있을 때까지, ‘현상이 있다!’라고 사띠를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붙잡지 않는다. 이렇게도, 비구들이여,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보면서 머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