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22.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법념처 - 오온] dhammānupassanā khandhapabbaṃ (DN 22.11)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kathañca pana,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idha, bhikkhave, bhikkhu — ‘iti rūpaṃ,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ṅgamo; iti vedanā, iti vedanāya samudayo, iti vedanāya atthaṅgamo; iti saññā, iti saññāya samudayo, iti saññāya atthaṅgamo; iti saṅkhārā, iti saṅkhārānaṃ samudayo, iti saṅkhārānaṃ atthaṅgamo, iti viññāṇaṃ,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ṅgamo’ti, iti ajjhattaṃ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bahiddhā 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ajjhattabahiddhāvā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samudayadhammānupassī vā dhammesu viharati, vayadhammānupassī vā dhammesu viharati, samudayavayadhammānupassī vā dhammesu viharati. ‘atthi dhammā’ti vā panassa sati paccupaṭṭhitā hoti yāvadeva ñāṇamattāya paṭissatimattāya, anissito ca viharati, na ca kiñci loke upādiyati. evampi kho, bhikkhave, bhikkhu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오취온(五取蘊)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보면서 머문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가 오취온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보면서머무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이렇게 색(色)이 있고, 이렇게 색(色)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색(色)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수(受)가 있고, 이렇게 수(受)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수(受)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상(想)이 있고, 이렇게 상(想)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상(想)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행(行)들이 있고, 이렇게 행(行)들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행(行)들의 줄어듦이 있다. 이렇게 식(識)이 있고, 이렇게 식(識)의 자라남이 있고, 이렇게 식(識)의 줄어듦이 있다.’라고,
이렇게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안에 머물거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밖에 머물거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안팎에 머문다. 또는 자라나는 법을 이어 보면서 현상에 머물거나, 무너지는 법을 이어 보면서 현상에 머물거나, 자라나고 무너지는 법을 이어 보면서 현상에 머문다. 또는 오직 앎[지(知)]만이 있고 밀착된 사띠만이 있을 때까지, ‘현상이 있다!’라고 사띠를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붙잡지 않는다. 이렇게도, 비구들이여, 비구는 다섯 가지 장애의 현상들에서 현상을 이어보면서 머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