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22.mahāsatipaṭṭhānasuttaṃ
[법념처 - 진리 -고멸성제] nirodhasaccaniddeso (DN 22.17)
“katamañca, bhikkhave,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yo tassāyeva taṇhāya asesavirāganirodho cāgo paṭinissaggo mutti anālayo.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고멸성제(苦滅聖諦)인가? 그 애(愛)가 남김없이 바랜 소멸, 포기, 놓음, 풀림, 잡지 않음이다.
“sā kho panesā, bhikkhave, taṇhā kattha pahīyamānāpahīyati, ka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y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다시 비구들이여, 애(愛)는 버려질 때 어디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어디에서 소멸하는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kiñca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cakkhu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ot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hān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nirujjhati. jiv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kāy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man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무엇이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인가? 안(眼)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이(耳)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비(鼻)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설(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신(身)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의(意)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rūp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add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and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ras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phoṭṭhabb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dhamm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색(色)들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성(聲)들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향(香)들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미(味)들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촉(觸)들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법(法)들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cakkhuviññāṇ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otaviññāṇ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hānaviññāṇ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jivhāviññāṇ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kāyaviññāṇaṃ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manoviññāṇaṃ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안식(眼識)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이식(耳識)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비식(鼻識)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설식(舌識)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신식(身識)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의식(意識)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cakkhusamphass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otasamphass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hānasamphass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jivhāsamphasso loke piyarūpaṃ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kāyasamphass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manosamphasso loke piyarūpaṃ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안촉(眼觸)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이촉(耳觸)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비촉(鼻觸)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설촉(舌觸)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신촉(身觸)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의촉(意觸)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cakkhusamphassajā ved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otasamphassajāved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hānasamphassajā vedanā loke piyarūpaṃ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jivhāsamphassajā ved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kāyasamphassajāved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manosamphassajā ved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nirujjhati.
안촉(眼觸)에서 생긴 수(受)[안촉생수(眼觸生受)]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이촉(耳觸)에서 생긴 수(受)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비촉(鼻觸)에서 생긴 수(受)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설촉(舌觸)에서 생긴 수(受)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신촉(身觸)에서 생긴 수(受)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의촉(意觸)에서 생긴 수(受)[의촉생수(意觸生受)]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rūpasaññ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addasaññā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andhasaññ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rasasaññā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phoṭṭhabbasaññ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nirujjhati. dhammasaññ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색상(色想)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성상(聲想)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향상(香想)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미상(味想)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촉상(觸想)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법상(法想)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rūpasañcet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addasañcet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andhasañcet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rasasañcet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phoṭṭhabbasañcetanā loke piyarūpaṃ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dhammasañcetan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색사(色思-색의 의도)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성사(聲思)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향사(香思)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미사(味思)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촉사(觸思)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법사(法思)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rūpataṇ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addataṇ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andhataṇ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rasataṇ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phoṭṭhabbataṇhā loke piyarūpaṃ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dhammataṇhā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색애(色愛)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성애(聲愛)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향애(香愛)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미애(味愛)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촉애(觸愛)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법애(法愛)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rūpavitakk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addavitakk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andhavitakk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rasavitakk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phoṭṭhabbavitakk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dhammavitakk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색심(色尋-색의 위딱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성심(聲尋-성의 위딱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향심(香尋-향의 위딱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미심(味尋-미의 위딱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촉심(觸尋-촉의 위딱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법심(法尋-법의 위딱까)은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rūpavicār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saddavicār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gandhavicār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rasavicāro loke piyarūpaṃ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phoṭṭhabbavicār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dhammavicāro loke piyarūpaṃ sātarūpaṃ, etthesā taṇhā pahīyamānā pahīyati, ettha nirujjhamānā nirujjhati. idaṃ vuccati, bhikkhave, dukkhanirodhaṃ ariyasaccaṃ.
색사(色伺-색의 위짜라)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성사(聲伺-성의 위짜라)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향사(香伺-향의 위짜라)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미사(味伺-미의 위짜라)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촉사(觸伺-촉의 위짜라)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법사(法伺-법의 위짜라)는 세상에 있는 마음을 끌고 즐거운 것이다. 애는 버려질 때 여기에서 버려지고, 소멸할 때 여기에서 소멸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고멸성제(苦滅聖諦)라고 불린다.
Comments
대원행
2024.07.06 20:29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4&wr_id=109 참조 (애(愛)의 정의 & 존재화와 자기화 ― (AN 4.128-여래의 놀라움 경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