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uppatiṭṭhitapādatālakkhaṇaṃ (DN 30.2-삼십이상 경, 발바닥이 편평한 특징)
7. lakkhaṇasuttaṃ, (1) suppatiṭṭhitapādatālakkhaṇaṃ (DN 30.2-삼십이상 경, 발바닥이 편평한 특징)
비구들이여, 이전의 생(生)과 이전의 존재와 이전의 거처와 이전의 인간이었을 때 여래는 유익한 법들을 열심히 실천했다. 몸의 좋은 행위, 말의 좋은 행위, 의(意)의 좋은 행위, 보시를 베풂, 계를 지님, 포살의 준수, 어머니를 섬김, 아버지를 섬김, 사문을 섬김, 바라문을 섬김, 가문의 어른을 존경함, 다른 높은 유익한 법들에 대한 실천에 흔들림이 없었다.
그는 그 업(業)의 지어짐, 쌓임, 넘침, 풍부함 때문에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 그는 거기서 다른 신들을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색(色), 하늘의 성(聲), 하늘의 향(香), 하늘의 미(味), 하늘의 촉(觸)의 열 가지 경우에 의해 능가했다. 거기로부터 죽어 지금 상태로 온 그는 발바닥이 편평한 대인상(大人相)을 얻는다. ― 그는 편평한 발로 땅을 딛고, 편평하게 들어 올리고, 발바닥 전체로써 편평하게 땅을 딛는다.
만약 그런 상(相)을 갖춘 그가 재가에 살면 법을 가진 자, 법의 왕, 사방을 정복한 승리자, 국토의 안전을 달성한 자, 일곱 가지 보배를 갖춘 자인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된다. 그에게 윤보(輪寶), 상보(象寶), 마보(馬寶), 보배보(寶貝寶), 여인보(女人寶), 장자보(長者寶) 그리고 주장신보(主藏臣寶)를 일곱 번째로 하는 이런 일곱 가지 보배가 있다. 씩씩하고 용감함을 갖추고 다른 군대를 압도하는 천 명이 넘는 아들들이 있다. 그는 황무지가 없고 징조가 없고 강도가 없고 번영하고 부유하고 안전하고 보호되고 곤경이 없는, 바다에서 끝나는 이 땅을 몽둥이에 의하지 않고 칼에 의하지 않고 법에 의해 정복하여 정착한다.
왕이 되면 무엇을 얻는가? 어떤 인간 존재에서든 대립하는 적들에 의한 장애가 없다. 왕이 되면 이것을 얻는다.
만약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하면 세상에서 윤회의 장막을 벗긴 아라한, 정등각이 된다. 부처가 되면 무엇을 얻는가? 탐-진-치거나 사문-바라문-신-마라-범천 또는 세상의 누구거나, 안이나 밖의 대립하는 적들에 의한 장애가 없다. 부처가 되면 이것을 얻는다.
203. tatthetaṃ vuccati —
“sacce ca dhamme ca dame ca saṃyame,
soceyyasīlālayuposathesu ca.
dāne ahiṃsāya asāhase rato,
daḷhaṃ samādāya samattamācari.
“so tena kammena divaṃ samakkami,
sukhañca khiḍḍāratiyo ca anvabhi.
tato cavitvā punarāgato idha,
samehi pādehi phusī vasundharaṃ.
“byākaṃsu veyyañjanikā samāgatā,
samappatiṭṭhassa na hoti khambhanā.
gihissa vā pabbajitassa vā puna,
taṃ lakkhaṇaṃ bhavati tadatthajotakaṃ.
“akkhambhiyo hoti agāramāvasaṃ,
parābhibhū sattubhi nappamaddano.
manussabhūtenidha hoti kenaci,
akkhambhiyo tassa phalena kammuno.
“sace ca pabbajjamupeti tādiso,
nekkhammachandābhirato vicakkhaṇo.
aggo na so gacchati jātu khambhanaṃ,
naruttamo esa hi tassa dhammatā”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