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6) parimaṇḍalānonamajaṇṇuparimasanalakkhaṇāni (DN 30.12-삼십이상경, 둥글…
7. lakkhaṇasuttaṃ, (15-16) parimaṇḍalānonamajaṇṇuparimasanalakkhaṇāni (DN 30.12-삼십이상경, 둥글고 굽히지 않은 채 무릎에 닿는 특징)
“비구들이여, 이전의 생(生)과 이전의 존재와 이전의 거처와 이전의 인간이었을 때 여래는 대중을 따르게 하는 것을 생각하면서 편견 없이 알고, 스스로 알고, 사람을 알고, 사람의 차이를 알고, ‘이 사람은 이것에 적합하고, 이 사람은 이것에 적합하다.’라고 그때그때 사람의 차이를 분별하였다. 그는 그 업(業)의 지어짐, 쌓임, 넘침, 풍부함 때문에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 그는 거기서 다른 신들을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색(色), 하늘의 성(聲), 하늘의 향(香), 하늘의 미(味), 하늘의 촉(觸)의 열 가지 경우로써 능가한다. 거기로부터 죽어 지금 상태로 온 그는 니그로다 나무처럼 둥글고, 서서 아래로 굽히지 않은 채 양손으로 무릎에 닿고 두드리는 두 가지 대인상(大人相)을 얻는다.
만약 그런 상(相)을 갖춘 그가 재가에 살면 법을 가진 자, 법의 왕, 사방을 정복한 승리자, 국토의 안전을 달성한 자, 일곱 가지 보배를 갖춘 자인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된다. 그에게 윤보(輪寶), 상보(象寶), 마보(馬寶), 보배보(寶貝寶), 여인보(女人寶), 장자보(長者寶) 그리고 주장신보(主藏臣寶)를 일곱 번째로 하는 이런 일곱 가지 보배가 있다. 씩씩하고 용감함을 갖추고 다른 군대를 압도하는 천 명이 넘는 아들들이 있다. 그는 황무지가 없고 징조가 없고 강도가 없고 번영하고 부유하고 안전하고 보호되고 곤경이 없는, 바다에서 끝나는 이 땅을 몽둥이에 의하지 않고 칼에 의하지 않고 법에 의해 정복하여 정착한다.
왕이 되면 무엇을 얻는가? 부유하고, 큰 부를 가졌고, 소유한 것이 많고, 금과 은이 풍부하고, 토지와 도구가 풍부하고, 재산과 곡식이 풍부하고. 창고와 곳간은 가득 찬다. 왕이 되면 이것을 얻는다.
만약 그가 집으로부터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하면 세상에서 윤회의 장막을 벗긴 아라한, 정등각이 된다. 부처가 되면 무엇을 얻는가? 부유하고, 큰 부를 가졌고, 소유한 것이 많다. 그에게 이런 부(재산)이 있다. 예를 들면, 믿음의 재산, 계(戒)의 재산, 히리의 재산, 옷땁빠의 재산, 배움의 재산, 보시의 재산, 지혜의 재산이다. 부처가 되면 이것을 얻는다.” 이것의 의미를 세존은 말했다.
223. tatthetaṃ vuccati —
그때 이것을 말했다. ㅡ
“tuliya paṭivicaya cintayitvā,
mahājanasaṅgahanaṃ samekkhamāno.
ayamidamarahati tattha tattha,
purisavisesakaro pure ahosi.
비교하고 고찰하고 생각한 뒤에
대중을 따르게 하는 것을 생각하면서
‘이 사람은 이것에 적합하다.’라고 예전에
그때그때 사람의 차이를 분별하였다.
“mahiñca pana ṭhito anonamanto,
phusati karehi ubhohi jaṇṇukāni.
mahiruhaparimaṇḍalo ahosi,
sucaritakammavipākasesakena.
땅에 서서 굽히지 않은 채
양손이 무릎에 닿는다.
잘 행한 업(業)의 보(報)의 남아 있는 것에 의해
땅에서 자라는 나무처럼 둥근 몸이 되었다.
“bahuvividhanimittalakkhaṇaññū,
atinipuṇā manujā byākariṃsu.
bahuvividhā gihīnaṃ arahāni,
paṭilabhati daharo susu kumāro.
많고 다양한 징표와 특징을 아는
아주 독창적인 사람들이 설명했다.
많고 다양한 재가자에게 적합한 것들을
젊은 나이, 아주 어린 아이가 얻는다.
“idha ca mahīpatissa kāmabhogī,
gihipatirūpakā bahū bhavanti.
yadi ca jahati sabbakāmabhogaṃ,
labhati anuttaraṃ uttamadhanaggan”ti.
여기에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인 재가자에게 어울리는
왕의 많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만약 모든 소유하고자 함을 버리면
위없는 최상이고 으뜸인 재산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