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33.saṅgītisuttaṃ > catukkaṃ
네 가지 입태
“catasso gabbhāvakkantiyo. idhāvuso, ekacco asampajāno mātukucchiṃ okkamati, asampajāno mātukucchismiṃ ṭhāti, asampajāno mātukucchimhā nikkhamati, ayaṃ paṭhamā gabbhāvakkanti. puna caparaṃ, āvuso, idhekacco sampajāno mātukucchiṃ okkamati, asampajāno mātukucchismiṃ ṭhāti, asampajāno mātukucchimhā nikkhamati, ayaṃ dutiyā gabbhāvakkanti. puna caparaṃ, āvuso, idhekacco sampajāno mātukucchiṃ okkamati, sampajāno mātukucchismiṃ ṭhāti, asampajāno mātukucchimhā nikkhamati, ayaṃ tatiyā gabbhāvakkanti. puna caparaṃ, āvuso, idhekacco sampajāno mātukucchiṃ okkamati, sampajāno mātukucchismiṃ ṭhāti, sampajāno mātukucchimhā nikkhamati, ayaṃ catutthā gabbhāvakkanti.
네 가지 태(胎)에 들어옴[입태(入胎)]. 여기, 도반들이여, 어떤 사람은 분명히 알지 못하면서 어머니의 태에 들어오고, 분명히 알지 못하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머물고, 분명히 알지 못하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나온다. 이것이 첫 번째 태에 들어옴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분명히 알면서 어머니의 태에 들어오고, 분명히 알지 못하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머물고, 분명히 알지 못하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나온다. 이것이 두 번째 태에 들어옴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분명히 알면서 어머니의 태에 들어오고, 분명히 알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머물고, 분명히 알지 못하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나온다. 이것이 세 번째 태에 들어옴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분명히 알면서 어머니의 태에 들어오고, 분명히 알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머물고, 분명히 알면서 어머니의 태에서 나온다. 이것이 네 번째 태에 들어옴이다.
Comments
대원행
2022.05.08 19:38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4_18&wr_id=29 참조 (특강) - [부처님오신날 기념 설법] 부처님 탄생 장면의 현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