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가 니까야 > 33.saṅgītisuttaṃ > dasakaṃ
4) 열 가지 성스런 삶
• (AN 10.20-성스러운 삶2)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8_02&wr_id=2
348. “dasa ariyavāsā. idhāvuso, bhikkhu pañcaṅgavippahīno hoti, chaḷaṅgasamannāgato, ekārakkho, caturāpasseno, paṇunnapaccekasacco, samavayasaṭṭhesano, anāvilasaṅkappo, passaddhakāyasaṅkhāro, suvimuttacitto, suvimuttapañño.
열 가지 성스런 삶입니다.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다섯으로 구성된 것을 버리고, 여섯으로 구성된 것을 갖추고, 한 가지를 보호하고, 네 가지를 지지하고, 치우친 진리를 버리고, 집착된 추구를 끝내고, 사유를 휘젓지 않고, 신행(身行)이 진정되고, 심(心)이 잘 해탈되고, 지혜로 잘 해탈합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pañcaṅgavippahīno hoti? idhāvuso, bhikkhuno kāmacchando pahīno hoti, byāpādo pahīno hoti, thinamiddhaṃ pahīnaṃ hoti, uddhaccakukuccaṃ pahīnaṃ hoti, vicikicchā pahīnā hoti. evaṃ kho, āvuso, bhikkhu pañcaṅgavippahīn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다섯으로 구성된 것을 버립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에게 소유의 관심이 버려지고, 진에가 버려지고, 해타-혼침이 버려지고, 들뜸-후회가 버려지고, 의심이 버려집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다섯으로 구성된 것을 버립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chaḷaṅgasamannāgato hoti? idhāvuso, bhikkhu cakkhunā rūpaṃ disvā neva sumano hoti na dummano, upekkhako viharati sato sampajāno. sotena saddaṃ sutvā ... pe ... manasā dhammaṃ viññāya neva sumano hoti na dummano, upekkhako viharati sato sampajāno. evaṃ kho, āvuso, bhikkhu chaḷaṅgasamannāgat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여섯으로 구성된 것을 갖춥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안(眼)으로 색(色)을 보면서 기뻐하지도 않고, 슬퍼하지도 않고, 평정과 사띠와 삼빠잔냐를 가지고 머뭅니다. 이(耳)로 성(聲)을 들으면서 … 비(鼻)로 향(香)을 맡으면서 … 설(舌)로 미(味)를 맛보면서 … 신(身)으로 촉(觸)을 닿으면서 … 의(意)로 법(法)을 인식하면서 기뻐하지도 않고, 슬퍼하지도 않고, 평정과 사띠와 삼빠잔냐를 가지고 머뭅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여섯으로 구성된 것을 갖춥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ekārakkho hoti? idhāvuso, bhikkhu satārakkhena cetasā samannāgato hoti. evaṃ kho, āvuso, bhikkhu ekārakkh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한 가지를 보호합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사띠에 의해 보호된 심(心)을 갖춥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한 가지를 보호합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caturāpasseno hoti? idhāvuso, bhikkhu saṅkhāyekaṃ paṭisevati, saṅkhāyekaṃ adhivāseti, saṅkhāyekaṃ parivajjeti, saṅkhāyekaṃ vinodeti. evaṃ kho, āvuso, bhikkhu caturāpasseno hoti.
도반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네 가지를 지지합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숙고하여 어떤 것을 수용하고, 숙고하여 어떤 것을 참고, 숙고하여 어떤 것을 피하고, 숙고하여 어떤 것을 제거합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네 가지를 지지합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paṇunnapaccekasacco hoti? idhāvuso, bhikkhuno yāni tāni puthusamaṇabrāhmaṇānaṃ puthupaccekasaccāni, sabbāni tāni nunnāni honti paṇunnāni cattāni vantāni muttāni pahīnāni paṭinissaṭṭhāni. evaṃ kho, āvuso, bhikkhu paṇunnapaccekasacc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치우친 진리를 버립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에게 제각각의 사문-바라문들의 제각각의 치우친 진리들은 모두 제거되고, 없어지고, 포기되고, 토해지고, 내뿜어지고, 버려지고, 놓입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치우친 진리를 버립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samavayasaṭṭhesano hoti? idhāvuso, bhikkhuno kāmesanā pahīnā hoti, bhavesanā pahīnā hoti, brahmacariyesanā paṭippassaddhā. evaṃ kho, āvuso, bhikkhu samavayasaṭṭhesan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집착된 추구를 끝냅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에게 소유의 추구가 버려지고, 존재의 추구가 버려지고, 범행(梵行)의 추구가 진정됩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집착된 추구를 끝냅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anāvilasaṅkappo hoti? idhāvuso, bhikkhuno kāmasaṅkappo pahīno hoti, byāpādasaṅkappo pahīno hoti, vihiṃsāsaṅkappo pahīno hoti. evaṃ kho, āvuso, bhikkhu anāvilasaṅkapp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사유를 휘젓지 않습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에게 소유의 사유가 버려지고, 분노의 사유가 버려지고, 폭력의 사유가 버려집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사유를 휘젓지 않습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passaddhakāyasaṅkhāro hoti? idhāvuso, bhikkhu sukhassa ca pahānā dukkhassa ca pahān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ṃ atthaṅgamā adukkhamasukhaṃ upekkhāsatipārisuddhi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evaṃ kho, āvuso, bhikkhu passaddhakāyasaṅkhār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신행(身行)이 진정됩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사라짐으로부터, 괴로움도 즐거움도 없고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신행(身行)이 진정됩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suvimuttacitto hoti? idhāvuso, bhikkhuno rāgā cittaṃ vimuttaṃ hoti, dosā cittaṃ vimuttaṃ hoti, mohā cittaṃ vimuttaṃ hoti. evaṃ kho, āvuso, bhikkhu suvimuttacitto hoti.
도반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심(心)이 잘 해탈합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에게 탐(貪)으로부터 심(心)이 해탈하고, 진(嗔)으로부터 심(心)이 해탈하고, 치(癡)로부터 심(心)이 해탈합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심(心)이 잘 해탈합니다.
“kathañcāvuso, bhikkhu suvimuttapañño hoti? idhāvuso, bhikkhu ‘rāgo me pahīno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ti pajānāti. ‘doso me pahīno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ti pajānāti. ‘moho me pahīno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ti pajānāti. evaṃ kho, āvuso, bhikkhu suvimuttapañño hoti.
어떻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지혜로 잘 해탈합니까?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나에게 탐(貪)은 버려지고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라고 분명히 압니다. ‘나에게 진(嗔)은 버려지고 … 나에게 치(癡)는 버려지고 뿌리 뽑히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고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라고 분명히 압니다. 이렇게, 도반들이여, 비구는 지혜로 잘 해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