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ñcakaṃ (DN 33.8-다섯 가지 해방(解放)의 요소)
10. saṅgītisuttaṃ, pañcakaṃ (DN 33.8-다섯 가지 해방(解放)의 요소)
321. “pañca nissaraṇiyā dhātuyo. idhāvuso, bhikkhuno kāme manasikaroto kāmesu cittaṃ na pakkhandati na pasīdati na santiṭṭhati na vimuccati. nekkhammaṃ kho panassa manasikaroto nekkhamme cittaṃ pakkhandati pasīdati santiṭṭhati vimuccati. tassa taṃ cittaṃ sugataṃ subhāvitaṃ suvuṭṭhitaṃ suvimuttaṃ visaṃyuttaṃ kāmehi. ye ca kāmapaccayā uppajjanti āsavā vighātā pariḷāhā, mutto so tehi, na so taṃ vedanaṃ vedeti. idamakkhātaṃ kāmānaṃ nissaraṇaṃ.
다섯 가지 해방(解放)의 요소 ㅡ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가 소유의 사유를 작의(作意)할 때 심(心)은 소유의 삶에 대해 다가가지 않고 순일해지지 않고 안정되지 않고 해탈하지 않는다. 출리(出離)를 작의할 때 심(心)은 출리에 대해 다가가고 순일해지고 안정되고 해탈한다. 그에게 그 심(心)은 잘 행해졌고 잘 수행되었고 잘 일어났고 잘 해탈했고 소유의 삶에 의한 묶임에서 잘 풀려났다.소유의 사유의 조건으로부터 번뇌들이 생기는 자들에게 걱정과 열기가 있다. 그는 그것들로부터벗어났고, 그 느낌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것이 소유의 삶의 해방이라고 선언된 것이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o byāpādaṃ manasikaroto byāpāde cittaṃ na pakkhandati na pasīdati na santiṭṭhati na vimuccati. abyāpādaṃ kho panassa manasikaroto abyāpāde cittaṃ pakkhandati pasīdati santiṭṭhati vimuccati. tassa taṃ cittaṃ sugataṃ subhāvitaṃ suvuṭṭhitaṃ suvimuttaṃ visaṃyuttaṃ byāpādena. ye ca byāpādapaccayā uppajjanti āsavā vighātā pariḷāhā, mutto so tehi, na so taṃ vedanaṃ vedeti. idamakkhātaṃ byāpādassa nissaraṇaṃ.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진에(瞋恚)를 작의(作意)할 때 심(心)은 진에에 대해 다가가지 않고 순일해지지 않고 안정되지 않고 해탈하지 않는다. 진에(瞋恚) 않음을 작의할 때 심(心)은 진에 않음에 대해 다가가고 순일해지고 안정되고 해탈한다. 그에게 그 심(心)은 잘 행해졌고 잘 수행되었고 잘 일어났고 잘 해탈했고 진에에 의한 묶임에서 잘 풀려났다.진에의 조건으로부터 번뇌들이 생기는 자들에게 걱정과 열기가 있다. 그는 그것들로부터벗어났고, 그 느낌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것이 진에의 해방이라고 선언된 것이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o vihesaṃ manasikaroto vihesāya cittaṃ na pakkhandati na pasīdati na santiṭṭhati na vimuccati. avihesaṃ kho panassa manasikaroto avihesāya cittaṃ pakkhandati pasīdati santiṭṭhati vimuccati. tassa taṃ cittaṃ sugataṃ subhāvitaṃ suvuṭṭhitaṃ suvimuttaṃ visaṃyuttaṃ vihesāya. ye ca vihesāpaccayā uppajjanti āsavā vighātā pariḷāhā, mutto so tehi, na so taṃ vedanaṃ vedeti. idamakkhātaṃ vihesāya nissaraṇaṃ.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폭력을 작의(作意)할 때 심(心)은 폭력에 대해 다가가지 않고 순일해지지 않고 안정되지 않고 해탈하지 않는다. 비폭력을 작의할 때 심(心)은 비폭력에 대해 다가가고 순일해지고 안정되고 해탈한다. 그에게 그 심(心)은 잘 행해졌고 잘 수행되었고 잘 일어났고 잘 해탈했고 폭력에 의한 묶임에서 잘 풀려났다.폭력의 조건으로부터 번뇌들이 생기는 자들에게 걱정과 열기가 있다. 그는 그것들로부터벗어났고, 그 느낌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것이 폭력의 해방이라고 선언된 것이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o rūpe manasikaroto rūpesu cittaṃ na pakkhandati na pasīdati na santiṭṭhati na vimuccati. arūpaṃ kho panassa manasikaroto arūpe cittaṃ pakkhandati pasīdati santiṭṭhati vimuccati. tassa taṃ cittaṃ sugataṃ subhāvitaṃ suvuṭṭhitaṃ suvimuttaṃ visaṃyuttaṃ rūpehi. ye ca rūpapaccayā uppajjanti āsavā vighātā pariḷāhā, mutto so tehi, na so taṃ vedanaṃ vedeti. idamakkhātaṃ rūpānaṃ nissaraṇaṃ.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색(色)을 작의(作意)할 때 심(心)은 색(色)에 대해 다가가지 않고 순일해지지 않고 안정되지 않고 해탈하지 않는다. 무색(無色)을 작의할 때 심(心)은 무색(無色)에 대해 다가가고 순일해지고 안정되고 해탈한다. 그에게 그 심(心)은 잘 행해졌고 잘 수행되었고 잘 일어났고 잘 해탈했고 색(色)들에 의한 묶임에서 잘 풀려났다.색(色)의 조건으로부터 번뇌들이 생기는 자들에게 걱정과 열기가 있다. 그는 그것들로부터벗어났고, 그 느낌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것이 색(色)들의 해방이라고 선언된 것이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o sakkāyaṃ manasikaroto sakkāye cittaṃ na pakkhandati na pasīdati na santiṭṭhati na vimuccati. sakkāyanirodhaṃ kho panassa manasikaroto sakkāyanirodhe cittaṃ pakkhandati pasīdati santiṭṭhati vimuccati. tassa taṃ cittaṃ sugataṃ subhāvitaṃ suvuṭṭhitaṃ suvimuttaṃ visaṃyuttaṃ sakkāyena. ye ca sakkāyapaccayā uppajjanti āsavā vighātā pariḷāhā, mutto so tehi, na so taṃ vedanaṃ vedeti. idamakkhātaṃ sakkāyassa nissaraṇaṃ.
다시,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가 유신(有身)을 작의(作意)할 때 심(心)은 유신(有身)에 대해 다가가지 않고 순일해지지 않고 안정되지 않고 해탈하지 않는다. 유신(有身)의 멸(滅)을 작의할 때 심(心)은 유신(有身)의 멸(滅)에 대해 다가가고 순일해지고 안정되고 해탈한다. 그에게 그 심(心)은 잘 행해졌고 잘 수행되었고 잘 일어났고 잘 해탈했고 유신(有身)에 의한 묶임에서 잘 풀려났다.유신(有身)의 조건으로부터 번뇌들이 생기는 자들에게 걱정과 열기가 있다. 그는 그것들로부터벗어났고, 그 느낌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것이 유신(有身)의 해방이라고 선언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