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tāro dhammā (DN 34.5-네 가지 법)
● cattāro dhammā (DN 34.5-네 가지 법)
네 가지 법은 많은 것을 만들고, 네 가지 법은 닦아야 하고, 네 가지 법은 완전히 알아야 하고, 네 가지 법은 버려야 하고, 네 가지 법은 퇴보로 이끌고, 네 가지 법은 진보로 이끌고, 네 가지 법은 꿰뚫기 어렵고, 네 가지 법은 생기게 해야 하고, 네 가지 법은 실답게 알아야 하고, 네 가지 법은 실현해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이 많은 것을 만듭니까? 네 가지 바퀴 ― 적절한 지역에 사는 것, 고결한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 자기를 바르게 지향하는 것, 그리고 이전에 지은 공덕. 이 네 가지 법이 많은 것을 만듭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닦아야 합니까? 사념처(四念處) ―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몸[신(身)]에서 몸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거한다. 경험[수(受)]에서 경험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마음[심(心)]에서 마음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법(法)에서 법을 이어 보면서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세상에 대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한다.」 이 네 가지 법을 닦아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완전히 알아야 합니까? 네 가지 자량(資糧) ― 「거칠거나 미세한 덩어리진 자량(資糧)[단식(段食)], 촉(觸)이 두 번째이고[촉식(觸食)], 의사(意思)가 세 번째이고[의사식(意思食)], 식(識)이 네 번째[식식(識食)]」 이 네 가지 법을 완전히 알아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까? 네 가지 폭류 ― 「소유의 폭류, 존재의 폭류, 견해의 폭류, 무명의 폭류」 이 네 가지 법을 버려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이 퇴보로 이끕니까? 네 가지 속박 ― 「소유의 속박, 존재의 속박, 견해의 속박, 무명의 속박」 이 네 가지 법이 퇴보로 이끕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네 가지 끊음 ― 「소유의 속박을 끊음, 존재의 속박을 끊음, 견해의 속박을 끊음, 무명의 속박을 끊음」 이 네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이 꿰뚫기 어렵습니까? 네 가지 삼매 ― 「퇴보로 이끄는 삼매, 안정으로 이끄는 삼매, 진보로 이끄는 삼매, 꿰뚫음으로 이끄는 삼매」 이 네 가지 법이 꿰뚫기 어렵습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생기게 해야 합니까? 네 가지 앎 ― 「법에 대한 앎, 뒤따르는 앎, 남들에 대한 앎, 일반적인 앎」 이 네 가지 법을 생기게 해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실답게 알아야 합니까? 사성제(四聖諦) ― 「고성제(苦聖蹄), 고집성제(苦集聖諦), 고멸성제(苦滅聖諦), 고멸도성제(苦滅道聖諦)」 이 네 가지 법을 실답게 알아야 합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을 실현해야 합니까? 네 가지 사문의 결실 ― 「예류과(預流果), 일래과(一來果), 불환과(不還果), 아라한과(阿羅漢果)」 이 네 가지 법을 실현해야 합니다.
이렇게 이런 마흔 가지 법은 자연스럽고, 진실이고, 사실이고, 사실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생겨나지 않는, 여래(如來)께서 바르게 깨달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