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진보로 이끄는 법
6. 진보로 이끄는 법
어떤 한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여리작의(如理作意). 이 한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두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원만함과 좋은 친구를 사귐. 이 두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세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세 가지 선(善)의 뿌리 ― 무망(無望)이라는 선의 뿌리, 무진(無嗔)이라는 선의 뿌리, 무치(無癡)라는 선의 뿌리. 이 세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네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네 가지 끊음 ― 「소유의 속박을 끊음, 존재의 속박을 끊음, 견해의 속박을 끊음, 무명의 속박을 끊음」 이 네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다섯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다섯 가지 기능 ―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사띠의 기능, 삼매의 기능, 지혜의 기능」 이 다섯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여섯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여섯 가지 공경 ―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승에 대해서 공경하고 유순하게 머문다. 법에 대해서 공경하고 유순하게 머문다. 상가에 대해서 공경하고 유순하게 머문다. 공부에 대해서 공경하고 유순하게 머문다. 불방일(不放逸)에 대해서 공경하고 유순하게 머문다. 친절함에 대해서 공경하고 유순하게 머문다.」 이 여섯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일곱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일곱 가지 정법(正法) ―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는 믿음이 있고, 히리가 있고, 옷땁빠가 있고, 많이 배웠고, 열심히 정진하고, 사띠를 확립했고, 지혜가 있다.」 이 일곱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여덟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여덟 가지 시작하는 이유 ― 「여기, 도반들이여, 비구가 일을 해야 한다. 그에게 ‘나는 일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일을 하는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고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먼저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첫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일을 했다. 그에게 ‘나는 일을 했다. 일하는 동안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고할 수 없었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두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길을 가야 한다. 그에게 ‘나는 길을 가야 할 것이다. 그러면 길을 가는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고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먼저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세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길을 갔다. 그에게 ‘나는 길을 갔다. 길을 가는 동안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고할 수 없었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네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마을이나 번화가를 탁발을 위해 걸으면서 거칠거나 좋은 음식을 원하는 만큼 충분히 얻지 못한다. 그에게 ‘나는 마을이나 번화가를 탁발을 위해 걸으면서 거칠거나 좋은 음식을 원하는 만큼 충분히 얻지 못했다. 그런 나의 몸은 가볍고, 준비되었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다섯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마을이나 번화가를 탁발을 위해 걸으면서 거칠거나 좋은 음식을 원하는 만큼 충분히 얻는다. 그에게 ‘나는 마을이나 번화가를 탁발을 위해 걸으면서 거칠거나 좋은 음식을 원하는 만큼 충분히 얻었다. 그런 나의 몸은 힘이 있고, 준비되었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여섯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가 작은 병에 걸린다. 그에게 ‘나는 누워줘야 하는 작은 병에 걸렸다. 그런데 나의 병이 깊어질 수도 있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먼저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일곱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다시 도반들이여, 병에서 회복한 비구가 병에서 회복한 지 오래지 않았다. 그에게 ‘병에서 회복한 나는 병에서 회복한 지 오래지 않다. 그런데 나에게 병이 재발할 수도 있다. 나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먼저 노력을 시작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얻지 못한 것을 얻고, 성취하지 못한 것을 성취하고, 실현하지 못한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한다. 이것이, 도반들이여, 여덟 번째 시작하는 이유이다.」 이 여덟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아홉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아홉 가지 미움의 정복 ― 「‘나에게 손해를 끼쳤다. 그에게 얻어진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나에게 손해를 끼친다. 그에게 얻어지는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나에게 손해를 끼칠 것이다. 그에게 얻어질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내가 사랑하고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손해를 끼쳤다. 그에게 얻어진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내가 사랑하고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손해를 끼친다. 그에게 얻어지는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내가 사랑하고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손해를 끼칠 것이다. 그에게 얻어질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내가 사랑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이익을 주었다. 그에게 얻어진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내가 사랑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이익을 준다. 그에게 얻어지는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내가 사랑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이익을 줄 것이다. 그에게 얻어질 것이 여기 어디에 있는가?’라고 미움을 정복한다.」 이 아홉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
어떤 열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까? 열 가지 선업(善業)의 길 ― 「살생(殺生)을 삼감, 투도(偸盜)를 삼감, 사음(邪淫)을 삼감, 망어(妄語)를 삼감, 양설(兩舌)을 삼감, 악구(惡口)를 삼감, 기어(綺語)를 삼감, 불간탐(不慳貪), 부진에(不瞋恚), 정견(正見)」 이 열 가지 법이 진보로 이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