ākaṅkheyyasuttaṃ (MN 6-원한다면 경)
1. mūlapariyāyavaggo, 6. ākaṅkheyyasuttaṃ (MN 6-원한다면 경)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불렀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계(戒)를 갖추고, 계목(戒目)을 갖추어 머물러야 한다. 계목으로 단속하고, 행동의 영역을 갖추어 작은 결점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머물러야 한다. 받아들인 뒤 학습 계목들 위에서 공부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동료 수행자들의 사랑과 마음에 듦과 존중과 존경이 있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가사와 탁발 음식과 거처와 병(病)의 조건으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얻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내가 가사와 탁발 음식과 거처와 병(病)의 조건으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사용하게 해준 그들에게 큰 결실과 큰 이익이 만들어지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고운 심(心)으로 나를 기억하는 친지와 혈육인 죽은 이들, 돌아가신 분들에게 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내가 불쾌와 유쾌를 극복하기를. 불쾌가 나를 극복하지 않기를. 생겨난 불쾌를 거듭 지배하여 머물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내가 두려움과 무시무시함을 극복하기를. 두려움과 무시무시함이 나를 극복하지 않기를. 생겨난 두려움과 무시무시함을 거듭 지배하여 머물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높은 심(心)에 속하고 지금여기의 행복한 머묾인 사선(四禪)을 원하는 대로 어렵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게 얻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색(色)을 넘어선 무색(無色)의 평화로운 해탈을 몸으로 실현하여 머물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세 가지 족쇄가 완전히 부서졌기 때문에 떨어지지 않고, 확실하고, 깨달음을 겨냥한 흐름에 든 자[예류자(預流者)]이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세 가지 족쇄가 완전히 부서지고 탐진치(貪嗔癡)가 엷어졌기 때문에 한 번만 더 이 세상에 온 뒤에 괴로움을 끝내는 한 번 만 더 돌아올 자[일래자(一來者)]이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오하분결(五下分結)이 완전히 부서졌기 때문에 화생하여 거기서 완전히 열반하는 자이니, 그 세상으로부터 돌아오지 않는 존재[불환자(不還者)]이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기도 하고,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기도 한다.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분말과 성벽과 산을 가로지르기를 허공에서처럼 닿지 않고 간다. 땅에서도 물에서처럼 떠오르고 들어간다. 물에서도 땅에서처럼 빠지지 않고 간다. 허공에서도 가부좌하고 날개 달린 새처럼 간다. 이렇게 강력하고 웅장한 저 달과 해를 손으로 닿아 쓰다듬는다. 범천의 세상까지도 몸으로 나아간다.’라고 여러 가지 종류의 신통을 실행하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 양쪽의 소리를 듣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다른 중생들과 다른 사람들의 심(心)을 심(心)으로 분별하여 분명히 알기를. ― ①탐이 있는 심(心)을 ‘탐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②탐이 없는 심을 ‘탐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③진이 있는 심을 ‘진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④진이 없는 심을 ‘진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⑤치가 있는 심을 ‘치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⑥치가 없는 심을 ‘치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⑦수축된 심을 ‘수축된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⑧흩어진 심을 ‘흩어진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⑨개발된 심을 ‘개발된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⑩개발되지 않은 심을 ‘개발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⑪위가 있는 심을 ‘위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⑫위가 없는 심을 ‘위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⑬삼매를 닦는 심을 ‘삼매를 닦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⑭삼매를 닦지 않는 심을 ‘삼매를 닦지 않는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⑮해탈된 심을 ‘해탈된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 ⑯해탈되지 않은 심을 ‘해탈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알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전생)를 기억하기를 즉 ― 한 번의 생, 두 번의 생, 세 번의 생, 네 번의 생, 다섯 번의 생, 열 번의 생, 스무 번의 생, 서른 번의 생, 마흔 번의 생, 쉰 번의 생, 백 번의 생, 천 번의 생, 십만 번의 생, 세계가 줄어드는[진화] 여러 겁, 세계가 자라나는[퇴보] 여러 겁, 세계가 줄어들고 자라나는 여러 겁을 기억하기를. ― ‘이러이러한 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이러이러한 곳에 태어났다. 그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여기에 태어났다.’라고. 이처럼 상태와 함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를 기억하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천안(天眼)]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고,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선처(善處)]에 가고 나쁜 곳[악처(惡處)]에 가는 것을 보기를.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알기를. ― ‘이들은 신(身)으로 나쁜 삶을 살고 구(口)로 나쁜 삶을 살고 의(意)로 나쁜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고, 삿된 견해를 가졌고, 사견업(邪見業)을 지었다. 이들은 몸의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났다. 그러나 이들은 신(身)으로 좋은 삶을 살고 구(口)로 좋은 삶을 살고 의(意)로 좋은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지 않고, 바른 견해를 지니고, 정견업(正見業)을 지었다. 이들은 몸의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는 것을 보기를.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등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알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를 실천하고, 선(禪)을 무시하지 않고, 자주 빈집에 머물며 위빳사나를 닦아야 한다.
‘비구들이여, 계(戒)를 갖추고, 계목(戒目)을 갖추어 머물러야 한다. 계목으로 단속하고, 행동의 영역을 갖추어 작은 결점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보면서 머물러야 한다. 받아들인 뒤 학습 계목들 위에서 공부해야 한다.’라고 말한 것은 이것을 연(緣)하여 말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그 비구들은 즐거워하면서 세존의 말씀을 기뻐했다.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세 가지 족쇄가 완전히 부서지고 탐진치(貪嗔癡)가 엷어졌기 때문에 한 번만 더 이 세상에 온 뒤에 괴로움을 끝내는 한 번 만 더 돌아올 자[일래자(一來者)]이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계(戒)에 충실하고,
~
비구들이여, 만약 비구가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기를.’이라고 원한다면, 그는 계(戒)에 충실하고, 계(戒)에 충실하고, 내적인 심(心)의 사마타에 매진하고, 선(禪)을 멀리하지 말고, 위빳사나를 닦으면서 더욱 빈집에 머물러야 한다.
여기까지 계(戒)에 충실하고 가 중복돼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