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9.sammādiṭṭhi
[정견 경] 4)십이연기 & 5)무명과 번뇌의 서로 조건됨
“sādh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itvā anumoditvā āyasmantaṃ sāriputtaṃ uttari pañhaṃ apucchuṃ — “siyā panāvuso, aññopi pariyāyo yathā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라뿟따 존자의 말을 기뻐하고 감사한 뒤에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어지는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이고,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이게 하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jarāmaraṇ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samuday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nirodhañca pajānāti,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jarāmaraṇaṃ, katamo jarāmaraṇasamudayo, katamo jarāmaraṇanirodho, katamā jarāmara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arā jīraṇatā khaṇḍiccaṃ pāliccaṃ valittacatā āyuno saṃhāni indriyānaṃ paripāko — ayaṃ vuccatāvuso, jarā. katamañcāvuso, maraṇaṃ?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ā tamhā sattanikāyā cuti cavanatā bhedo antaradhānaṃ maccu maraṇaṃ kālaṃkiriyā khandhānaṃ bhedo, kaḷevarassa nikkhepo, jīvitindriyassupacchedo — idaṃ vuccatāvuso, maraṇaṃ. iti ayañca jarā idañca maraṇaṃ — idaṃ vuccatāvuso, jarāmaraṇaṃ. jātisamudayā jarāmaraṇasamudayo, jātinirodhā jarāmaraṇ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jarāmara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노사(老死)를 꿰뚫어 알고, 노사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노사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노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노사이고, 무엇이 노사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노사의 소멸이고, 무엇이 노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이런저런 중생에 속하는 그러그러한 중생의 무리에서 늙음, 노쇠함, 치아가 부러짐, 머리가 흼, 주름진 피부, 수명의 감소, 기능[근(根)]의 파괴 ― 도반들이여, 이것이 노(老-늙음)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사(死-죽음)입니까? 이런저런 중생에 속하는 그러그러한 중생의 무리로부터 종말, 제거됨, 해체, 사라짐, 사망, 죽음, 서거, 온(蘊)의 해체, 육체를 내려놓음, 명근(命根)의 끊어짐 ― 도반들이여, 이것이 사(死)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늙음과 이러한 죽음 ― 도반들이여, 이것이 노사라고 불립니다. 생의 자라남이 노사의 자라남이고, 생의 소멸이 노사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자량의 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jarāmaraṇ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samud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jarāmara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노사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노사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노사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노사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jātiñca pajānāti, jātisamudayañca pajānāti, jātinirodhañca pajānāti, jāti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jāti, katamo jātisamudayo, katamo jātinirodho, katamā jātinirodhagāminī paṭipadā? yā tesaṃ tesaṃ sattānaṃ tamhi tamhi sattanikāye jāti sañjāti okkanti abhinibbatti khandhānaṃ pātubhāvo, āyatanānaṃ paṭilābho — ayaṃ vuccatāvuso, jāti. bhavasamudayā jātisamudayo, bhavanirodhā jāti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jāti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생(生-태어남)을 꿰뚫어 알고, 생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생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생이고, 무엇이 생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생의 소멸이고, 무엇이 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이런저런 중생에 속하는 그러그러한 중생의 무리에서 태어남, 출생, 나타남, 탄생, 온(蘊)의 출현, 처(處)의 획득 ― 도반들이여, 이것이 생이라고 불립니다. 유(有)의 자라남이 생의 자라남이고, 유의 소멸이 생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jātiṃ pajānāti, evaṃ jāti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jātinirodhaṃ pajānāti, evaṃ jāti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생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생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생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bhavañca pajānāti, bhavasamudayañca pajānāti, bhavanirodhañca pajānāti, bhav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o panāvuso, bhavo, katamo bhavasamudayo, katamo bhavanirodho, katamā bh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tayome, āvuso, bhavā — kāmabhavo, rūpabhavo, arūpabhavo. upādānasamudayā bhavasamudayo, upādānanirodhā bhav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bh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유(有-존재)를 꿰뚫어 알고, 유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유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유이고, 무엇이 유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유의 소멸이고, 무엇이 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욕유(慾有-욕계의 존재), 색유(色有-색계의 존재), 무색유(無色有-무색계의 존재)의 이런 세 가지 유(有)가 있습니다. 취(取)의 자라남이 유의 자라남이고, 취의 소멸이 유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bhavaṃ pajānāti, evaṃ bhav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bhav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bhav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유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유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유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upādānañca pajānāti, upādānasamudayañca pajānāti, upādānanirodhañca pajānāti, upādā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upādānaṃ, katamo upādānasamudayo, katamo upādānanirodho, katamā upādā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attārimāni, āvuso, upādānāni — kāmupādānaṃ, diṭṭhupādānaṃ, sīlabbatupādānaṃ, attavādupādānaṃ. taṇhāsamudayā upādānasamudayo, taṇhānirodhā upādān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upādā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취(取-집착)를 꿰뚫어 알고, 취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취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취이고, 무엇이 취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취의 소멸이고, 무엇이 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욕취(慾取-소유의 집착), 견취(見取-견해의 집착), 계금취(戒禁取-계와 관행의 집착), 아어취(我語取-나의 주장의 집착)의 이런 네 가지 취가 있습니다. 애(愛)의 자라남이 취의 자라남이고, 애의 소멸이 취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upādānaṃ pajānāti, evaṃ upādān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upādān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upādā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취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취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취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taṇhañca pajānāti, taṇhāsamudayañca pajānāti, taṇhānirodhañca pajānāti, taṇh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taṇhā, katamo taṇhāsamudayo, katamo taṇhānirodho, katamā taṇh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taṇhākāyā — rūpataṇhā, saddataṇhā, gandhataṇhā, rasataṇhā, phoṭṭhabbataṇhā, dhammataṇhā. vedanāsamudayā taṇhāsamudayo, vedanānirodhā taṇhā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taṇh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애(愛-갈애)를 꿰뚫어 알고, 애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애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애이고, 무엇이 애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애의 소멸이고, 무엇이 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색애(色愛-형색에 대한 갈애), 성애(聲愛-소리에 대한 갈애), 향애(香愛-냄새에 대한 갈애), 미애(味愛-맛에 대한 갈애), 촉애(觸愛-닿음에 대한 갈애), 법애(法愛-법에 대한 갈애)의 이런 여섯 가지 애의 무리가 있습니다. 수(受)의 자라남이 애의 자라남이고, 수의 소멸이 애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taṇhaṃ pajānāti, evaṃ taṇhā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taṇh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taṇh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애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애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애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애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vedanañca pajānāti, vedanāsamudayañca pajānāti, vedanānirodhañca pajānāti, vedan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vedanā, katamo vedanāsamudayo, katamo vedanānirodho, katamā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vedanākāyā — cakkhusamphassajā vedanā, sotasamphassajā vedanā, ghānasamphassajā vedanā, jivhāsamphassajā vedanā, kāyasamphassajā vedanā, manosamphassajā vedanā. phassasamudayā vedanāsamudayo, phassanirodhā vedanā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vedan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수(受-느낌/경험)를 꿰뚫어 알고, 수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수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수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수이고, 무엇이 수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수의 소멸이고, 무엇이 수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안촉생수(眼觸生受-안촉에서 생긴 느낌), 이촉생수(耳觸生受-이촉에서 생긴 느낌), 비촉생수(鼻觸生受-비촉에서 생긴 느낌), 설촉생수(舌觸生受-설촉에서 생긴 느낌), 신촉생수(身觸生受-신촉에서 생긴 느낌), 의촉생수(意觸生受-의촉에서 생긴 느낌)의 이런 여섯 가지 수의 무리가 있습니다. 촉(觸)의 자라남이 수의 자라남이고, 촉의 소멸이 수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수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vedan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vedan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수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수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수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수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phassañca pajānāti, phassasamudayañca pajānāti, phassanirodhañca pajānāti, phass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o panāvuso, phasso, katamo phassasamudayo, katamo phassanirodho, katamā phass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phassakāyā — cakkhusamphasso, sotasamphasso, ghānasamphasso, jivhāsamphasso, kāyasamphasso, manosamphasso. saḷāyatanasamudayā phassasamudayo, saḷāyatananirodhā phass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phass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촉(觸-만남)을 꿰뚫어 알고, 촉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촉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촉이고, 무엇이 촉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촉의 소멸이고, 무엇이 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안촉(眼觸), 이촉(耳觸), 비촉(鼻觸), 설촉(舌觸), 신촉(身觸), 의촉(意觸)의 이런 여섯 가지 촉(觸)의 무리가 있습니다. 육입(六入)의 자라남이 촉의 자라남고, 육입의 소멸이 촉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phassaṃ pajānāti, evaṃ phass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phass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phass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촉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촉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촉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saḷāyatanañca pajānāti, saḷāyatanasamudayañca pajānāti, saḷāyatananirodhañca pajānāti, saḷāyata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saḷāyatanaṃ, katamo saḷāyatanasamudayo, katamo saḷāyatananirodho, katamā saḷāyata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āni, āvuso, āyatanāni — cakkhāyatanaṃ, sotāyatanaṃ, ghānāyatanaṃ, jivhāyatanaṃ, kāyāyatanaṃ, manāyatanaṃ. nāmarūpasamudayā saḷāyatanasamudayo, nāmarūpanirodhā saḷāyatan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ḷāyatan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육입(六入-여섯 인식 주관)을 꿰뚫어 알고, 육입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육입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육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육입이고, 무엇이 육입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육입의 소멸이고, 무엇이 육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안처(眼處), 이처(耳處), 비처(鼻處), 설처(舌處), 신처(身處), 의처(意處)의 이런 여섯 가지 처(處)가 있습니다. 명색(名色)의 자라남이 육입의 자라남이고, 명색의 소멸이 육입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육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saḷāyatanaṃ pajānāti, evaṃ saḷāyatan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saḷāyatan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saḷāyatan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p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육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육입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육입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육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nāmarūpañca pajānāti, nāmarūpasamudayañca pajānāti, nāmarūpanirodhañca pajānāti, nāmarūp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nāmarūpaṃ, katamo nāmarūpasamudayo, katamo nāmarūpanirodho, katamā nāmarūpanirodhagāminī paṭipadā? vedanā, saññā, cetanā, phasso, manasikāro — idaṃ vuccatāvuso, nāmaṃ; cattāri ca mahābhūtāni, catunnañca mahābhūtānaṃ upādāyarūpaṃ — idaṃ vuccatāvuso, rūpaṃ. iti idañca nāmaṃ idañca rūpaṃ — idaṃ vuccatāvuso, nāmarūpaṃ. viññāṇasamudayā nāmarūpasamudayo, viññāṇanirodhā nāmarūp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nāmarūp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명색(名色-파생된 것과 물질)을 꿰뚫어 알고, 명색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명색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명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명색이고, 무엇이 명색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명색의 소멸이고, 무엇이 명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수(受), 상(想), 사(思), 촉(觸), 작의(作意) ― 도반들이여, 이것이 명(名-파생된 것)이라고 불립니다. 사대(四大)와 사대조색(四大造色) ― 도반들이여, 이것이 색(色-물질)이라고 불립니다. 이렇게 이것이 명(名-파생된 것)이고, 이것이 색(色-물질)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명색이라고 불립니다. 식(識)의 자라남이 명색의 자라남이고, 식의 소멸이 명색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명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nāmarūpaṃ pajānāti, evaṃ nāmarūp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nāmarūp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nāmarūp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명색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명색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명색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명색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viññāṇañca pajānāti, viññāṇasamudayañca pajānāti, viññāṇanirodhañca pajānāti, viññā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aṃ panāvuso, viññāṇaṃ, katamo viññāṇasamudayo, katamo viññāṇanirodho, katamā viññā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chayime, āvuso, viññāṇakāyā — cakkhuviññāṇaṃ, sotaviññāṇaṃ, ghānaviññāṇaṃ, jivhāviññāṇaṃ, kāyaviññāṇaṃ, manoviññāṇaṃ. saṅkhārasamudayā viññāṇasamudayo, saṅkhāranirodhā viññāṇ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viññāṇ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식(識)을 꿰뚫어 알고, 식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식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식이고, 무엇이 식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식의 소멸이고, 무엇이 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의 이런 여섯 가지 식의 무리가 있습니다. 행(行)들의 자라남이 식의 자라남이고, 행들의 소멸이 식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viññāṇaṃ pajānāti, evaṃ viññāṇ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viññāṇ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viññāṇ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 pe ...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식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식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식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식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saṅkhāre ca pajānāti, saṅkhārasamudayañca pajānāti, saṅkhāranirodhañca pajānāti,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e panāvuso, saṅkhārā, katamo saṅkhārasamudayo, katamo saṅkhāranirodho, katamā saṅkhāranirodhagāminī paṭipadā? tayome, āvuso, saṅkhārā — kāyasaṅkhāro, vacīsaṅkhāro, cittasaṅkhāro. avijjāsamudayā saṅkhārasamudayo, avijjānirodhā saṅkhār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saṅkhār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행(行-형성작용)들을 꿰뚫어 알고, 행들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행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행들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행들이고, 무엇이 행들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행들의 소멸이고, 무엇이 행들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신행(身行-몸의 형성 작용), 구행(口行-말의 형성 작용), 심행(心行-심(心)의 형성 작용)의 이런 세 가지 행들이 있습니다. 무명(無明)의 자라남이 행들의 자라남이고, 무명의 소멸이 행들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행들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saṅkhāre pajānāti, evaṃ saṅkhār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saṅkhār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saṅkhār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smī’ti diṭṭhimān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 dhamm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행들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행들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행들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행들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 pe ... apucchuṃ — siyā panāvuso ... pe ...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avijjañca pajānāti, avijjāsamudayañca pajānāti, avijjānirodhañca pajānāti, avijj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ā panāvuso, avijjā, katamo avijjāsamudayo, katamo avijjānirodho, katamā avijj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yaṃ kho, āvuso, dukkhe aññāṇaṃ, dukkhasamudaye aññāṇaṃ, dukkhanirodhe aññāṇaṃ, dukkhanirodhagāminiyā paṭipadāya aññāṇaṃ — ayaṃ vuccatāvuso, avijjā. āsavasamudayā avijjāsamudayo, āsavanirodhā avijjā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avijjā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 있습니까?”라고.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무명(無明)을 꿰뚫어 알고, 무명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무명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무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무명이고, 무엇이 무명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무명의 소멸이고, 무엇이 무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고(苦)에 대한 무지(無知), 고집(苦集)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苦滅)에 대한 무지(無知), 고멸(苦滅)로 이끄는 실천에 대한 무지(無知) ― 도반들이여, 이것이 무명(無明)이라고 불립니다. 루(漏)의 자라남이 무명의 자라남이고, 루의 소멸이 무명의 소멸이고,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무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avijjaṃ pajānāti, evaṃ avijjā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avijjānirodhaṃ pajānāti, evaṃ avijjā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smī’ti diṭṭhimān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 dhamm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무명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무명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무명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무명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sādhāvuso”ti kho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itvā anumoditvā āyasmantaṃ sāriputtaṃ uttari pañhaṃ apucchuṃ — “siyā panāvuso, aññopi pariyāyo yathā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훌륭합니다, 도반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사라뿟따 존자의 말을 기뻐하고 감사한 뒤에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어지는 질문을 하였다. ― “그런데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바른 견해를 가지고 곧은 견해를 가져서, 가르침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갖게 되고, 이 바른 가르침을 성취하게 되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siyā, āvuso.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āsavañca pajānāti, āsavasamudayañca pajānāti, āsavanirodhañca pajānāti, āsavanirodhagāminiṃ paṭipadañca pajānā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ṃ. katamo panāvuso, āsavo, katamo āsavasamudayo, katamo āsavanirodho, katamā ās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ti? tayome, āvuso, āsavā — kāmāsavo, bhavāsavo, avijjāsavo. avijjāsamudayā āsavasamudayo, avijjānirodhā āsavanirodho, ayameva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āsavanirodhagāminī paṭipadā, seyyathidaṃ — sammādiṭṭhi ... pe ... sammāsamādhi.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루(漏-번뇌)를 꿰뚫어 알고, 루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루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그러면 도반들이여, 무엇이 루이고, 무엇이 루의 자라남이고, 무엇이 루의 소멸이고, 무엇이 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까? 도반들이여, 욕루(慾漏-소유의 번뇌), 유루(有漏-존재의 번뇌), 무명루(無明漏-무명의 번뇌)의 이런 세 가지 루가 있습니다. 무명의 자라남이 루의 자라남이고, 무명의 소멸이 루의 소멸입니다. 오직 이것, 정견 … 정정의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도가 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입니다.
“yato kho, āvuso, ariyasāvako evaṃ āsavaṃ pajānāti, evaṃ āsavasamudayaṃ pajānāti, evaṃ āsavanirodhaṃ pajānāti, evaṃ āsavanirodhagāminiṃ paṭipadaṃ pajānāti, so sabbaso rāgānusayaṃ pahāya, paṭighānusayaṃ paṭivinodetvā, ‘asmī’ti diṭṭhimānānusayaṃ samūhanitvā, avijjaṃ pahāya vijjaṃ uppādetvā, diṭṭheva dhamme dukkhassantakaro hoti — ettāvatāpi kho, āvuso, ariyasāvako sammādiṭṭhi hoti, ujugatāssa diṭṭh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āgato imaṃ saddhamman”ti.
도반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렇게 루를 꿰뚫어 알고, 이렇게 루의 자라남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루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이렇게 루의 소멸로 이끄는 실천을 꿰뚫어 알 때, 그는 탐의 잠재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저항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나는 있다!’라는 견해와 자기화의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무명을 버리고 명을 생기게 하고서 지금여기에서 괴로움을 끝냅니다. ― 도반들이여, 그만큼 성스러운 제자는 바른 견해이고 곧은 견해입니다. 가르침들을 확실한 믿음에 의해 갖춘 자이고, 이 바른 가르침으로 온 자입니다.”
idamavocāyasmā sāriputto. attamanā te bhikkhū āyasmato sāriputtassa bhāsitaṃ abhinandunti.
사리뿟따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그 비구들은 즐거워하면서 사리뿟따 존자의 말씀을 기뻐했다.
Comments
보인
2019.10.07 14:5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