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9.sammādiṭṭhi
1.업-2.사식-3.사성제
1. 업(業)
무익(無益) |
무익(無益)의 뿌리 |
유익(有益) |
유익(有益)의 뿌리 |
십악업 (十惡業) |
망(望)-진(嗔)-치(癡) |
십선업 (十善業) |
무망(無望)-무진(無嗔) -무치(無癡) |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淫)-망어(妄語)-양설(兩舌)-악구(惡口)-기어(綺語)-간탐(慳貪)-진에(瞋恚)-사견(邪見) |
불살생(不殺生)-불투도(不偸盜)-불사음(不邪婬)-불망어(不妄語)-불양설(不兩舌)-불악구(不惡口)-불기어(不綺語)-불간탐(不慳貪)-부진에(不瞋恚)-정견(正見) |
2. 사식(四食)
• 누적된 것인 중생을 유지하기 위한, 존재를 추구하는 자를 도와주기 위한 것
자량[식(食)] |
집(集) |
멸(滅) |
도(道) |
단식(段食)-촉식(觸食)- 의사식(意思食)-식식(識食) |
애(愛)의 집(集) |
애(愛)의 멸(滅) |
팔정도(八正道) |
3. 사성제(四聖諦)
고(苦) |
집(集) |
멸(滅) |
도(道) |
생노병사(生老病死)-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원증회고(怨憎會苦)-애별리고(愛別離苦)-구부득고(求不得苦) ― 오취온고(五取蘊苦) |
애(愛) ― 욕애(慾愛)-유애(有愛)-무유애(無有愛) |
애(愛)의 완전히 바랜 소멸, 포기, 놓음, 풀림, 집착의 경향 없음 |
팔정도(八正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