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12.mahāsīhanāda
4.(161-끝) 늙어도 여래에게 지혜의 명쾌함에는 변화가 없음
161. “santi kho pana, sāriputta, eke samaṇabrāhmaṇā evaṃvādino evaṃdiṭṭhino — ‘yāvadevāyaṃ bhavaṃ puriso daharo hoti yuvā susukāḷakeso bhadrena yobbanena samannāgato paṭhamena vayasā tāvadeva paramena paññāveyyattiyena samannāgato hoti. yato ca kho ayaṃ bhavaṃ puriso jiṇṇo hoti vuddho mahallako addhagato vayoanuppatto, āsītiko vā nāvutiko vā vassasatiko vā jātiyā, atha tamhā paññāveyyattiyā, parihāyatī’ti. na kho panetaṃ, sāriputta, evaṃ daṭṭhabbaṃ. ahaṃ kho pana, sāriputta, etarahi jiṇṇo vuddho mahallako addhagato vayoanuppatto, āsītiko me vayo vattati. idha me assu, sāriputta, cattāro sāvakā vassasatāyukā vassasatajīvino, paramāya satiyā ca gatiyā ca dhitiyā ca samannāgatā paramena ca paññāveyyattiyena. seyyathāpi, sāriputta, daḷhadhammā dhanuggaho sikkhito katahattho katūpāsano lahukena asanena appakasireneva tiriyaṃ tālacchāyaṃ atipāteyya, evaṃ adhimattasatimanto evaṃ adhimattagatimanto evaṃ adhimattadhitimanto evaṃ paramena paññāveyyattiyena samannāgatā. te maṃ catunnaṃ satipaṭṭhānānaṃ upādāyupādāya pañhaṃ puccheyyuṃ, puṭṭho puṭṭho cāhaṃ tesaṃ byākareyyaṃ, byākatañca me byākatato dhāreyyuṃ, na ca maṃ dutiyakaṃ uttari paṭipuccheyyuṃ. aññatra asitapītakhāyitasāyitā aññatra uccārapassāvakammā, aññatra niddākilamathapaṭivinodanā apariyādinnāyevassa, sāriputta, tathāgatassa dhammadesanā, apariyādinnaṃyevassa tathāgatassa dhammapadabyañjanaṃ, apariyādinnaṃyevassa tathāgatassa pañhapaṭibhānaṃ. atha me te cattāro sāvakā vassasatāyukā vassasatajīvino vassasatassa accayena kālaṃ kareyyuṃ. mañcakena cepi maṃ, sāriputta, pariharissatha, nevatthi tathāgatassa paññāveyyattiyassa aññathattaṃ. yaṃ kho taṃ, sāriputta, sammā vadamāno vadeyya — ‘asammohadhammo satto loke uppanno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n’ti, mameva taṃ sammā vadamāno vadeyya ‘asammohadhammo satto loke uppanno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n’”ti.
사리뿟따여, ‘성공한 사람이 검은 머리의 소년이고 상서로운 젊음을 갖춘 초년기의 젊은 나이일 때까지는 최상으로 지혜의 명쾌함을 갖춘다. 그러나 이 성공한 사람이 태어난 지 팔십이나 구십이나 백 년이 되어 늙고, 나이 들고, 노쇠하고, 긴 세월을 보냈고, 노후하면, 그때 그에게서 지혜의 명쾌함은 줄어든다.’라는 이런 주장, 이런 견해를 가진 어떤 사문-바라문들이 있다. 그러나 사리뿟따여, 그렇게 보지 않아야 한다. 사리뿟따여, 이제 나는 늙고, 나이 들고, 노쇠하고, 긴 세월을 보냈고, 노후하여 내 나이가 팔십 살이 되었다. 여기, 사리뿟따여, 나에게 백 년의 수명을 가지고 백 년을 살아온 네 명의 제자가 있어서 최상으로 사띠와 영리함과 능력을, 그리고 최상으로 지혜의 명쾌함을 갖추었다고 하자. 예를 들면, 사리뿟따여, 훈련되어 손과 활쏘기 능력을 갖춘 숙련된 궁수는 가벼운 화살로 어렵지 않게 야자나무 그늘을 가로질러 죽일 것이다. 이렇게 특별한 사띠를 가지고, 이렇게 특별한 영리함을 가지고, 이렇게 특별한 능력을 갖춘, 이렇게 최상으로 지혜의 명쾌함을 갖춘 사람들이 있다. 그들이 나에게 사념처(四念處)에 관하여 거듭 질문할 것이다. 거듭 질문받은 나는 그들에게 설명할 것이다. 그들은 나의 설명을 설명 그대로 명심할 것이다. 나에게 두 번 더 되묻지 않을 것이다. 먹고 마시고 씹고 맛보는 것 외에, 대소변을 보는 것 외에 수면과 피로를 푸는 것 외에, 사리뿟따여, 여래의 설법은 다함이 없을 것이다. 법의 구절과 표현에서 여래에게 다함이 없을 것이고, 질문에 대한 여래의 지혜는 다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백 년의 수명을 가지고 백 년을 살아온 나의 네 명의 제자는 백 년이 지나서 죽을 것이다. 사리쁫따여, 만약 그대들이 나를 작은 침상으로 옮긴다고 해도 여래에게 지혜의 명쾌함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 사리뿟따여,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여,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여, 세상을 연민하기 위하여, 신과 인간의 번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혼란스럽지 않은 법을 갖춘 존재가 세상에 나타났다.’라고 바르게 말하는 자가 말한다면, 그것은 나에 대한 것이다.”」
162. tena kho pana samayena āyasmā nāgasamālo bhagavato piṭṭhito ṭhito hoti bhagavantaṃ bījayamāno. atha kho āyasmā nāgasamālo bhagavantaṃ etadavoca — “acchariyaṃ, bhante, abbhutaṃ, bhante! api hi me, bhante, imaṃ dhammapariyāyaṃ sutvā lomāni haṭṭhāni. konāmo ayaṃ, bhante, dhammapariyāyo”ti? “tasmātiha tvaṃ, nāgasamāla, imaṃ dhammapariyāyaṃ lomahaṃsanapariyāyo tveva naṃ dhārehī”ti.
그때, 나가사말라 존자가 세존의 뒤에 서서 세존에게 부채를 부치고 있었다. 나가사말라 존자가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 “대덕이시여, 참으로 놀랍습니다. 대덕이시여, 참으로 신기합니다. 참으로, 대덕이시여, 이 법문을 듣고서 저에게 몸의 털이 곤두섰습니다. 대덕이시여, 이 법문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그렇다면, 나가사말라여, 그대는 이 법문을 ‘몸에 털이 곤두서는 법문’이라고 명심하라.”
idamavoca bhagavā. attamano āyasmā nāgasamāl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īti.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나가사말라 존자는 즐거워하면서 세존의 말씀을 기뻐했다.
Comments
보인
2021.01.20 13:4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