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14. 괴로움 무더기 작은 경[소유의 매력-위험 & 니간타의 고행](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14. 괴로움 무더기 작은 경[소유의 매력-위험 & 니간타의 고행](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0203)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7rfOgY8gzk
욕(慾)-색(色)-수(受)의 매력(魅力-assāda)-위험(危險-ādīnava)-해방(解放-nissaraṇa)에 대한 이전 수업을 간략히 정리한 뒤에 (MN 14-괴로움 무더기 작은 경)을 공부하였습니다.
망(望)-진(嗔)-치(癡)가 심(心)의 오염원이라는 것을 아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부처님은 소유의 삶과 다른 곳, 불선법(不善法)들과 다른 곳에서 기쁨과 행복 그리고 그보다 더 평화로운 다른 것을 얻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한, ‘행복은 행복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고(苦)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라는 고정 관념을 넘어선 ‘소유의 삶과 다른 곳, 불선법(不善法)들과 다른 곳에서 기쁨과 행복 그리고 그보다 더 평화로운 다른 것을 얻음’에 의한 부처님의 성취를 니간타들과의 일화를 통해 설명하는데, ‘행복은 고(苦)에 의해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행복에 의해 성취되는 것’이라는 불교의 방향을 알려줍니다.
1. 발의
1) 삭까 사람 마하나마 ― ‘망(望)은 심(心)의 오염원이고, 진(嗔)은 심(心)의 오염원이고, 치(癡)는 심(心)의 오염원이다.’라고 알지만, 망(望)-진(嗔)-치(癡)의 법이 심(心)을 소진함 → ‘나에게 때로 망(望)의 법들도 심(心)을 소진하며 머물게 하고, 진(嗔)의 법들도 심(心)을 소진하며 머물게 하고, 치(癡)의 법들도 심(心)을 소진하여 머물게 하는 내 안에 버려지지 않은 법이 있는가?’라는 생각이 듦.
2) 부처님
• 그대에게 버려지지 않은 법이 있음
그 법이 버려지면 → 세속에 살지 않고, 소유의 삶을 즐기지 않을 것
그 법이 버려지지 않았음 → 세속에 살고, 소유의 삶을 즐김
• ‘appassādā kāmā bahudukkhā bahupāyāsā, ādīnavo ettha bhiyyo’ti ‘소유의 삶은 매력(魅力)은 적고 괴로움과 절망은 많다. 여기서 위험(危險)은 반복된다.’라고
지혜로써 잘 보지만 소유의 삶과 다른 곳, 불선법(不善法)들과 다른 곳에서 기쁨과 행복 그리고 그보다 더 평화로운 다른 것을
얻지 못하면 → 그만큼 소유의 삶에서 돌고 돔을 넘어서지 못함
얻으면 → 소유의 삶에서 돌고 돔을 넘어섬.
• 깨달음 이전, 깨닫지 못한 보살이었을 때 부처님도 얻지 못했을 때는 벗어남을 선언하지 못했고, 얻었을 때 벗어남을 선언했음.
2. 소유의 삶의 매력(魅力)-위험(危險)-해방(解放)은 무엇인가?
• 스스로 보이는 소유의 삶의 위험(危險)
• 다음 생에 속하는 소유의 삶의 위험(危險)
3. 니간타들을 만난 일화의 소개
• 부처님의 질문 ― 그대 니간타들은 왜 부자연스러움이 초래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들을 경험하면서 앉기를 거부하고 서 있습니까?
• 니간타들의 답변 ― 니간타 나따뿟따의 말을 찬성하고 받아들이고 거기에 만족하고 있음
- 완전한 앎과 봄을 선언하는 니간타 나따뿟따 ― ‘나에게는 걸을 때도 서 있을 때도 잠잘 때도 깨어있을 때도 항상 계속해서 앎과 봄이 나타난다.’ → ‘니간타들이여, 이전에 그대들이 지은 악업이 있다. 그것을 이 심하고 행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부숴야 한다. 또한, 이제 여기서 신(身)으로 단속하고 구(口)로 단속하고 의(意)로 단속하는 것이 미래의 악업을 짓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과거의 업들은 고행으로 부수고, 새로운 업들을 짓지 않음으로써 미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미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업의 부서짐이 있고, 업의 부서짐에서 고(苦)의 부서짐이 있다. 고(苦)의 부서짐에서 수(受)의 부서짐이 있고, 수(受)의 부서짐에서 모든 고(苦)의 부서짐이 있게 된다,’
• 부처님의 논파
- ‘우리는 이전에 존재했는지 존재하지 않았는지’ 압니까?
- ‘우리는 이전에 악업을 지었는지 악업을 짓지 않았는지’ 압니까?
- 얼마만큼의 고(苦)가 부서졌고, 얼마만큼의 고(苦)가 부서져야 하는지, 얼마만큼의 고(苦)가 부서질 때 모든 고(苦)가 부서지는지 압니까?
-지금여기에서의 불선법(不善法)들의 버림과 선법(善法)들의 성취를 압니까?
• 니간타들의 반발 ― 도반 고따마여, 행복은 행복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닙니다. 참으로 행복은 고(苦)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입니다. 도반 고따마여, 행복이 행복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라면, 마가다의 왕 세니야 빔비사라는 행복을 성취했을 것입니다. 마가다의 왕 세니야 빔비사라는 고따마 존자보다 더 행복하게 머뭅니다.
• 부처님의 재논파 ― 부처님이 마가다의 왕 세니야 빔비사라보다 더 행복하게 머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