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15.anumāna
돌이켜 살펴보아야 함[반조(反照)]
184. “tatr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pāpiccho, pāpikānaṃ icchānaṃ vasaṃ gato’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pāpiccho khomhi, pāpikānaṃ icchānaṃ vasaṃ gato’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na khomhi pāpiccho, na pāpikānaṃ icchānaṃ vasaṃ gato’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거기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반조(反照)]. — ‘나는 악한 원함이 있고 악한 원함의 지배를 받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악한 원함이 있고 악한 원함의 지배를 받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不善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악한 원함이 없고 악한 원함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善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attukkaṃsako paravambh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ttukkaṃsako khomhi paravambh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nattukkaṃsako khomhi aparavambh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자기를 높이고 남을 멸시하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자기를 높이고 남을 멸시한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자기를 칭찬하지 않고 남을 멸시하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kodhano kodhābhibhūto’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kodhano khomhi kodhābhibhūto’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na khomhi kodhano kodhābhibhūto’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화를 내고 화에 억눌렸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고 화에 억눌렸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지 않고 화에 억눌리지 않았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kodhano kodhahetu upanāh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kodhano khomhi kodhahetu upanāh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na khomhi kodhano kodhahetu upanāh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화를 내고 화를 원인으로 원한을 품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고 화를 원인으로 원한을 품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지 않고 화를 원인으로 원한을 품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kodhano kodhahetu abhisaṅg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kodhano khomhi kodhahetu abhisaṅg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na khomhi kodhano kodhahetu abhisaṅg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화를 내고 화를 원인으로 고집을 부리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고 화를 원인으로 고집을 부린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지 않고 화를 원인으로 고집을 부리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kodhano kodhasāmantā vācaṃ nicchāretā’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kodhano khomhi kodhasāmantā vācaṃ nicchāretā’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na khomhi kodhano kodhasāmantā vācaṃ nicchāretā’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화를 내고 화난 말을 뱉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고 화난 말을 뱉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화를 내지 않고 화난 말을 뱉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codito codakena codakaṃ paṭippharām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codito khomhi codakena codakaṃ paṭippharām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codakaṃ nappaṭippharām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되갚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되갚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되갚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codito codakena codakaṃ apasādem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codito khomhi codakena codakaṃ apasādem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codakaṃ na apasādem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헐뜯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헐뜯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헐뜯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codito codakena codakassa paccāropem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codakassa paccāropem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codakassa na paccāropem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반박하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반박한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한 자에게 책망으로 반박하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codito codakena aññenaññaṃ paṭicarāmi, bahiddhā kathaṃ apanāmemi,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m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aññenaññaṃ paṭicarāmi, bahiddhā kathaṃ apanāmemi,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m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na aññenaññaṃ paṭicarāmi, na bahiddhā kathaṃ apanāmemi, na kopañca dosañca appaccayañca pātukarom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책망받은 나는 다른 책망으로 다른 책망을 대처하고, 주제 밖의 이야기로 이야기를 떨쳐버리고, 성급함과 진(嗔)과 의혹을 드러내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다른 책망으로 다른 책망을 대처하고, 주제 밖의 이야기로 이야기를 떨쳐버리고, 성급함과 진(嗔)과 의혹을 드러낸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다른 책망으로 다른 책망을 대처하지 않고, 주제 밖의 이야기로 이야기를 떨쳐버리지 않고, 성급함과 진(嗔)과 의혹을 드러내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codito codakena apadāne na sampāyām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apadāne na sampāyām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codito khomhi codakena apadāne sampāyām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책망받은 나는 책망 때문에 과정들을 설명하지 못하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 때문에 과정들을 설명하지 못한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책망받은 나는 책망 때문에 과정들을 설명할 수 있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makkhī paḷās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makkhī khomhi paḷās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makkhī khomhi apaḷās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위선적이고 악의를 품고 있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위선적이고 악의를 품고 있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위선적이지 않고 악의를 품고 있지 않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issukī macchar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issukī khomhi macchar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nissukī khomhi amacchar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질투하고 인색한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질투하고 인색하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질투하지 않고 인색하지 않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saṭho māyāv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saṭho khomhi māyāv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saṭho khomhi amāyāv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교활하고 사기를 치는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교활하고 사기를 친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교활하지 않고 사기를 치지 않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thaddho atimān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thaddho khomhi atimān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tthaddho khomhi anatimān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고집스럽고 오만한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고집스럽고 오만하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고집스럽지 않고 오만하지 않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puna caparaṃ, āvuso, bhikkhunā attanāva attānaṃ evaṃ paccavekkhitabbaṃ — ‘kiṃ nu khomhi sandiṭṭhiparāmāsī ādhānaggāhī duppaṭinissaggī’ti?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sandiṭṭhiparāmāsī khomhi ādhānaggāhī duppaṭinissaggī’ti, tenāvuso, bhikkhunā tesaṃyeva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evaṃ jānāti — ‘asandiṭṭhiparāmāsī khomhi anādhānaggāhī suppaṭinissaggī’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다시, 도반들이여, 비구는 스스로 자신을 이렇게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 ‘나는 세속적인 것에 오염되고, 고치기 힘들고, 놓기 어려운가?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세속적인 것에 오염되고, 고치기 힘들고, 놓기 어렵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그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나는 세속적인 것에 오염되지 않고, 고치기 쉽고, 잘 놓는다.’라고 안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sace, 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sabbepime pāpake akusale dhamme appahīne attani samanupassati, tenāvuso, bhikkhunā sabbesaṃyeva imes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sabbepime pāpake akusale dhamme pahīne attani samanupassa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u.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이들 모든 악한 불선법들이 자신에게서 버려지지 않은 것을 발견한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이들 모든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이들 모든 악한 불선법들이 자신에게서 버려진 것을 발견한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seyyathāpi, āvuso, itthī vā puriso vā, daharo yuvā maṇḍanajātiko, ādāse vā parisuddhe pariyodāte, acche vā udakapatte, sakaṃ mukhanimittaṃ paccavekkhamāno, sace tattha passati rajaṃ vā aṅgaṇaṃ vā, tasseva rajassa vā aṅgaṇassa vā pahānāya vāyamati; no ce tattha passati rajaṃ vā aṅgaṇaṃ vā, teneva attamano hoti — ‘lābhā vata me, parisuddhaṃ vata me’ti. evameva kho, āvuso, sace bhikkhu paccavekkhamāno sabbepime pāpake akusale dhamme appahīne attani samanupassati, tenāvuso, bhikkhunā sabbesaṃyeva imes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vāyamitabbaṃ. sace panāvuso, bhikkhu paccavekkhamāno sabbepime pāpake akusale dhamme pahīne attani samanupassati, tenāvuso, bhikkhunā teneva pītipāmojjena vihātabbaṃ, ahorattānusikkhinā kusalesu dhammesū”ti.
예를 들면, 도반들이여, 청정하고 깨끗한 거울이나 맑은 물에 가서 자기 얼굴을 비추어 보고 있는, 젊고 혈기 있고 장식을 좋아하는 여자나 남자가 있습니다. 만약 거기서 티끌이나 때를 보면 그 티끌이나 때를 버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만약 거기서 티끌이나 때를 보지 못하면 그는 ‘나는 얻었다! 나에게 깨끗함이 있다.’라고 만족해합니다. 이처럼, 도반들이여, 만약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이들 모든 악한 불선법들이 자신에게서 버려지지 않은 것을 발견한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이들 모든 악한 불선법들을 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만약, 도반들이여, 돌이켜 살펴보는 비구가 이들 모든 악한 불선법들이 자신에게서 버려진 것을 발견한다면, 도반들이여, 그 비구는 선법들 위에서 밤낮으로 공부하면서 그 희열과 환희로 머물러야 합니다.
idamavocāyasmā mahāmoggallāno. attamanā te bhikkhū āyasmato mahāmoggallānassa bhāsitaṃ abhinandunti.
마하목갈라나 존자는 이렇게 말했다. 그 비구들은 즐거워하면서 마하목갈라나 존자의 말씀을 기뻐했다.
Comments
대원행
2024.06.16 20:46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4_12&wr_id=13 참조 (‘거울이나 맑은 물에 얼굴을 비춰 보는’의 용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