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22. 뱀의 비유 경1)[아릿타 비구의 견해-뱀의 비유-구분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
▣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22. 뱀의 비유 경1)[아릿타 비구의 견해-뱀의 비유-구분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0414)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HHZS16nYudU
비유 품에 속한 (MN 22-뱀의 비유 경)에는 뱀의 비유와 뗏목의 비유의 두 개의 비유가 나타납니다. 특히, 뗏목의 비유는 금강경에 응용되어 있어 유명한 비유입니다.
[1] 경은 아릿타 비구의 악하고 치우친 견해를 지적하면서 시작됩니다. 아릿타 비구는 ‘세존께서 장애가 된다고 설하신 이 법들은 수용하는 자에게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나는 세존께서 설하신 법을 안다.’라고 주장하는데, 여래의 네 가지 확신[사무소외(四無所畏)] 가운데 세 번째 확신에 대한 잘못된 관점입니다.
비구들이 아릿타 비구를 위해 지적하지만 바로잡을 수 없어 부처님께 보고하고, 부처님은 아릿타 비구를 불러 확인한 뒤 꾸짖는 과정이 경의 첫 번째 주제입니다.
이때, ‘장애가 된다고 말한 법이 수용하는 자에게 장애가 되는 경우’를 「appassādā kāmā vuttā bhagavatā bahudukkhā bahupāyāsā,ādīnavo ettha bhiyyo 소유의 삶은 매력이 적고 괴로움과 절망이 많으며, 여기서 위험은 반복된다고 세존께서 말씀하셨습니다.」의 구절로 설명하는데, 뼈다귀의 비유-고기 조각의 비유-건초 횃불의 비유-숯불 구덩이의 비유-꿈의 비유-빌린 물건의 비유-나무 열매의 비유-도살장의 비유-칼과 창의 비유-뱀 머리의 비유 등 열 가지 비유가 함께 소개됩니다. 열 가지 비유 가운데앞의 일곱 가지는(MN 54-뽀딸리야 경)에서 구체적 내용이 제시되는데, 뒤의 세 가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특히, 아릿타 비구에 대한 이 일화는 율장(律藏) 속죄죄법(pācittiya)에서 계목(戒目)으로 나타납니다. 계목의 제정이 선제적이지 않고 문제 상황에 뒤따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무소외 가운데 나머지 세 가지 확신[정등각(正等覺)-번뇌 다함-바르게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이끎]에 대해서는 제자들 가운데 이견이 없어 문제 상황이 생겨나지 않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2] 경의 두 번째 주제는 뱀의 비유인데, 특히, 구분교(九分敎-navaṅga buddha sāsana)로 제시되는 법(法)은 주목해야 합니다. 이때, 구분교에 속한 아홉 가지는 모두 부처님의 전법 기간인 45년 동안 설해진 가르침의 형태입니다. 결집에서는 니까야와 경(經)이라는 다른 형태로 분류하게 되는데, 이때의 경은 구분교의 아홉 가지 형태를 모두 포괄합니다.
1. 법(法) ― 구분교(九分敎-navaṅga buddha sāsana)
1) sutta – 붓다의 말씀. 산문체
2) geyya(게야) – 응송(應頌)/중송(重頌). 산문체로 설한 뒤 시로 반복하는 형식
3) veyyākaraṇa(웨야-까라나) – 확정적인 설명. 짧고 명확한 것.
4) gātha – 게송, 시구로 되어 있는 가르침
5) udāna – 자설(自說). 감흥어(感興語). 어떤 일, 상황, 의미를 알고 혼잣말로 붓다께서 읊조리신 말씀들
6) itivuttaka – 여시어(如是語). geyya(게야)의 특수한 형식. 인용전달. 제3자의 전언. 리포터 형식의 담마 표현.
7) jātaka – 부처님의 여러 전생 이야기
8) abbhutadhamma – 미증유법(未曾有法). 희유한 공덕, 기적에 관한 교설, 놀랍고 경이로운 이야기. 감복시키는 가르침. acchariyaṃ bho abbhutaṃ bho하는 감탄사가 나오게 하는 가르침
9) vedalla – 대화체의 가르침. 교리문답을 통해 이치를 알게 해 주는 가르침
2. 뱀의 비유 1) 법들의 잘못 붙잡음 = 뱀의 똬리나 꼬리를 잡은 것 ― 어리석은 자들이 법을 익힘 → 법의 의미를 지혜로써 검증하지 않음 → 법들을 이해하지 못함 → 비난-논쟁에서 풀려남의 이익 때문에 법을 익힘 → 어떤 목적을 위해 익힌 법의 의미를 얻지 못함 → 잘못 붙잡은 법들은 손해와 괴로움으로 이끎
3. 뱀의 비유 2) 법들의 잘 붙잡음 = 염소의 발굽 모양의 막대기로 잘 누른 뒤에 목을 잘 잡음 ―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법을 익힘 → 법의 의미를 지혜로써 검증함 → 법들을 이해함 → 비난-논쟁에서 풀려남의 이익 때문에 법을 익히지 않음 → 어떤 목적을 위해 익힌 법의 의미를 얻음 → 잘 붙잡은 법들은 이익과 행복으로 이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