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23.vammika
[indesign 문서] 3. vammikasuttaṃ (MN 23-개미집 경)
3. opammavaggo, 3. vammikasuttaṃ (MN 23-개미집 경)
• 여래-아라한-정등각의 안내를 받는 유학(有學)이 삶의 문제들을 지혜로써 해소하고 번뇌 다한 비구 즉 아라한이 되는 수행의 과정을 비유로써 설명
• 무명(無明)을 해소하는 과정을 「화와 절망 → 의심 → 다섯 가지 장애 → 오취온(五取蘊)의 해소 →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 → 소망과 탐(貪)[애(愛)]의 제거」로 제시함 ⇒ 번뇌 다한 비구=아라한(阿羅漢)
어떤 천신이 꾸마라깟사빠 존자에서 비유를 전하면서 부처님에게 그 의미를 여쭤보라고 하고, 꾸마라깟사빠 존자로부터 전해 들은 비유에 대해 부처님이 설명하는 것으로 이 경은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대(四大)로 구성된 몸의 테두리 안에는 무명의 장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장벽 너머에서 장벽을 버텨주는 것들이 있는데, 화와 절망, 의심, 다섯 가지 장애, 오취온,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 소망과 탐 즉 갈애입니다. 여래-아라한-정등각의 안내를 받아 지혜의 칼로 그것들을 파내어 장벽을 허무는 과정을 그려내는 이 비유는 끝내 무명의 장벽을 허문 번뇌 다한 비구로서 완성됩니다.」
▣ 주제의 확장 ― (32)「kāmaguṇā와 불환자(不還者)」
[pdf 화일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