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sign 문서] pāsarāsisuttaṃ (MN 26-덫 경) ; PTS ㅡ ariyapariyesanāsuttaṃ…
3. opammavaggo, 6. pāsarāsisuttaṃ (MN 26-덫 경) ; PTS ㅡ ariyapariyesanāsuttaṃ(성스러운 구함 경)
• 불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4개의 경 ― (MN 85-보디 왕자 경), (MN 26-덫 경), (MN 36-삿짜까 큰 경), (MN 100-상가라와 경)
• 두 가지 구함 ― 성스러운 구함[열반(涅槃)을 구하는 것]과 성스럽지 못한 구함[재생의 조건(upadhi)을 구하는 것]
• 출가의 이유 ― 성스럽지 못한 구함의 자각에 의해 성스러운 구함을 지향
• 출가의 목적 ― 유익(有益)=선(善) ― 「kiṃkusalagavesī 유익(有益)을 구하여 출가함」
• 성스러운 구함의 방법 ― 다섯 가지 소유의 사유에 묶인 것에 대한 이해 ― 덫에 걸린 사슴의 비유 → 「‘불행에 처했고, 고통에 처했고, 빠삐만뜨는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라고 알아야 한다.」 → 구차제주(九次第住)에 의한 혜해탈자(慧解脫者)
pāsarāsisuttaṃ(MN 26-덫 경)[육차 결집본) 또는 ariyapariyesanāsuttaṃ (성스러운 구함 경)[PTS] ─ ‘그대들이 함께 모이면 두 가지 할 일이 있으니, 법담(法談)이거나 성스러운 침묵’이라고 말하는 이 경의 이름을 ‘덫 경’이라고 할 때는 성스러운 침묵에 대한 구체적 방법으로 함께하는 다섯 비구를 마라의 덫에서 벗어나 깨달음으로 이끄는 실천으로의 구차제주(九次第住)를 설하는 것에 중심을 둔 것이고, ‘성스러운 구함 경’이라고 할 때는 그 목적으로의 열반에 대한 지향을 설하는 것에 중심을 두었다고 이해할 수 있음.
▣ 주제의 확장 ― (32)「kāmaguṇā와 불환자(不還者)」
[pdf 화일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