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29.심재 비유의 큰 경[경의 위력-스승의 오류-데와닷따](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06…
▣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29.심재 비유의 큰 경[경의 위력-스승의 오류-데와닷따](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0630)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xR0PyTBoCgI
이 경은 「데와닷따가 떠나고 오래되지 않은 때」에 설해진 가르침인데, 출가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과정의 중간에 완성되었다고 생각하여 멈추지 말 것을 말합니다. 데와닷따가 떠난 이유를 중간에 멈추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는데, 비구가 출가의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을 심재(心材)를 구하는 자에 비유하여 설명합니다. ― 「이 범행은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이익으로 하지 않고, 계(戒)의 구족을 이익으로 하지 않고, 삼매의 구족을 이익으로 하지 않고, 지(知)와 견(見)을 이익으로 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부동(不動)의 심해탈(心解脫)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범행은 이것이 목적이고, 이것이 정수고, 이것이 완결이다.」라고 말하며 마무리됩니다.
이 경은 「acirapakkante devadatte 데와닷따가 떠나고 오래되지 않은 때」에 설해진 가르침입니다. 출가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과정의 중간에 완성되었다고 생각하여 멈추지 말 것을 말하는데, 데와닷따가 떠난 이유를 중간에 멈추었기 때문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 주제의 확장 ― (36)「데와닷따가 떠나고 오래되지 않은 때」 참조
경은 불교 안팎에서 최악의 사람을 지시하는데, 불교 밖에서는 결실 없음(akiriya)을 주장하는 막칼리 고살라(AN 1.308-321-하나의 법, 세 번째 품), 불교 안에서는 데와닷따(AN 6.62-사람의 기능에 대한 앎 경)입니다.
데와닷따가 나타나는 경들은 제법 많습니다. 율장(律藏)의 용례들은 주로 교단의 분열을 획책한 사건을 설명하고, 경장(經藏)의 용례들은 주로 ①얻음과 존경과 명성 때문이라는 점과 ②죽은 뒤에 지옥에 태어나 일 겁을 머물 것이고, 용서받을 수 없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특히, (AN 9.26-돌기둥 경)은 (AN 9.25-지혜 경)과 대비되어 깨달음에 대한 부처님과 데와닷따의 다른 관점을 보여주는데, 데와닷따가 부처님을 떠나게 되는 직접적인 이유라고 보아야 합니다.
• 부처님 ― 혜(慧)에 의한 심(心)의 실천 → 깨달음이 성취되는 방법 = 참
• 데와닷따 ― 심(心)에 의한 심(心)의 실천 → 깨달음이 성취되지 않는 방법 = 거짓
데와닷따의 용례 경 가운데 「acirapakkante devadatte 데와닷따가 떠나고 오래되지 않은 때」의 용례들을 정리하였습니다. ― 「①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얻어도 즐거워하지 않고 완성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아야 합니다. ②존경이 익어갈수록 준비되지 못한 가엾은 사람은 자신을 해칩니다. ③이렇게 자신을 파괴하고 파멸로 이끌기 위해 데와닷따에게 얻음과 존경과 명성이 생겼습니다. ④그래서 비구는 때때로 자신과 남의 실패와 성공을 돌이켜 살펴보아야 합니다. 여덟 가지 비법(非法) 즉 얻음-잃음-명성-악명-공경-천대-악한 원함-악한 친구가 생겼을 때 거듭 극복하며 머물지 못한 데와닷따는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지옥에 태어나 일 겁을 머물 것이고, 용서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런 선행 공부 위에서 이 경은 믿음으로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비구가 출가의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을 심재(心材)를 구하는 자에 비유하여 설명합니다. ― 가지와 잎사귀에 비유되는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얻어도 즐거워하지 않고 완성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바깥 껍질과 껍질과 심재를 둘러싼 부분의 순서로 비유된 계(戒)와 삼매와 지견(知見)을 얻어도 즐거워하되 완성되었다고 생각하지 않아야 하고, 불방일로써 심재(心材)에 비유된 일시적이지 않은 해탈(asamayavimuttiyā)을 얻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목적의 실현을 「이 범행은 얻음과 존경과 명성을 이익으로 하지 않고, 계(戒)의 구족을 이익으로 하지 않고, 삼매의 구족을 이익으로 하지 않고, 지(知)와 견(見)을 이익으로 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부동(不動)의 심해탈(心解脫)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 범행은 이것이 목적이고, 이것이 정수고, 이것이 완결이다.」라고 말하며 마무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