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36.mahāsaccaka
[InDesign 문서] 6. mahāsaccakasuttaṃ (MN 36-삿짜까 큰 경)
4. mahāyamakavaggo, 6. mahāsaccakasuttaṃ (MN 36-삿짜까 큰 경)
• 불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4개의 경 ― (MN 85-보디 왕자 경), (MN 26-덫 경), (MN 36-삿짜까 큰 경), (MN 100-상가라와 경)
• 몸을 닦지 않음 → 생겨난 즐거운 느낌은 심(心)을 소진하여 머물고,
•심(心)을 닦지 않음 → 생겨난 괴로운 느낌은 심(心)을 소진(消盡)하여 머묾
• 몸을 닦음 ― 즐거운 느낌에 대한 대응력 → 개발된 느낌을 감당
•심(心)을 닦음 ― 괴로운 느낌에 대한 대응력 → 고행(苦行)을 감당
1) 닦지 않은 몸과 닦지 않은 심(心)을 가진 자 ― 몸을 닦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즐거운 느낌이 심(心)을 소진(消盡)하여 머물고, 심(心)을 닦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괴로운 느낌이 심(心)을 소진(消盡)하여 머무는 양쪽 측면을 가진 사람
2) 닦은 몸과 닦은 심(心)을 가진 자 ― 몸을 닦았기 때문에 생겨난 즐거운 느낌이 심(心)을 소진(消盡)하여 머물지 않고, 심(心)을 닦았기 때문에 생겨난 괴로운 느낌이 심(心)을 소진(消盡)하여 머물지 않는 양쪽 측면을 가진 사람
• 즐거운 느낌[개발된 느낌의 과정]과 괴로운 느낌[고행(苦行)의 과정]이 생겨났지만 심(心)을 소진하여 머물지 않은 수행의 과정을 소개함
▣ 주제의 확장 ― (42)「삼매의 상(相)(samādhinimitta)」
[pdf 화일 첨부]
Comments
대원행
2022.04.23 15:17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6&wr_id=8&c_10 참조 (동영상 : 삿짜까 큰 경 - 몸을 닦음-마음을 닦음)
대원행
2022.04.23 15:18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6 참조 (MN 36. 삿짜까 큰 경 관련 페이지)
대원행
2022.04.24 20:33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9_05 참조 (MN 85. 보디왕자 경 관련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