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40.cūḷāssapura
사문에 적합한 실천을 실천하는 자
cūḷāssapurasuttaṃ (MN 40-앗사뿌라 작은 경) 중에서
“kathañca, bhikkhave, bhikkhu samaṇasāmīcippaṭipadaṃ paṭipanno hoti? yassa kassaci, bhikkhave, bhikkhuno abhijjhālussa abhijjhā pahīnā hoti, byāpannacittassa byāpādo pahīno hoti, kodhanassa kodho pahīno hoti, upanāhissa upanāho pahīno hoti, makkhissa makkho pahīno hoti, paḷāsissa paḷāso pahīno hoti, issukissa issā pahīnā hoti, maccharissa macchariyaṃ pahīnaṃ hoti, saṭhassa sāṭheyyaṃ pahīnaṃ hoti, māyāvissa māyā pahīnā hoti, pāpicchassa pāpikā icchā pahīnā hoti, micchādiṭṭhikassa micchādiṭṭhi pahīnā hoti — imesaṃ kho ahaṃ, bhikkhave, samaṇamalānaṃ samaṇadosānaṃ samaṇakasaṭānaṃ āpāyikānaṃ ṭhānānaṃ duggativedaniyānaṃ pahānā ‘samaṇasāmīcippaṭipadaṃ paṭipanno’ti vadāmi. so sabbehi imehi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visuddhamattānaṃ samanupassati. tassa sabbehi imehi pāpakehi akusalehi dhammehi visuddhamattānaṃ samanupassato pāmojjaṃ jāyati, pamuditassa pīti jāyati, pītimanassa kāyo passambhati, passaddhakāyo sukhaṃ vedeti, sukhino cittaṃ samādhiyati.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사문에 적합한 실천을 실천하는 자인가? 비구들이여, 간탐(慳貪)하는 비구에게 간탐이 버려지고, 분노하는 심(心)을 가진 비구에게 분노가 버려지고, 성내는 비구에게 성냄이 버려지고, 원한을 가진 비구에게 원한이 버려지고, 저주하는 비구에게 저주가 버려지고, 횡포 하는 비구에게 횡포가 버려지고, 질투하는 비구에게 질투가 버려지고, 인색한 비구에게 인색이 버려지고, 교활한 비구에게 교활이 버려지고, 사기치는 비구에게 사기가 버려지고, 악한 원(願)을 가진 비구에게 악한 원(願)이 버려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비구에게 삿된 견해가 버려진다. ㅡ 비구들이여, 이런 사문의 때, 사문의 오점, 사문의 찌꺼기, 상실과 비탄의 상태에 태어남을 원인으로 경험해야 하는 비참함을 버림 때문에 ‘사문에 적합한 실천을 실천하는 자’라고 나는 말한다. 그는 이런 모든 악한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청정한 자신을 관찰한다. 이런 모든 악한 불선법(不善法)들로부터 청정한 자신을 관찰하는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희열하는 의(意)에게 몸은 경안(輕安)하다. 경안한 몸은 행복을 느낀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Comments
대원행
2022.04.21 21:44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10&wr_id=3&&#c_7 참조 (동영상 : 앗사뿌라 작은 경 -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