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ūḷāssapurasuttaṃ (MN 40-앗사뿌라 작은 경)
4. mahāyamakavaggo, 10. cūḷāssapurasuttaṃ (MN 40-앗사뿌라 작은 경)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세존은 앙가에서 앗사뿌라라는 앙가의 번화가에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불렀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사람들은 그대들을 ‘사문, 사문’이라고 부른다. ‘그대들은 누구입니까?’라고 질문받은 그대들도 ‘우리는 사문입니다.’라고 인정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불리고, 이렇게 인정하는 그대들은 참으로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 — ‘우리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리라. 이렇게 이것이 우리에게 우리의 사문 됨을 진실케 하고, 인정을 사실이 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가사와 탁발 음식과 거처와 병(病)의 조건으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마련해준 그들에게 우리 위에서 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이 출가는 불임(不姙)이 아니어서 결실이 있고 수확이 있을 것이다.’라고.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지 않는 자인가? 누구든지 간탐하는 자에게 간탐이 버려지지 않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자에게 진에가 버려지지 않고, 화내는 자에게 화가 버려지지 않고, 원한을 품는 자에게 원한이 버려지지 않고, 위선적인 자에게 위선이 버려지지 않고, 악의를 품는 자에게 악의가 버려지지 않고, 질투하는 자에게 질투가 버려지지 않고, 인색한 자에게 인색이 버려지지 않고, 교활한 자에게 교활이 버려지지 않고, 사기 치는 자에게 사기가 버려지지 않고, 나쁜 원함이 있는 자에게 나쁜 원함이 버려지지 않고, 삿된 견해를 가진 자에게 삿된 견해가 버려지지 않는 비구에게, 비구들이여, 사문의 때이고, 사문의 오점이고, 사문의 쓰레기여서 상실과 비탄의 상태에 떨어지게 하고, 비참한 존재를 경험하게 하는 토대가 되는 이런 것들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에 나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지 않는 자’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마따자라는 이름을 가진 양날이 시퍼런 날카로운 무기가 있는데, 겉옷으로 덮이고 싸여 있을 것이다. 그런 비유로써, 비구들이여, 나는 이런 비구의 출가를 말한다.
비구들이여, 나는 큰 가사를 입은 자에게 큰 가사를 입었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나체수행자에게 나체수행자라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더러운 진흙에서 사는 자에게 더러운 진흙에서 산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물에 들어가는 자에게 물에 들어간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나무 밑에 사는 자에게 나무 밑에 산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열린 곳에서 사는 자에게 열린 곳에 산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똑바로 서 있는 자에게 똑바로 서 있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식을 먹는 자에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식을 먹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주문에 의한 명상을 하는 자에게 주문에 의한 명상을 한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나는 엉킨 머리를 하는 자에게 엉킨 머리를 한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만약 큰 가사를 입은 자에게 큰 가사를 입었다는 것만으로 간탐하는 자의 간탐이 버려지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자의 진에가 버려지고, 화내는 자의 화가 버려지고, 원한을 품는 자의 원한이 버려지고, 위선적인 자의 위선이 버려지고, 악의를 품는 자의 악의가 버려지고, 질투하는 자의 질투가 버려지고, 인색한 자의 인색이 버려지고, 교활한 자의 교활이 버려지고, 사기 치는 자의 사기가 버려지고, 나쁜 원함을 가진 자의 나쁜 원함이 버려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자의 삿된 견해가 버려진다면, 갓 태어난 그에게 친구들과 주변 사람들과 친척들과 일가들은 그 큰 가사를 입힐 것이다. — ‘오너라, 예쁜 아이야, 너는 큰 가사를 입은 자가 되어라. 네가 큰 가사를 입고 있을 때 큰 가사를 입었다는 것만으로 간탐하는 너의 간탐이 버려질 것이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너의 진에가 버려질 것이고, 화내는 너에게 화가 버려질 것이고, 원한을 품는 너의 원한이 버려질 것이고, 위선적인 너의 위선이 버려질 것이고, 악의를 품는 너의 악의가 버려질 것이고, 질투하는 너의 질투가 버려질 것이고, 인색한 너의 인색이 버려질 것이고, 교활한 너의 교활이 버려질 것이고, 사기 치는 너의 사기가 버려질 것이고, 나쁜 원함을 가진 너의 나쁜 원함이 버려질 것이고, 삿된 견해를 가진 너의 삿된 견해가 버려질 것이다.’라고 큰 가사를 입은 자가 되는 것만을 부추길 것이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여기서 나는 큰 가사를 입고도 간탐하고, 거슬린 심(心)을 가지고, 화내고, 원한이 있고, 위선적이고, 악의를 품고, 질투하고, 인색하고, 교활하고, 사기 치고, 나쁜 원함을 가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어떤 사람을 보기 때문에 큰 가사를 입은 자에게 큰 가사를 입었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만약 나체수행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더러운 진흙에서 사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물에 들어가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나무 밑에 사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열린 곳에서 사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똑바로 서 있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음식을 먹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주문에 의한 명상을 하는 자에게 … 비구들이여, 만약 엉킨 머리를 하는 자에게 엉킨 머리를 한다는 것만으로 간탐하는 자의 간탐이 버려지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자의 진에가 버려지고, 화내는 자의 화가 버려지고, 원한을 품는 자의 원한이 버려지고, 위선적인 자의 위선이 버려지고, 악의를 품는 자의 악의가 버려지고, 질투하는 자의 질투가 버려지고, 인색한 자의 인색이 버려지고, 교활한 자의 교활이 버려지고, 사기 치는 자의 사기가 버려지고, 나쁜 원함을 가진 자의 나쁜 원함이 버려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자의 삿된 견해가 버려진다면, 갓 태어난 그에게 친구들과 주변 사람들과 친척들과 일가들은 그 엉킨 머리를 하게 할 것이다. — ‘오너라, 예쁜 아이야, 너는 엉킨 머리를 하는 자가 되어라. 네가 엉킨 머리를 하고 있을 때 엉킨 머리를 한다는 것만으로 간탐하는 너의 간탐이 버려질 것이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너의 진에가 버려질 것이고, 화내는 너에게 화가 버려질 것이고, 원한을 품는 너의 원한이 버려질 것이고, 위선적인 너의 위선이 버려질 것이고, 악의를 품는 너의 악의가 버려질 것이고, 질투하는 너의 질투가 버려질 것이고, 인색한 너의 인색이 버려질 것이고, 교활한 너의 교활이 버려질 것이고, 사기 치는 너의 사기가 버려질 것이고, 나쁜 원함을 가진 너의 나쁜 원함이 버려질 것이고, 삿된 견해를 가진 너의 삿된 견해가 버려질 것이다.’라고 엉킨 머리를 하는 자가 되는 것만을 부추길 것이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여기서 나는 엉킨 머리를 하고도 간탐하고, 거슬린 심(心)을 가지고, 화내고, 원한이 있고, 저주하고, 횡포 부리고, 질투하고, 인색하고, 교활하고, 사기 치고, 나쁜 원함을 가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어떤 사람을 보기 때문에 엉킨 머리를 하는 자에게 엉킨 머리를 한다는 것만으로 사문 됨을 말하지 않는다.
어떻게, 비구들이여, 비구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는 자인가? 누구든지 간탐하는 자에게 간탐이 버려지고, 거슬린 심(心)을 가진 자에게 진에가 버려지고, 화내는 자에게 화가 버려지고, 원한을 품는 자에게 원한이 버려지고, 위선적인 자의 위선이 버려지고, 악의를 품는 자의 악의가 버려지고, 질투하는 자에게 질투가 버려지고, 인색한 자에게 인색이 버려지고, 교활한 자에게 교활이 버려지고, 사기 치는 자에게 사기가 버려지고, 나쁜 원함이 있는 자에게 나쁜 원함이 버려지고, 삿된 견해를 가진 자에게 삿된 견해가 버려질 때, 이런 비구에게 나는, 비구들이여, 사문의 때이고, 사문의 오점이고, 사문의 쓰레기여서 상실과 비탄의 상태에 떨어지게 하고, 비참한 존재를 경험하게 하는 토대가 되는 이런 것들을 버렸기 때문에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는 자’라고 말한다. 그는 이 모든 악한 불선법들로부터 청정한 자신을 관찰한다. 이 모든 악한 불선법들로부터 청정한 자신을 관찰하는 그에게 환희가 생긴다. 환희하는 자에게 희열이 생긴다. 의(意)가 희열하면 몸이 진정되고, 몸이 진정된 자는 행복을 경험한다. 행복한 자의 심(心)은 삼매에 들어진다.
그는 자(慈)가 함께한 심(心)으로 한 방향을 두루 미치면서 머문다. 그렇게 두 방향을, 그렇게 세 방향을, 그렇게 네 방향을. 이렇게 위로 아래로 중간방위로, 모든 곳에서 모두에게 펼쳐서 모든 세상을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자(慈)가 함께한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문다. 비(悲)가 함께한 심(心)으로 … 희(喜)가 함께한 심(心)으로 … 사(捨)가 함께한 심(心)으로 한 방향을 두루 미치면서 머문다. 그렇게 두 방향을, 그렇게 세 방향을, 그렇게 네 방향을. 이렇게 위로 아래로 중간방위로, 모든 곳에서 모두에게 펼쳐서 모든 세상을 크고 귀하고 무량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사(捨)가 함께한 심(心)으로 두루 미치면서 머문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맑고 쾌적하고 투명하고 시원한 물이 담긴, 아름다운 둑으로 둘러싸인 매혹적인 연못이 있다. 동쪽에서 열기에 압도되고 열기에 고통받아 피곤하고 두렵고 목마른 사람이 온다 해도 그는 그 호수에 온 뒤에 물로 목마름을 제어할 것이고, 타오르는 열기를 제어할 것이다. 서쪽에서 … 사람이 온다 해도 … 북쪽에서 … 사람이 온다 해도 … 남쪽에서 … 사람이 온다 해도 … 어디에서 열기에 압도되고 열기에 고통받아 피곤하고 두렵고 목마른 사람이 온다 해도 그는 그 호수에 온 뒤에 물로 목마름을 제어할 것이고, 타오르는 열기를 제어할 것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끄샤뜨리야 가문의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자라 해도 그는 여래(如來)가 선언한 법(法)과 율(律)에 온 뒤에는, 이렇게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닦은 뒤에 내적인 가라앉음을 얻는다. 내적인 가라앉음을 원인으로 나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는 자’라고 말한다. 바라문 가문의 … 와이샤 가문의 … 수드라 가문의 … 어떤 가문의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자라 해도 그는 여래(如來)가 선언한 법(法)과 율(律)에 온 뒤에는, 이렇게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닦은 뒤에 내적인 가라앉음을 얻는다. 내적인 가라앉음을 원인으로 나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는 자’라고 말한다.
끄샤뜨리야 가문의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자라 해도 그는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문다.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그는 사문이다. 바라문 가문의 … 와이샤 가문의 … 수드라 가문의 … 어떤 가문의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출가한 자라해도 그는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문다.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그는 사문이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그 비구들은 즐거워하면서 세존의 말씀을 기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