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40.cūḷāssapura
[InDesign 문서] 4. mahāyamakavaggo, 10. cūḷāssapurasuttaṃ (MN 40-앗사뿌라 작은…
4. mahāyamakavaggo, 10. cūḷāssapurasuttaṃ (MN 40-앗사뿌라 작은 경)
• udraya는 수확, phala는 수확된 결실, vipāka는 결실의 경험 → saphalā saudraya는 ‘결실이 있고 수확이 있음’ → 수확하여 결실을 거둠
(MN 39-앗사뿌리 큰 경)에서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사문을 만들고 바라문을 만드는 법들을 받아들여 실천하리라.’라고 공부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MN 40-앗사뿌라 작은 경)에서는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리라.’라고 주제를 전환합니다. 간탐-진에-화-원한-저주-횡포-질투-인색-교활-사기-나쁜 원함-삿된 견해라는 사문의 때-오점-쓰레기들을 버리지 못하면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을 하지 않는 자이고, 적합한 실천을 하는 자는 이것들을 버리고 삼매에 든 뒤 자비희사를 닦아 내적인 가라앉음을 얻습니다. 이어서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과 혜해탈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물면, 사문입니다.
[pdf 화일 첨부]
Comments
대원행
2022.04.21 21:36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10&wr_id=3 참조 (사문에게 적합한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