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43.mahāvedalla
mahābhiññā/mahābhiñña의 용례
mahābhiññā/mahābhiñña의 용례
• mahābhiññā = mahā + abhiññā 큰 실다운 지혜
• abhiññā + tā = abhiññatā 실다운 지혜의 상태
• abhiññā + a = abhiñña 실다운 지혜를 가진 자
1. (SN 13.11-산 경3)
evaṃ mahādhigamo, bhikkhave, diṭṭhisampanno puggalo, evaṃ mahābhiñño”ti 비구들이여, 견해를 갖춘 사람은 이렇게 큰 성취가 있고, 이렇게 큰 실다운 지혜를 가졌다.
⇒ 예류자(預流者)부터 성자들은 실다운 지혜를 가졌음.
2. 마하목갈라나 존자와 관련된 경들 ― (SN 21.1-꼴리따 경), (SN 40.1-초선 질문 경)~(SN 40.9-무상(無相) 질문 경)
yañhi taṃ, āvuso, sammā vadamāno vadeyya — ‘satthārānuggahito sāvako mahābhiññataṃ patto’ti, mamaṃ taṃ sammā vadamāno vadeyya — ‘satthārānuggahito sāvako mahābhiññataṃ patto’”ti
도반들이여, 바르게 말하는 사람이 ‘스승의 도움을 받아 큰 실다운 지혜를 성취한 제자’라고 말한다면, 나에게 그것을 말해야 합니다.
3. 아누룻다 존자와 관련된 경들 ― (SN 47.28-세상 경), (SN 52.3-수따누 경), (SN 52.6-깐다끼 경3), (SN 52.11-천 겁 경)
“katamesaṃ āyasmā anuruddho dhammānaṃ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mahābhiññataṃ patto”ti?
어떤 법들을 닦고 많이 행함에 의해 아누룻다 존자는 큰 실다운 지혜의 상태를 성취하였습니까?
“catunnaṃ khvāhaṃ, āvuso, satipaṭṭhānānaṃ bhāvitattā bahulīkatattā mahābhiññataṃ patto.
도반들이여, 나는 사념처(四念處)를 닦고 많이 행함에 의해 큰 실다운 지혜의 상태를 성취하였습니다.
⇒ 실다운 지혜의 상태는 사념처(四念處)에 의해 성취됨.
Comments
보인
2022.03.05 21:41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20 22:10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03 참조 (MN 43 교리문답의 큰 경 관련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