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44.cūḷavedalla
[InDesign] 4. cūḷavedallasuttaṃ (MN 44-교리문답의 작은 경)
5. cūḷayamakavaggo, 4. cūḷavedallasuttaṃ (MN 44-교리문답의 작은 경)
대개의 경들은 어떤 일화를 소개하면서 그 안에서 어떤 주제를 설명합니다. 하지만 (MN 43-교리문답의 큰 경)에 이어, 이 경도 중요한 교리에 대한 문답을 진행하는데, 위사카 남신자의 질문에 담마딘나 비구니가 답하는 형식으로 어떤 주제들을 직접 설명합니다. 보통의 대화에서 잘 언급되지 않는 심층적인 주제들에 문답을 통해 설명하는데, 삶과 깨달음의 근본을 드러내 줍니다. 특히, 대부분 주제는 삶의 메커니즘 위에서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해석과는 차별되는 설명을 많이 담고 있습니다.
● 질문의 전개 ― 유신(有身) → 취(取) → 유신견(有身見) → 팔정도(八正道) → 삼매(三昧) → 행(行) → 상수멸(想受滅) → 수(受) → 잠재성향[상(想)] → 대응관계[수(受) → 열반(涅槃)]
• 첫 번째 주제 ― 유신과 유신견
• 두 번째 주제 ― 팔정도와 삼매수행
• 세 번째 주제 ― 마음은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 ― 「심행(心行)=상(想)-수(受)」
• 네 번째 주제 ― 심행(心行) = 상(想)-수(受) & 상수멸(想受滅)의 의미
• 다섯 번째 주제 ― 상수멸 & 사리뿟따-목갈라나 상윳따 - 신들에게 설한 법
• 여섯 번째 주제 ― 수(受-느낌/경험)과 잠재성향의 이중 구조
• 일곱 번째 주제 ― 대응 관계 : 수(受-느낌/경험) ~ 열반(涅槃)
[pdf 화일 첨부]
Comments
대원행
2022.04.19 23:18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04 참조 (MN 44 - 교리문답의 작은 경 관련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