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46.법의 획득의 큰 경[싫은 것은 늘어나고 좋은 것은 줄어드는 삶과 반대의 경우](근…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46.법의 획득의 큰 경[싫은 것은 늘어나고 좋은 것은 줄어드는 삶과 반대의 경우](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20223)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7vxB26Mh7eM
대부분 중생은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은 줄어들고,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은 늘어나기를 원하지만,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은 늘어나고,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은 줄어드는 현상의 원인을 실천해야 하는 법들과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알지 못하고, 가까이해야 하는 법들과 가까이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이 주제를 염(念)-정지(正知)[sati-sampajañña]의 측면으로 이해하였는데, 염(念)-정지(正知)하지 못하는 경우는 muṭṭhassaccā(사실을 놓침)-asampajañña(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함)으로 나타납니다. 앙굿따라 니까야 관통 법회와 연계하여 사띠(알아차림-마음챙김)의 반대말이 ‘사실을 놓침’이라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44
이어서 고(苦)의 보(報)를 초래하는 삶과 락(樂)의 보(報)를 초래하는 삶을 네 가지로 설명하는데, ①현재도 괴롭고 미래에도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②현재는 즐겁지만 미래에는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③현재는 괴롭지만 미래에는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④현재도 즐겁고 미래에도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입니다.
1. 대부분 중생이 가진 소유의 사유들-관심-의도 ― ‘참으로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은 줄어들기를!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은 늘어나기를!’
→ 그러나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은 늘어나고,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은 줄어듦 → 그 원인은 무엇인가?
• 배우지 못한 범부 ― 실천해야 하는 법들과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알지 못하고, 가까이해야 하는 법들과 가까이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알지 못함
→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고, 실천해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지 않음. 가까이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가까이하고, 가까이해야 하는 법들을 가까이하지 않음
→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은 늘어나고,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은 줄어들
→ 원인 = 바보이기 때문
•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 ― 실천해야 하는 법들과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알고, 가까이해야 하는 법들과 가까이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앎
→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지 않고, 실천해야 하는 법들을 실천함. 가까이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가까이하지 않고, 가까이해야 하는 법들을 가까이함
→ 원하지 않고 좋아하지 않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들은 줄어들고,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것들은 늘어남
→ 원인 = 현명하기 때문
2. 네 가지 법의 획득 ― ①현재도 괴롭고 미래에도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②현재는 즐겁지만 미래에는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③현재는 괴롭지만 미래에는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④현재도 즐겁고 미래에도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 무명(無明)이 스민 어리석은 자 ―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①-②) 즉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고 피하지 않으며,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③-④) 즉 실천해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지 않고 피함. → 원인 = 바보이기 때문
• 명(明)이 생긴 현명한 자 ―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①-②) 즉 실천하지 않아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지 않고 피하며,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③-④) 즉 실천해야 하는 법들을 실천하고 피하지 않음. → 원인 = 현명하기 때문
3. 네 가지 법의 획득은 무엇인가?
① 현재도 괴롭고 미래에도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 고(苦)와 고뇌(苦惱)를 경험하면서 십악업(十惡業)을 짓고, 그것을 조건으로 고와 고뇌를 경험함[고(苦)] →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남[고보(苦報)]
; 비유 ― 독이 섞인 마실 것이 담긴 쓴 호리병 박에 든 것을 살기를 바라고 죽지 않기를 바라고 즐거움을 바라고 괴로움을 싫어하는 사람이 마심
②현재는 즐겁지만 미래에는 괴로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 락(樂)과 만족을 경험하면서 십악업을 짓고, 십악업을 조건으로 락(樂)과 만족을 경험 경험함[락(樂)] →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남[고보(苦報)]
; 비유 ― 색깔을 갖추고 맛을 갖추고 냄새를 갖춘 마실 것이 담긴 잔에 독이 섞여 있는 것을 살기를 바라고 죽지 않기를 바라고 즐거움을 바라고 괴로움을 싫어하는 사람이 마심
③현재는 괴롭지만 미래에는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 고(苦)와 고뇌(苦惱)를 경험하면서 십악업으로부터 피하고, 십악업을 삼감을 조건으로 고와 고뇌를 경험함[고(苦)] →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남[락보(樂報)]
; 비유 ― 여러 가지 약이 섞인 쇠오줌을 황달에 걸린 사람이 마심
④현재도 즐겁고 미래에도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법의 획득 ― 락(樂)과 만족을 경험하면서 십악업으로부터 피하고, 십악업을 삼감을 조건으로 락과 만족을 경험함[락(樂)] →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남[락보(樂報)]
; 응유와 꿀과 버터와 사탕수수즙을 함께 섞은 것을 피가 나오는 설사를 하는 사람이 마심
4. 결론 ― 현재도 즐겁고 미래에도 즐거운 보(報)가 따르는 이 법의 획득은 다른 범부(凡夫)인 사문-바라문들의 다른 교설들을 물리친 뒤 빛나고 밝고 찬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