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ambiyasuttaṃ (MN 48-꼬삼비 경) 시작부분 491-492
5. cūḷayamakavaggo, 8. kosambiyasuttaṃ (MN 48-꼬삼비 경)
491.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kosambiyaṃ viharati ghositārāme. tena kho pana samayena kosambiyaṃ bhikkhū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nti. te na ceva aññamaññaṃ saññāpenti na ca saññattiṃ upenti, na ca aññamaññaṃ nijjhāpenti, na ca nijjhattiṃ upenti. atha kho aññataro bhikkhu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 ekamantaṃ nisinno kho so bhikkhu bhagavantaṃ etadavoca — “idha, bhante, kosambiyaṃ bhikkhū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nti, te na ceva aññamaññaṃ saññāpenti, na ca saññattiṃ upenti, na ca aññamaññaṃ nijjhāpenti, na ca nijjhattiṃ upentī”ti.
이렇게 나는 들었다. ㅡ 한때 세존은 꼬삼비에서 고시따 사원에 머물렀다. 그때 꼬삼비의 비구들은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물렀다. 서로 간에 설득하지도 않고, 화해하지도 않았다. 서로 간에 호의적으로 처분하지도 않고, 확신하지도 않았다. 그때 어떤 비구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는 세존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여기, 대덕이시여, 꼬삼비의 비구들은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뭅니다. 서로 간에 설득하지도 않고, 화해하지도 않습니다. 서로 간에 호의적으로 처분하지도 않고, 확신하지도 않습니다.”라고.
atha kho bhagavā aññataraṃ bhikkhuṃ āmantesi — “ehi tvaṃ, bhikkhu, mama vacanena te bhikkhū āmantehi — ‘satthā vo āyasmante āmantetī’”ti. “evaṃ, bhante”ti kho so bhikkhu bhagavato paṭissutvā yena te bhikkhū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te bhikkhū etadavoca — “satthā āyasmante āmantetī”ti. “evamāvuso”ti kho te bhikkhū tassa bhikkhuno paṭissutv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e kho te bhikkhū bhagavā etadavoca — “saccaṃ kira tumhe, bhikkhave,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tha, te na ceva aññamaññaṃ saññāpetha, na ca saññattiṃ upetha, na ca aññamaññaṃ nijjhāpetha, na ca nijjhattiṃ upethā”ti? “evaṃ, bhante”. “taṃ kiṃ maññatha, bhikkhave, yasmiṃ tumhe samaye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tha, api nu tumhākaṃ tasmiṃ samaye mettaṃ kāya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a, mettaṃ vacīkammaṃ ... pe ... mettaṃ mano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ā”ti? “no hetaṃ, bhante”. “iti kira, bhikkhave, yasmiṃ tumhe samaye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tha, neva tumhākaṃ tasmiṃ samaye mettaṃ kāya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a, na mettaṃ vacīkammaṃ ... pe ... na mettaṃ mano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a. atha kiñcarahi tumhe, moghapurisā, kiṃ jānantā kiṃ passantā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ṃ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tha, te na ceva aññamaññaṃ saññāpetha, na ca saññattiṃ upetha, na ca aññamaññaṃ nijjhāpetha, na ca nijjhattiṃ upetha? tañhi tumhākaṃ, moghapurisā, bhavissati dīgharattaṃ ahitāya dukkhāyā”ti.
그러자 세존은 어떤 비구에게 말했다. ㅡ “오라, 비구여, 그대는 내 이름으로 그 비구들에게 말하라. ㅡ ‘스승께서 그대 존자들을 부릅니다.’라고.”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는 세존에게 대답한 뒤 그 비구들에게 갔다. 가서는 그 비구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ㅡ “스승께서 존자들을 부릅니다.”라고. “알겠습니다, 도반이여.”라고 그 비구들은 그 비구에게 대답한 뒤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들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비구들이여, 그대들이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문다. 서로 간에 설득하지도 않고, 화해하지도 않는다. 서로 간에 호의적으로 처분하지도 않고, 확신하지도 않는다.’라는 것이 사실인가?” “그렇습니다, 대덕이시여.”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비구들이여? 그대들이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물 때,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신업(身業)을 행하겠는가? 자(慈)와 함께하는 구업(口業)을 …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의업(意業)을 행하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참으로, 비구들이여, 이렇게 그대들이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물 때,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신업(身業)을 행하지 못하고, 자(慈)와 함께하는 구업(口業)을 …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의업(意業)을 행하지 못한다. 그러나 쓸모없는 자들이여, 그대들은 누구인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보는 자이기에 다툼을 일으키고 갈등을 일으키고 논쟁에 빠지고 서로 간에 입의 칼로 찌르며 머무는가? 서로 간에 설득하지도 않고, 화해하지도 않는가? 서로 간에 호의적으로 처분하지도 않고, 확신하지도 않는가? 쓸모없는 자들이여, 그것 때문에 그대들에게 오랫동안 손해와 괴로움이 있을 것이다.”
492. ath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chayime, bhikkhave, dhammā sāraṇīyā piyakaraṇā garukaraṇā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nti. katame cha? idha, bhikkhave, bhikkhuno mettaṃ kāya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a. ayampi dhammo sāraṇīyo piyakaraṇo garukaraṇo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ti.
그리고 세존은 비구들에게 말했다. ㅡ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기억해야 하는 법들은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끈다. 어떤 여섯인가? 여기, 아난다여, 비구가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신업(身業)을 행한다. 이것도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mettaṃ vacī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a. ayampi dhammo sāraṇīyo piyakaraṇo garukaraṇo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ibhāvāya saṃvatta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가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구업(口業)을 행한다. 이것도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no mettaṃ manokammaṃ paccupaṭṭhitaṃ hoti sabrahmacārīsu āvi ceva raho ca. ayampi dhammo sāraṇīyo piyakaraṇo garukaraṇo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가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에 대해서 자(慈)와 함께하는 의업(意業)을 행한다. 이것도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ye te lābhā dhammikā dhammaladdhā antamaso pattapariyāpannamattampi, tathārūpehi lābhehi appaṭivibhattabhogī hoti sīlavantehi sabrahmacārīhi sādhāraṇabhogī. ayampi dhammo sāraṇīyo piyakaraṇo garukaraṇo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가 적절하고 정당하고 법답게 얻은 것들은 그것이 비록 나누어 사용하지 못할 만큼 얻어진 발우에 담긴 적은 것일지라도 계(戒)를 중시하는 동료수행자들과 공동으로 사용한다. 이것도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yāni tāni sīlāni akhaṇḍāni acchiddāni asabalāni akammāsāni bhujissāni viññuppasatthāni aparāmaṭṭhāni samādhisaṃvattanikāni tathārūpesu sīlesu sīlasāmaññagato viharati sabrahmacārīhi āvi ceva raho ca. ayampi dhammo sāraṇīyo piyakaraṇo garukaraṇo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가 깨지지 않고, 끊어지지 않고, 결점이 없고, 얼룩지지 않고, 구속되지 않고, 지자들이 칭찬하고, 움켜쥐지 않고, 삼매로 이끄는 그런 계들을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과 함께 갖추어 머문다. 이것도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다.
“puna caparaṃ, bhikkhave, bhikkhu yāyaṃ diṭṭhi ariyā niyyānikā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a tathārūpāya diṭṭhiyā diṭṭhisāmaññagato viharati sabrahmacārīhi āvi ceva raho ca. ayampi dhammo sāraṇīyo piyakaraṇo garukaraṇo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ti.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가 성스럽고 구원으로 이끌고 그대로 실천하면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견해에 대해서, 함께일 때든 혼자일 때든 동료수행자들과 함께 그런 견해를 갖추어 머문다. 이것도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다.
“ime kho, bhikkhave, cha sāraṇīyā dhammā piyakaraṇā garukaraṇā saṅgahāya avivādāya sāmaggiyā ekībhāvāya saṃvattanti. imesaṃ kho, bhikkhave, channaṃ sāraṇīyānaṃ dhammānaṃ etaṃ aggaṃ etaṃ saṅgāhikaṃ etaṃ saṅghāṭanikaṃ — yadidaṃ yāyaṃ diṭṭhi ariyā niyyānikā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a. seyyathāpi, bhikkhave, kūṭāgārassa etaṃ aggaṃ etaṃ saṅgāhikaṃ etaṃ saṅghāṭanikaṃ yadidaṃ kūṭaṃ; evameva kho, bhikkhave, imesaṃ channaṃ sāraṇīyānaṃ dhammānaṃ etaṃ aggaṃ etaṃ saṅgāhikaṃ etaṃ saṅghāṭanikaṃ yadidaṃ yāyaṃ diṭṭhi ariyā niyyānikā niyyāti takkarassa sammā dukkhakkhayāya.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사랑을 만드는 것이고, 공경을 만드는 것이고, 따르게 함으로, 갈등하지 않음으로, 함께함으로, 일치로 이끄는 기억 해야 하는 법이 있다.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법들 가운데 성스럽고 구원으로 이끌고 그대로 실천하면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견해가 으뜸이고, 포괄하는 것이고, 총체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뾰족지붕 건물 가운데 뾰족지붕이 으뜸이고, 포괄하고, 총체적이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이런 여섯 가지 법들 가운데 성스럽고 구원으로 이끌고 그대로 실천하면 괴로움의 부서짐으로 이끄는 견해가 으뜸이고, 포괄하는 것이고, 총체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