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74.dīghanakha
[InDesign 문서] 4. dīghanakhasuttaṃ (MN 74-디가나카 경)
3. paribbājakavaggo, 4. dīghanakhasuttaṃ (MN 74-디가나카 경)
(MN 74-디가나카 경)은 사리뿟따 존자의 깨달음의 현장을 묘사하는 경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모든 것을 인정한다거나 모든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거나 어떤 것은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는 세 가지 견해의 문제를 지적한 뒤 그 견해들을 버리고 놓고서 색(色)과 수(受)로부터 해방될 것을 설명합니다. 이때, 모든 것을 인정한다는 것은 존재의 긍정 즉 유(有)의 견해이고, 모든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존재의 부정 즉 무(無)의 견해로 간주하여 (SN 12.15-깟짜나곳따 경)의 중(中)에 의해 설해진 법과 연결하여 그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한편, 법안이 생겨서 다른 스승을 의지하지 않게 된 디가나카 유행승은 귀의하여 재가 신자가 됩니다.
[pdf 화일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