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77.mahāsakuludāyi
(MN 77-사꿀루다이 큰 경) -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 총괄(1) 사선까지(247-251)
247.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cattāro satipaṭṭhāne bhāventi. idhudāyi,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vedanānupassī viharati... citte cittānupassī viharati...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 loke abhijjhādomanassa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사념처(四念處)를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몸(身)에서 몸을 이어 보면서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느낌(受)들에서 느낌을 이어 보면서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마음(心)에서 마음을 이어 보면서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현상(法)들에서 현상을 이어 보면서 머뭅니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과 고뇌를 제거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cattāro sammappadhāne bhāventi. idhudāyi, bhikkhu an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an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ṃ pāpakānaṃ akusalānaṃ dhammānaṃ pahān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an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uppādāya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ṃ kusalānaṃ dhammānaṃ ṭhitiyā asammosāya bhi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ṃ janeti, vāyamati, vīriyaṃ ārabhati, cittaṃ paggaṇhāti, padaha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사정근(四正勤)을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생겨나지 않은 악한 불선법들이 생겨나지 않도록 관심을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힘을 다하고, 심(心)을 돌보고, 애씁니다. 생겨난 악한 불선법들이 버려지도록 관심을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힘을 다하고, 심(心)을 돌보고, 애씁니다. 생겨나지 않은 선법들이 생겨나도록 관심을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힘을 다하고, 심(心)을 돌보고, 애씁니다. 생겨난 선법들이 유지되고, 혼란스럽지 않게 되고, 점점 더 커져서 가득 차게 되고, 닦아서 완성되도록 관심을 생기게 하고, 노력하고, 힘을 다하고, 심(心)을 돌보고, 애씁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cattāro iddhipāde bhāventi. idhudāyi, bhikkhu chanda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vīriya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citta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vīmaṃsā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사여의족(四如意足)을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관심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들을 갖춘 여의족(如意足)을 닦습니다. 정진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들을 갖춘 여의족을 닦습니다. 심(心)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들을 갖춘 여의족을 닦습니다. 관찰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들을 갖춘 여의족을 닦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pañcindriyāni bhāventi. idhudāyi, bhikkhu saddhindriyaṃ bhāveti upasamagāmiṃ sambodhagāmiṃ; vīriyindriyaṃ bhāveti ... pe ... satindriyaṃ bhāveti... samādhindriyaṃ bhāveti... paññindriyaṃ bhāveti upasamagāmiṃ sambodhagāmi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오근(五根)을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깨달음으로 이끄는 믿음의 기능[신근(信根)]을 닦습니다. … 정진의 기능[정진근(精進根)]을 닦습니다. … 사띠의 기능[염근(念根)]을 닦습니다. … 삼매의 기능[정근(定根)]을 닦습니다.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깨달음으로 이끄는 지혜의 기능[혜근(慧根)]을 닦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pañca balāni bhāventi. idhudāyi, bhikkhu saddhābalaṃ bhāveti upasamagāmiṃ sambodhagāmiṃ; vīriyabalaṃ bhāveti ... pe ... satibalaṃ bhāveti... samādhibalaṃ bhāveti... paññābalaṃ bhāveti upasamagāmiṃ sambodhagāmi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오력(五力)을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깨달음으로 이끄는 믿음의 힘을 닦습니다. … 정진의 힘을 닦습니다. … 사띠의 힘을 닦습니다. … 삼매의 힘을 닦습니다. 가라앉음으로 이끌고, 깨달음으로 이끄는 지혜의 힘을 닦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sattabojjhaṅge bhāventi. idhudāyi, bhikkhu sati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dhammavicayasambojjhaṅgaṃ bhāveti ... pe ... vīriyasambojjhaṅgaṃ bhāveti... pītisambojjhaṅgaṃ bhāveti... passaddhisambojjhaṅgaṃ bhāveti... samādhisambojjhaṅgaṃ bhāveti... upekkhāsambojjhaṅgaṃ bhāveti vivekanissitaṃ virāganissitaṃ nirodhanissitaṃ vossaggapariṇāmi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칠각지(七覺支)를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놓음으로 귀결되는 염각지(念覺支)를 닦습니다. … 택법각지(擇法覺支) 닦습니다. … 정진각지(精進覺支)를 닦습니다. … 희각지(喜覺支)를 닦습니다. … 경안각지(輕安覺支)를 닦습니다. … 정각지(定覺支)를 닦습니다. 떨침의 과정이고, 이탐의 과정이고, 소멸의 과정이고, 놓음으로 귀결되는 사각지(捨覺支)를 닦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riyaṃ aṭṭhaṅgikaṃ maggaṃ bhāventi. idhudāyi, bhikkhu sammādiṭṭhiṃ bhāveti, sammāsaṅkappaṃ bhāveti, sammāvācaṃ bhāveti, sammākammantaṃ bhāveti, sammāājīvaṃ bhāveti, sammāvāyāmaṃ bhāveti, sammāsatiṃ bhāveti, sammāsamādhiṃ bhāve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팔정도(八正道)]을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정견(正見)을 닦습니다. 정사유(正思惟)를 닦습니다. 정어(正語)를 닦습니다. 정업(正業)을 닦습니다. 정명(正命)을 닦습니다. 정정진(正精進)을 닦습니다. 정념(正念)을 닦습니다. 정정(正定)을 닦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48.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ṭṭha vimokkhe bhāventi. rūpī rūpāni passati, ayaṃ paṭhamo vimokkho; ajjhattaṃ arūpasaññī bahiddhā rūpāni passati, ayaṃ dutiyo vimokkho; subhanteva adhimutto hoti, ayaṃ tatiyo vimokkho; sabbaso rūpasaññānaṃ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ṃ atthaṅgamā nānattasaññānaṃ amanasikārā ‘ananto ākāso’ti ākāsān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catuttho vimokkho; sabbaso ākāsānañcāyatanaṃ samatikkamma ‘anantaṃ viññāṇan’ti viññāṇañc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pañcamo vimokkho; s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ṃ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chaṭṭho vimokkho; sabbaso ākiñc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sattamo vimokkho; sabbaso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ṃ samatikkamma saññāvedayitanirodh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aṭṭhamo vimokkho.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여덟 가지 해탈[팔해탈(八解脫)]을 닦습니다. 색계(色界)의 존재로서 물질을 봅니다. - 이것이 첫 번째 해탈입니다. 안으로 무색상(無色想)을 가진[색상(色想)을 초월한] 자로서 밖으로 물질을 봅니다. - 이것이 두 번째 해탈입니다. 오직 깨끗함에 집중합니다. - 이것이 세 번째 해탈입니다. 완전하게 색상(色想)을 넘어서고, 저항의 상(想)이 줄어들고, 다양한 상(想)을 작의(作意)하지 않음으로부터 ‘무한한 공간’이라는 공무변처(空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 이것이 네 번째 해탈입니다. 공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무한한 식(識)’이라는 식무변처(識無邊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 이것이 다섯 번째 해탈입니다. 식무변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아무것도 없다.’라는 무소유처(無所有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 이것이 여섯 번째 해탈입니다. 무소유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성취하여 머뭅니다. - 이것이 일곱 번째 해탈입니다. 비상비비상처를 완전히 넘어서서 상수멸(想受滅)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 이것이 여덟 번째 해탈입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49.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ṭṭha abhibhāyatanāni bhāventi. ajjhattaṃ 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parittāni suvaṇṇadubbaṇṇ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paṭhamaṃ abhibhāyatanaṃ.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여덟 가지 정복의 경지[팔승처(八勝處)]를 닦습니다. 어떤 자는 안으로 색상(色想)을 가지고서, 밖으로 제한된 좋은 색깔이나 나쁜 색깔을 가진 색(色)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想)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첫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appamāṇāni suvaṇṇadubbaṇṇ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dutiyaṃ abhibhāyatanaṃ.
어떤 자는 안으로 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무량한 좋은 색깔이나 나쁜 색깔을 가진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두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parittāni suvaṇṇadubbaṇṇ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tatiyaṃ abhibhāyatanaṃ.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제한된 좋은 색깔이나 나쁜 색깔을 가진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세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appamāṇāni suvaṇṇadubbaṇṇ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catutthaṃ abhibhāyatanaṃ.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무량한 좋은 색깔이나 나쁜 색깔을 가진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네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nīlāni nīlavaṇṇāni nīlanidassanāni nīlanibhāsāni. seyyathāpi nāma umāpupphaṃ nīlaṃ nīlavaṇṇaṃ nīlanidassanaṃ nīlanibhāsaṃ, seyyathāpi vā pana taṃ vatthaṃ bārāṇaseyyakaṃ ubhatobhāgavimaṭṭhaṃ nīlaṃ nīlavaṇṇaṃ nīlanidassanaṃ nīlanibhāsaṃ; evameva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nīlāni nīlavaṇṇāni nīlanidassanāni nīlanibhās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pañcamaṃ abhibhāyatanaṃ.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푸르고 푸른 색깔이고 푸른 모습이고 푸른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예를 들면, 아마 꽃은 푸르고 푸른 색깔이고 푸른 모습이고 푸른 광채를 지녔습니다. 예를 들면, 양면이 모두 부드러운 와라나시 옷감이 푸르고 푸른 색깔이고 푸른 모습이고 푸른 광채를 지녔습니다. 이처럼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푸르고 푸른 색깔이고 푸른 모습이고 푸른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다섯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pītāni pītavaṇṇāni pītanidassanāni pītanibhāsāni. seyyathāpi nāma kaṇikārapupphaṃ pītaṃ pītavaṇṇaṃ pītanidassanaṃ pītanibhāsaṃ, seyyathāpi vā pana taṃ vatthaṃ bārāṇaseyyakaṃ ubhatobhāgavimaṭṭhaṃ pītaṃ pītavaṇṇaṃ pītanidassanaṃ pītanibhāsaṃ; evameva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pītāni pītavaṇṇāni pītanidassanāni pītanibhās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chaṭṭhaṃ abhibhāyatanaṃ.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노랗고 노란 색깔이고 노란 모습이고 노란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예를 들면, 깐니까라 꽃은 노랗고 노란 색깔이고 노란 모습이고 노란 광채를 지녔습니다. 예를 들면, 양면이 모두 부드러운 와라나시 옷감이 노랗고 노란 색깔이고 노란 모습이고 노란 광채를 지녔습니다. 이처럼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노랗고 노란 색깔이고 노란 모습이고 노란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여섯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lohitakāni lohitakavaṇṇāni lohitakanidassanāni lohitakanibhāsāni. seyyathāpi nāma bandhujīvakapupphaṃ lohitakaṃ lohitakavaṇṇaṃ lohitakanidassanaṃ lohitakanibhāsaṃ, seyyathāpi vā pana taṃ vatthaṃ bārāṇaseyyakaṃ ubhatobhāgavimaṭṭhaṃ lohitakaṃ lohitakavaṇṇaṃ lohitakanidassanaṃ lohitakanibhāsaṃ; evameva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lohitakāni lohitakavaṇṇāni lohitakanidassanāni lohitakanibhās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 saññī hoti. idaṃ sattamaṃ abhibhāyatanaṃ.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빨갛고 빨간 색깔이고 빨간 모습이고 빨간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예를 들면, 월계꽃은 빨갛고 빨간 색깔이고 빨간 모습이고 빨간 광채를 지녔습니다. 예를 들면, 양면이 모두 부드러운 와라나시 옷감이 빨갛고 빨간 색깔이고 빨간 모습이고 빨간 광채를 지녔습니다. 이처럼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빨갛고 빨간 색깔이고 빨간 모습이고 빨간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일곱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odātāni odātavaṇṇāni odātanidassanāni odātanibhāsāni. seyyathāpi nāma osadhitārakā odātā odātavaṇṇā odātanidassanā odātanibhāsā, seyyathāpi vā pana taṃ vatthaṃ bārāṇaseyyakaṃ ubhatobhāgavimaṭṭhaṃ odātaṃ odātavaṇṇaṃ odātanidassanaṃ odātanibhāsaṃ; evameva ajjhattaṃ arūpasaññī eko bahiddhā rūpāni passati odātāni odātavaṇṇāni odātanidassanāni odātanibhāsāni. ‘tāni abhibhuyya jānāmi, passāmī’ti evaṃsaññī hoti. idaṃ aṭṭhamaṃ abhibhāyatana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희고 흰 색깔이고 흰 모습이고 흰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예를 들면, 샛별은 희고 흰 색깔이고 흰 모습이고 흰 광채를 지녔습니다. 예를 들면, 양면이 모두 부드러운 와라나시 옷감이 희고 흰 색깔이고 흰 모습이고 흰 광채를 지녔습니다. 이처럼 어떤 자는 안으로 무색상을 가지고서, 밖으로 희고 흰 색깔이고 흰 모습이고 흰 광채를 지닌 색들을 봅니다. ‘이것들을 정복하면서 나는 알고 본다.’라는 이런 상을 가진 자입니다. 이것이 여덟 번째 정복의 경지입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50.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dasa kasiṇāyatanāni bhāventi. pathavīkasiṇameko sañjānāti uddhamadho tiriyaṃ advayaṃ appamāṇaṃ; āpokasiṇameko sañjānāti ... pe ... tejokasiṇameko sañjānāti... vāyokasiṇameko sañjānāti... nīlakasiṇameko sañjānāti... pītakasiṇameko sañjānāti... lohitakasiṇameko sañjānāti... odātakasiṇameko sañjānāti... ākāsakasiṇameko sañjānāti ... viññāṇakasiṇameko sañjānāti uddhamadho tiriyaṃ advayaṃ appamāṇa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열 가지 까시나의 영역을 닦습니다. 어떤 자는 위로 아래로 횡으로 둘이 아니고 제한이 없는 땅의 까시나를 상(想)합니다. 어떤 자는 … 물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불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바람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파랑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노랑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빨강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하양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 공간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어떤 자는 위로 아래로 횡으로 둘이 아니고 제한이 없는 식의 까시나를 상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51.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cattāri jhānāni bhāventi. idhudāyi,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mameva kāyaṃ vivekajena pītisukhena abhisandeti parisandeti paripūreti paripphara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vivekajena pītisukhena apphuṭaṃ hoti. seyyathāpi, udāyi, dakkho nhāpako vā nhāpakantevāsī vā kaṃsathāle nhānīyacuṇṇāni ākiritvā udakena paripphosakaṃ paripphosakaṃ sanneyya, sāyaṃ nhānīyapiṇḍi snehānugatā snehapareto santarabāhirā phuṭā snehena na ca pagghariṇī; evameva kho, udāyi, bhikkhu imameva kāyaṃ vivekajena pītisukhena abhisandeti parisandeti paripūreti paripphara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vivekajena pītisukhena apphuṭaṃ ho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네 가지 선(禪)[사선(四禪)]을 닦습니다. 여기, 우다이여, 비구는 소유의 삶에서 벗어나고, 불선법들에서 벗어나서, 위딱까가 있고 위짜라가 있고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초선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그는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이 몸을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온몸 어디라도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능숙한 때밀이나 그의 조수가 청동판에 비누 분말을 흩어 놓고 물을 반복 뿌려가면서 반죽할 것입니다. 그러면 그 비누 분말 덩이에 물기가 흡수되고 스며들어 안팎으로 물기가 미치고 흘려보내지 않습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비구는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이 몸을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온몸 어디라도 떨침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puna caparaṃ, udāyi, bhikkhu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 pe ...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mameva kāyaṃ samādhijena pītisukhena abhisandeti parisandeti paripūreti paripphara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samādhijena pītisukhena apphuṭaṃ hoti. seyyathāpi, udāyi, udakarahado gambhīro ubbhidodako. tassa nevassa puratthimāya disāya udakassa āyamukhaṃ, na pacchimāya disāya udakassa āyamukhaṃ, na uttarāya disāya udakassa āyamukhaṃ, na dakkhiṇāya disāya udakassa āyamukhaṃ, devo ca na kālena kālaṃ sammā dhāraṃ anuppaveccheyya; atha kho tamhāva udakarahadā sītā vāridhārā ubbhijjitvā tameva udakarahadaṃ sītena vārinā abhisandeyya parisandeyya paripūreyya paripphareyya, nāssa kiñci sabbāvato udakarahadassa sītena vārinā apphuṭaṃ assa. evameva kho, udāyi, bhikkhu imameva kāyaṃ samādhijena pītisukhena abhisandeti parisandeti paripūreti paripphara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samādhijena pītisukhena apphuṭaṃ hoti.
다시, 우다이여, 비구는 위딱까와 위짜라의 가라앉음으로 인해, 안으로 평온함과 마음의 집중된 상태가 되어, 위딱까도 없고 위짜라도 없이,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의 제2선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그는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이 몸을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온몸 어디라도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깊고 물이 샘솟는 호수가 있습니다. 그 호수의 동쪽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물도 없고, 서쪽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물도 없고, 북쪽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물도 없고, 남쪽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물도 없고, 하늘에서 때때로 소나기도 내리지 않습니다. 그러면 그 호수로부터 차가운 물줄기가 샘솟아 그 호수를 차가운 물로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할 것입니다. 그러면 그 호수의 어디라도 이 차가운 물이 미치지 않는 데가 없을 것입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비구는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으로 이 몸을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온몸 어디라도 삼매에서 생긴 기쁨과 즐거움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puna caparaṃ, udāyi, bhikkhu pītiyā ca virāgā ... pe ... ta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mameva kāyaṃ nippītikena sukhena abhisandeti parisandeti paripūreti paripphara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nippītikena sukhena apphuṭaṃ hoti. seyyathāpi, udāyi, uppaliniyaṃ vā paduminiyaṃ vā puṇḍarīkiniyaṃ vā appekaccāni uppalāni vā padumāni vā puṇḍarīkāni vā udake jātāni udake saṃvaḍḍhāni udakānuggatāni anto nimuggaposīni, tāni yāva caggā yāva ca mūlā sītena vārinā abhisannāni parisannāni paripūrāni paripphuṭāni, nāssa kiñci sabbāvataṃ, uppalānaṃ vā padumānaṃ vā puṇḍarīkānaṃ vā sītena vārinā apphuṭaṃ assa; evameva kho, udāyi, bhikkhu imameva kāyaṃ nippītikena sukhena abhisandeti parisandeti paripūreti paripphara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nippītikena sukhena apphuṭaṃ hoti.
다시, 우다이여, 비구는 기쁨의 바램으로부터 평정하게 머물고, 사띠와 바른 앎을 가지고 몸으로 즐거움을 경험하면서, 성인들이 '평정을 가진 자, 사띠를 가진 자, 즐거움에 머무는 자[사념락주(捨念樂住)].'라고 말하는 제3선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그는 기쁨이 가라앉은 즐거움으로 이 몸을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온몸 어디라도 기쁨이 가라앉은 즐거움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이 있는 연못에서 어떤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들이 물속에서 생기고 자라서 물 밖으로 나오지 않고 물속에 잠긴 채 무성하게 자라 있고, 차가운 물에 의해 머리에서 뿌리까지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청련이나 홍련이나 백련의 전체 어디라도 차가운 물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비구는 기쁨이 가라앉은 즐거움으로 이 몸을 충만하게 하고 흘러넘치게 하고 가득 차게 하고 고루 미치게 합니다. 온몸 어디라도 기쁨이 가라앉은 즐거움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puna caparaṃ, udāyi, bhikkhu sukhassa ca pahānā dukkhassa ca pahān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ṃ atthaṅgamā adukkhamasukhaṃ upekkhāsatipārisuddhiṃ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so imameva kāyaṃ parisuddhena cetasā pariyodātena pharitvā nisinno ho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parisuddhena cetasā pariyodātena apphuṭaṃ hoti. seyyathāpi, udāyi, puriso odātena vatthena sasīsaṃ pārupitvā nisinno assa,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odātena vatthena apphuṭaṃ assa; evameva kho, udāyi, bhikkhu imameva kāyaṃ parisuddhena cetasā pariyodātena pharitvā nisinno hoti, nāssa kiñci sabbāvato kāyassa parisuddhena cetasā pariyodātena apphuṭaṃ ho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비구는 즐거움의 버림과 괴로움의 버림으로부터, 이미 만족과 불만들의 줄어듦으로부터, 괴로움도 즐거움도 없고 평정과 청정한 사띠[사념청정(捨念淸淨)]의 제4선을 성취하여 머뭅니다. 그는 이 몸을 청정하고 아주 깨끗한 심(心)으로 미치게 하고서 앉아있습니다. 온몸 어디라도 청정하고 아주 깨끗한 심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사람이 머리까지 하얀 천을 덮어쓰고 앉아있을 것입니다. 온몸 어디라도 하얀 천에 의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것입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비구는 이 몸을 청정하고 아주 깨끗한 심으로 미치게 하고서 앉아있습니다. 온몸 어디라도 청정하고 아주 깨끗한 심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