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77.mahāsakuludāyi
(MN 77-사꿀루다이 큰 경) -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 총괄(2) 제4선 이후 여덟 가지 앎(252-259)
252.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evaṃ pajānanti — ‘ayaṃ kho me kāyo rūpī cātumahābhūtiko mātāpettikasambhavo odanakummāsūpacayo aniccucchādanaparimaddanabhedanaviddhaṃsanadhammo; idañca pana me viññāṇaṃ ettha sitaṃ ettha paṭibaddhaṃ’. seyyathāpi, udāyi, maṇi veḷuriyo subho jātimā aṭṭhaṃso suparikammakato accho vippasanno sabbākārasampanno; tatridaṃ suttaṃ āvutaṃ nīlaṃ vā pītaṃ vā lohitaṃ vā odātaṃ vā paṇḍusuttaṃ vā. tamenaṃ cakkhumā puriso hatthe karitvā paccavekkheyya — ‘ayaṃ kho maṇi veḷuriyo subho jātimā aṭṭhaṃso suparikammakato accho vippasanno sabbākārasampanno; tatridaṃ suttaṃ āvutaṃ nīlaṃ vā pītaṃ vā lohitaṃ vā odātaṃ vā paṇḍusuttaṃ vā’ti.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evaṃ pajānanti — ‘ayaṃ kho me kāyo rūpī cātumahābhūtiko mātāpettikasambhavo odanakummāsūpacayo aniccucchādanaparimaddanabhedanaviddhaṃsanadhammo; idañca pana me viññāṇaṃ ettha sitaṃ ettha paṭibaddhan’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이렇게 꿰뚫어 압니다. — ‘나의 이 몸은 물질이어서 사대(四大)로 구성된 것이고, 부모에 속한 것에서 생겨난 것이고, 밥과 응유가 집적된 것이고, 무상하고 쇠퇴하고 부서지고 해체되고 흩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나의 이 식(識)은 여기에 의지하고 여기에 묶여 있다.’라고. 예를 들면, 우다이여, 깨끗하고 빛나고 팔각형으로 잘 가공된 하늘색 보석이 순수하고 빛나고 흠이 없고 완전한 품질을 갖추었습니다. 거기에 파란색이나 노란색이나 붉은색이나 흰색이나 연노랑 색의 실이 묶고 있습니다. 그것을 눈이 있는 사람이 손에 놓고서 생각할 것입니다. — '이 깨끗하고 진품인 하늘색 보석은 팔각형이고 아주 세련되고 순수하고 빛나고 흠이 없고 완전한 품질을 갖추었다. 거기에 파란색이나 노란색이나 붉은색이나 흰색이나 연노랑 색의 실이 묶고 있다.'라고.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이렇게 꿰뚫어 압니다. — ‘나의 이 몸은 물질이어서 사대(四大)로 구성된 것이고, 부모에 속한 것에서 생겨난 것이고, 밥과 응유가 집적된 것이고, 무상하고 쇠퇴하고 부서지고 해체되고 흩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나의 이 식은 여기에 의지하고 여기에 묶여 있다.’라고.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53.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imamhā kāyā aññaṃ kāyaṃ abhinimminanti rūpiṃ manomayaṃ sabbaṅgapaccaṅgiṃ ahīnindriyaṃ. seyyathāpi, udāyi, puriso muñjamhā īsikaṃ pabbāheyya; tassa evamassa — ‘ayaṃ muñjo, ayaṃ īsikā; añño muñjo, aññā īsikā; muñjamhātveva īsikā pabbāḷhā’ti. seyyathā vā panudāyi, puriso asiṃ kosiyā pabbāheyya; tassa evamassa — ‘ayaṃ asi, ayaṃ kosi; añño asi aññā kosi; kosiyātveva asi pabbāḷho’ti. seyyathā vā, panudāyi, puriso ahiṃ karaṇḍā uddhareyya; tassa evamassa — ‘ayaṃ ahi, ayaṃ karaṇḍo; añño ahi, añño karaṇḍo; karaṇḍātveva ahi ubbhato’ti.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imamhā kāyā aññaṃ kāyaṃ abhinimminanti rūpiṃ manomayaṃ sabbaṅgapaccaṅgiṃ ahīnindriyaṃ.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이 몸으로부터 색(色)을 가졌고, 의성(意成)이고, 수족을 완전히 갖추고, 기능[근(根)]에 결함이 없는 다른 몸을 만듭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사람이 문자 풀로부터 갈대를 골라낼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이것은 문자 풀이고 이것은 갈대이다. 문자 풀이 다르고 갈대가 다르다. 이제 문자 풀로부터 갈대가 제거되었다.’라고. 다시 예를 들면, 우다이여, 사람이 칼을 칼집에서 꺼낼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이것은 칼이고 이것은 칼집이다. 칼이 다르고 칼집이 다르다. 이제 칼집으로부터 칼이 꺼내졌다.’라고. 다시 예를 들면, 우다이여, 사람이 뱀을 개미집으로부터 끌어낼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이것은 뱀이고 이것은 개미집이다. 뱀이 다르고 개미집이 다르다. 이제 개미집으로부터 뱀은 끌어내졌다.’라고.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이 몸으로부터 색을 가졌고, 의성이고, 수족을 완전히 갖추고, 기능에 결함이 없는 다른 몸을 만듭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54.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nekavihitaṃ iddhividhaṃ paccanubhonti — ekopi hutvā bahudhā honti, bahudhāpi hutvā eko hoti; āvibhāvaṃ, tirobhāvaṃ; tirokuṭṭaṃ tiropākāraṃ tiropabbataṃ asajjamānā gacchanti, seyyathāpi ākāse; pathaviyāpi ummujjanimujjaṃ karonti, seyyathāpi udake; udakepi abhijjamāne gacchanti, seyyathāpi pathaviyaṃ; ākāsepi pallaṅkena kamanti, seyyathāpi pakkhī sakuṇo; imepi candimasūriye evaṃmahiddhike evaṃmahānubhāve pāṇinā parimasanti parimajjanti, yāva brahmalokāpi kāyena vasaṃ vattenti. seyyathāpi, udāyi, dakkho kumbhakāro vā kumbhakārantevāsī vā suparikammakatāya mattikāya yaṃ yadeva bhājanavikatiṃ ākaṅkheyya taṃ tadeva kareyya abhinipphādeyya; seyyathā vā panudāyi, dakkho dantakāro vā dantakārantevāsī vā suparikammakatasmiṃ dantasmiṃ yaṃ yadeva dantavikatiṃ ākaṅkheyya taṃ tadeva kareyya abhinipphādeyya; seyyathā vā panudāyi, dakkho suvaṇṇakāro vā suvaṇṇakārantevāsī vā suparikammakatasmiṃ suvaṇṇasmiṃ yaṃ yadeva suvaṇṇavikatiṃ ākaṅkheyya taṃ tadeva kareyya abhinipphādeyya.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nekavihitaṃ iddhividhaṃ paccanubhonti — ekopi hutvā bahudhā honti, bahudhāpi hutvā eko hoti; āvibhāvaṃ, tirobhāvaṃ; tirokuṭṭaṃ tiropākāraṃ tiropabbataṃ asajjamānā gacchanti, seyyathāpi ākāse; pathaviyāpi ummujjanimujjaṃ karonti, seyyathāpi udake; udakepi abhijjamāne gacchanti, seyyathāpi pathaviyaṃ; ākāsepi pallaṅkena kamanti, seyyathāpi pakkhī sakuṇo; imepi candimasūriye evaṃmahiddhike evaṃmahānubhāve pāṇinā parimasanti parimajjanti, yāva brahmalokāpi kāyena vasaṃ vatten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여러 가지 종류의 신통을 실행합니다. —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기도 하고,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분말과 성벽과 산을 가로지르기를 허공에서처럼 닿지 않고 갑니다. 땅에서도 물에서처럼 떠오르고 들어갑니다. 물에서도 땅에서처럼 빠지지 않고 갑니다. 허공에서도 가부좌하고 날개 달린 새처럼 갑니다. 이렇게 강력하고 웅장한 저 달과 해를 손으로 닿아 쓰다듬습니다. 범천의 세상까지도 몸으로 나아갑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숙련된 도기 공이나 도기 공의 제자가 잘 준비된 진흙으로 원하는 여러 가지 그릇을 만들고 생산할 것입니다. 다시 예를 들면, 우다이여, 숙련된 상아 장인이나 그의 제자가 잘 준비된 상아로 원하는 상아 형태를 만들고 생산할 것입니다. 다시 예를 들면, 우다이여, 숙련된 금세공 인이나 그의 제자가 잘 준비된 금으로 원하는 금 세공품을 만들고 생산할 것입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여러 가지 종류의 신통을 실행합니다. — 하나였다가 여럿이 되기도 하고, 여럿이었다가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드러내기도 하고 숨기도 하고, 분말과 성벽과 산을 가로지르기를 허공에서처럼 닿지 않고 갑니다. 땅에서도 물에서처럼 떠오르고 들어갑니다. 물에서도 땅에서처럼 빠지지 않고 갑니다. 허공에서도 가부좌하고 날개 달린 새처럼 갑니다. 이렇게 강력하고 웅장한 저 달과 해를 손으로 닿아 쓰다듬습니다. 범천의 세상까지도 몸으로 나아갑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55.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dibbāya sotadhātuyā visuddhāya atikkantamānusikāya ubho sadde suṇanti — dibbe ca mānuse ca, ye dūre santike ca. seyyathāpi, udāyi, balavā saṅkhadhamo appakasireneva cātuddisā viññāpeyya;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dibbāya sotadhātuyā visuddhāya atikkantamānusikāya ubho sadde suṇanti — dibbe ca mānuse ca, ye dūre santike ca.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 양쪽의 소리를 듣습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먼 길을 걷는 사람이 북소리, 무딩가 소리, 소라고둥 소리, 심벌즈 소리, 작은 북소리를 들을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이것은 북소리다. 이것은 무딩가 소리다. 이것은 소라고둥 소리다. 이것은 심벌즈 소리다. 이것은 작은 북소리다.'라고.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귀의 요소로 멀든 가깝든 하늘과 인간 양쪽의 소리를 듣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성취를 완전히 이루어 머뭅니다.
256.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parasattānaṃ parapuggalānaṃ cetasā ceto paricca pajānanti — sarāgaṃ vā cittaṃ ‘sarāgaṃ cittan’ti pajānanti, vītarāgaṃ vā cittaṃ ‘vītarāgaṃ cittan’ti pajānanti; sadosaṃ vā cittaṃ ‘sadosaṃ cittan’ti pajānanti, vītadosaṃ vā cittaṃ ‘vītadosaṃ cittan’ti pajānanti; samohaṃ vā cittaṃ ‘samohaṃ cittan’ti pajānanti, vītamohaṃ vā cittaṃ ‘vītamohaṃ cittan’ti pajānanti; saṃkhittaṃ vā cittaṃ ‘saṅkhittaṃ cittan’ti pajānanti, vikkhittaṃ vā cittaṃ ‘vikkhittaṃ cittan’ti pajānanti; mahaggataṃ vā cittaṃ ‘mahaggataṃ cittan’ti pajānanti, amahaggataṃ vā cittaṃ ‘amahaggataṃ cittan’ti pajānanti; sauttaraṃ vā cittaṃ ‘sauttaraṃ cittan’ti pajānanti, anuttaraṃ vā cittaṃ ‘anuttaraṃ cittan’ti pajānanti; samāhitaṃ vā cittaṃ ‘samāhitaṃ cittan’ti pajānanti, asamāhitaṃ vā cittaṃ ‘asamāhitaṃ cittan’ti pajānanti; vimuttaṃ vā cittaṃ ‘vimuttaṃ cittan’ti pajānanti, a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cittan’ti pajānanti. seyyathāpi, udāyi, itthī vā puriso vā daharo yuvā maṇḍanakajātiko ādāse vā parisuddhe pariyodāte acche vā udakapatte sakaṃ mukhanimittaṃ paccavekkhamāno sakaṇikaṃ vā ‘sakaṇikan’ti jāneyya, akaṇikaṃ vā ‘akaṇikan’ti jāneyya;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parasattānaṃ parapuggalānaṃ cetasā ceto paricca pajānanti — sarāgaṃ vā cittaṃ ‘sarāgaṃ cittan’ti pajānanti, vītarāgaṃ vā cittaṃ ... pe ... sadosaṃ vā cittaṃ... vītadosaṃ vā cittaṃ... samohaṃ vā cittaṃ... vītamohaṃ vā cittaṃ... saṅkhittaṃ vā cittaṃ... vikkhittaṃ vā cittaṃ... mahaggataṃ vā cittaṃ... amahaggataṃ vā cittaṃ... sauttaraṃ vā cittaṃ... anuttaraṃ vā cittaṃ... samāhitaṃ vā cittaṃ... asamāhitaṃ vā cittaṃ... 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vā cittaṃ ‘avimuttaṃ cittan’ti pajānan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다른 중생들과 다른 사람들의 심(心)을 심(心)으로 분별하여 분명히 압니다. — ①탐이 있는 심을 ‘탐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②탐이 없는 심을 ‘탐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③진이 있는 심을 ‘진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④진이 없는 심을 ‘진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⑤치가 있는 심을 ‘치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⑥치가 없는 심을 ‘치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⑦수축한 심을 ‘수축한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⑧흩어진 심을 ‘흩어진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⑨개발된 심을 ‘개발된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⑩개발되지 않은 심을 ‘개발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⑪위가 있는 심을 ‘위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⑫위가 없는 심을 ‘위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⑬삼매를 닦는 심을 ‘삼매를 닦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⑭삼매를 닦지 않는 심을 ‘삼매를 닦지 않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⑮해탈된 심을 ‘해탈된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⑯해탈되지 않은 심을 ‘해탈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청정하고 깨끗한 거울이나 맑은 물에 가서 자기 얼굴을 비추어 보고 있는, 젊고 혈기 있고 장식을 좋아하는 여자나 남자가 검은 점이 있으면 검은 점이 있다고 알고 검은 점이 없으면 검은 점이 없다고 알 것입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다른 중생들과 다른 사람들의 심을 심으로 분별하여 분명히 압니다. — ①탐이 있는 심을 ‘탐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②탐이 없는 심을 ‘탐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③진이 있는 심을 ‘진이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④진이 없는 심을 ‘진이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⑤치가 있는 심을 ‘치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⑥치가 없는 심을 ‘치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⑦수축한 심을 ‘수축한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⑧흩어진 심을 ‘흩어진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⑨개발된 심을 ‘개발된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⑩개발되지 않은 심을 ‘개발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⑪위가 있는 심을 ‘위가 있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⑫위가 없는 심을 ‘위가 없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⑬삼매를 닦는 심을 ‘삼매를 닦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⑭삼매를 닦지 않는 심을 ‘삼매를 닦지 않는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⑮해탈된 심을 ‘해탈된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⑯해탈되지 않은 심을 ‘해탈되지 않은 심’이라고 분명히 압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완전한 성취를 이루어 머뭅니다.
257.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nti, seyyathidaṃ — ekampi jātiṃ dvepi jātiyo tissopi jātiyo catassopi jātiyo pañcapi jātiyo dasapi jātiyo vīsampi jātiyo tiṃsampi jātiyo cattālīsampi jātiyo paññāsampi jātiyo jātisatampi jātisahassampi jātisatasahassampi, anekepi saṃvaṭṭakappe anekepi vivaṭṭakappe anekepi saṃvaṭṭavivaṭṭakappe — ‘amutrāsiṃ evaṃnāmo evaṃgotto evaṃvaṇṇo evamāhāro evaṃsukhadukkhappaṭisaṃvedī evamāyupariyanto, so tato cuto amutra udapādiṃ; tatrāpāsiṃ evaṃnāmo evaṃgotto evaṃvaṇṇo evamāhāro evaṃsukhadukkhappaṭisaṃvedī evamāyupariyanto, so tato cuto idhūpapanno’ti. iti sākāraṃ sauddesaṃ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ti. seyyathāpi, udāyi, puriso sakamhā gāmā aññaṃ gāmaṃ gaccheyya, tamhāpi gāmā aññaṃ gāmaṃ gaccheyya; so tamhā gāmā sakaṃyeva gāmaṃ paccāgaccheyya; tassa evamassa — ‘ahaṃ kho sakamhā gāmā aññaṃ gāmaṃ agacchiṃ, tatra evaṃ aṭṭhāsiṃ evaṃ nisīdiṃ evaṃ abhāsiṃ evaṃ tuṇhī ahosiṃ; tamhāpi gāmā amuṃ gāmaṃ agacchiṃ, tatrāpi evaṃ aṭṭhāsiṃ evaṃ nisīdiṃ evaṃ abhāsiṃ evaṃ tuṇhī ahosiṃ, somhi tamhā gāmā sakaṃyeva gāmaṃ paccāgato’ti.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nti, seyyathidaṃ — ekampi jātiṃ ... pe ... iti sākāraṃ sauddesaṃ anekavihitaṃ pubbenivāsaṃ anussaran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이전의 여러 존재 상태[전생]를 기억합니다. 즉 — 한 번의 생, 두 번의 생, 세 번의 생, 네 번의 생, 다섯 번의 생, 열 번의 생, 스무 번의 생, 서른 번의 생, 마흔 번의 생, 쉰 번의 생, 백 번의 생, 천 번의 생, 십만 번의 생, 세계가 줄어드는[진화] 여러 겁, 세계가 자라나는[퇴보] 여러 겁, 세계가 줄어들고 자라나는 여러 겁을 기억합니다. — ‘이러이러한 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이러이러한 곳에 태어났다. 그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여기에 태어났다.’라고. 이처럼 상태와 함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를 기억합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사람이 자기 마을로부터 다른 마을로 갈 것입니다. 그 마을로부터 다른 마을로 갈 것입니다. 그는 그 마을로부터 자기 마을로 되돌아올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나는 우리 마을로부터 이런 마을로 갔다. 거기서도 이렇게 서 있었고, 이렇게 앉아있었고, 이렇게 말하였고, 이렇게 침묵하였다. 그 마을로부터 이런 마을로 갔다. 거기서도 이렇게 서 있었고, 이렇게 앉아있었고, 이렇게 말하였고, 이렇게 침묵하였다. 나는 그 마을로부터 우리 마을로 되돌아왔다.'라고.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이전의 여러 존재 상태[전생]를 기억합니다. 즉 — 한 번의 생, 두 번의 생, 세 번의 생, 네 번의 생, 다섯 번의 생, 열 번의 생, 스무 번의 생, 서른 번의 생, 마흔 번의 생, 쉰 번의 생, 백 번의 생, 천 번의 생, 십만 번의 생, 세계가 줄어드는[진화] 여러 겁, 세계가 자라나는[퇴보] 여러 겁, 세계가 줄어들고 자라나는 여러 겁을 기억합니다. — ‘이러이러한 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이러이러한 곳에 태어났다. 그곳에서 나는 이런 이름이었고, 이런 종족이었고, 이런 용모였고, 이런 음식을 먹었고, 행복과 괴로움을 이렇게 경험했고, 수명의 한계는 이러했다. 나는 거기에서 죽어 여기에 태어났다.’라고. 이처럼 상태와 함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이전의 존재 상태를 기억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완전한 성취를 이루어 머뭅니다.
258.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satte passanti cavamāne upapajjamāne hīne paṇīte suvaṇṇe dubbaṇṇe sugate duggate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anti — ‘ime vata bhonto sattā kāyaduccaritena samannāgatā vacīduccaritena samannāgatā manoduccaritena samannāgatā ariyānaṃ upavādakā micchādiṭṭhikā micchādiṭṭhikammasamādānā, t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apāyaṃ duggatiṃ vinipātaṃ nirayaṃ upapannā; ime vā pana bhonto sattā kāyasucaritena samannāgatā vacīsucaritena samannāgatā manosucaritena samannāgatā ariyānaṃ anupavādakā sammādiṭṭhikā sammādiṭṭhikammasamādānā, te kāyassa bhedā paraṃ maraṇā sugatiṃ saggaṃ lokaṃ upapannā’ti. iti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satte passanti cavamāne upapajjamāne hīne paṇīte suvaṇṇe dubbaṇṇe sugate duggate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anti. seyyathāpi, udāyi, dve agārā sadvārā. tatra cakkhumā puriso majjhe ṭhito passeyya manusse gehaṃ pavisantepi nikkhamantepi anucaṅkamantepi anuvicarantepi;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dibbena cakkhunā visuddhena atikkantamānusakena satte passanti cavamāne upapajjamāne hīne paṇīte suvaṇṇe dubbaṇṇe sugate duggate yathākammūpage satte pajānanti ... pe ... tatra ca p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천안(天眼)]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고,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선처(善處)]에 가고 나쁜 곳[악처(惡處)]에 가는 것을 봅니다.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압니다. — ‘이들은 몸으로 나쁜 삶을 살고 말로 나쁜 삶을 살고 의(意)로 나쁜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고, 삿된 견해를 가졌고, 사견업(邪見業)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났다. 그러나 이들은 몸으로 좋은 삶을 살고 말로 좋은 삶을 살고 의로 좋은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지 않고, 바른 견해를 지니고, 정견업(正見業)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는 것을 본다.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등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압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문으로 연결된 두 집이 있습니다. 거기서 중간에 서 있는 눈 있는 사람이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 아래위로 걷고 돌아다니는 사람들을 볼 것입니다.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고,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것을 봅니다.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압니다. — ‘이들은 몸으로 나쁜 삶을 살고 말로 나쁜 삶을 살고 의로 나쁜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고, 삿된 견해를 가졌고, 사견업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났다. 그러나 이들은 몸으로 좋은 삶을 살고 말로 좋은 삶을 살고 의로 좋은 삶을 살고, 성자들을 비방하지 않고, 바른 견해를 지니고, 정견업을 지었다. 이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이렇게 그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중생들이 죽고 태어나는 것을 본다. 저열하고 뛰어나고, 잘생기고 못생기고, 좋은 곳에 가고 나쁜 곳에 가는 등 업에 따라서 가는 중생들을 분명히 압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완전한 성취를 이루어 머뭅니다.
259. “puna caparaṃ,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āsavānaṃ khayā anāsavaṃ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nti. seyyathāpi, udāyi, pabbatasaṅkhepe udakarahado accho vippasanno anāvilo, tattha cakkhumā puriso tīre ṭhito passeyya sippisambukampi sakkharakaṭhalampi macchagumbampi carantampi tiṭṭhantampi. tassa evamassa — ‘ayaṃ kho udakarahado accho vippasanno anāvilo, tatrime sippisambukāpi sakkharakaṭhalāpi macchagumbāpi carantipi tiṭṭhantipī’ti. evameva kho, udāyi, akkhātā mayā sāvakānaṃ paṭipadā, yathāpaṭipannā me sāvakā āsavānaṃ khayā anāsavaṃ cetovimuttiṃ paññāvimuttiṃ diṭṭheva dhamme sayaṃ abhiññā sacchikatvā upasampajja viharanti. tatra ca pana me sāvakā bahū abhiññāvosānapāramippattā viharanti. ayaṃ kho, udāyi, pañcamo dhammo yena mama sāvakā sakkaronti garuṃ karonti mānenti pūjenti, sakkatvā garuṃ katvā upanissāya viharanti.
다시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뭅니다. 예를 들면, 우다이여, 첩첩산중에 맑고 순수하고 고요한 호수가 있고, 거기서 눈 밝은 사람이 호숫가에 서서 진주조개, 자갈, 움직이거나 서 있는 고기 떼를 볼 것입니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들 것입니다. — ‘이 호수는 참 맑고 순수하고 고요하다. 거기에 이런 진주조개, 자갈, 움직이거나 서 있는 고기 떼가 있다.’라고. 이처럼, 우다이여, 내가 제자들에게 선언한 실천이 있습니다. 실천의 방법에 따라서 나의 제자들은 번뇌들이 부서졌기 때문에 번뇌가 없는 심해탈과 혜해탈을 지금여기에서 스스로 실답게 안 뒤에 실현하고 성취하여 머뭅니다. 그리고 거기서 나의 많은 제자는 실다운 지혜의 완전한 성취를 이루어 머뭅니다. 이것이, 우다이여, 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숭상하고, 예배하는 나의 제자들이 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면서 머무는 다섯 번째 법입니다.
“ime kho, udāyi, pañca dhammā yehi mamaṃ sāvakā sakkaronti garuṃ karonti mānenti pūjenti, sakkatvā garuṃ katvā upanissāya viharantī”ti.
우다이여, 이런 다섯 가지 법들이 있습니다. 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숭상하고, 예배하는 나의 제자들은 이런 다섯 가지 법 때문에 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의지하면서 머뭅니다.
idamavoca bhagavā. attamano sakuludāyī paribbājak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īti.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사꿀루다이 유행승은 즐거워하면서 세존의 말씀을 기뻐했다.
<우다이여> 가 맞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