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85. 보디 왕자 경4)[불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4개의 경](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
▣ 맛지마니까야 관통법회 - 85. 보디 왕자 경4)[불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4개의 경](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0613)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EYA1AGytXCQ
부처님의 깨달음의 과정과 제자들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과정을 설명하는 (MN 26-덫 경)/(MN 36-삿짜까 큰 경)/(MN 85-보디 왕자 경)/(MN 100-상가라와 경)의 네 개의 경을 포괄하여 정리한 개요로써 이 주제의 공부 과정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이 과정을 정리한 책은 https://cafe.naver.com/happybupdang/14255에 첨부하였습니다.
【개요】
Ⅰ. 4개의 경의 구조 분석
1. 주제
2. 깨달음의 과정에 대한 서술의 차이
Ⅱ. 부처님의 깨달음의 과정의 분석
1. 출가의 목적 ― 「ariyā pariyesanā 성스러운 구함 = kiṃkusalagavesī 무엇이 유익(有益)인지 구함」
2. 깨달음의 과정 ― 「이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서 스스로 법을 실답게 안 뒤에, 지금여기에서 실다운 지혜로 성취의 끝에 닿는 과정」
Ⅲ. 제자들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과정의 분석 ― 「(지금여기에서 실다운 지혜로 성취의 끝에 닿은 뒤) 범행의 근본을 공언하는 과정」
1. 부처님이 성취한 법 ― 「atakkāvacaro ― takka[애(愛)의 형성 과정]의 영역을 넘어섬」
2. 범천(梵天)의 권청(勸請)
3. 아지와까인 우빠까를 만난 일화
4. 전법륜(轉法輪) ― 함께하는 다섯 비구에게 법륜(法輪)을 굴림
Ⅳ. 부가된 주제들
[1] (MN 85-보디 왕자 경) ― 부처님을 따라 배울 때 깨달음에 필요한 시간
[2] (MN 26-덫 경) ― 성스러운 침묵 → 「비구들이여, 그대들이 함께 모이면 두 가지 할 일이 있으니, 법담(法談)이거나 성스러운 침묵이다.」
[3] (MN 36-삿짜까 큰 경) ― 신(身)을 닦음과 심(心)을 닦음
[4] (MN 100-상가라와 경) ― 신(神)은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