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맛지마 니까야 > 85.bodhirājakumāra
bodhirājakumārasuttaṃ (MN 85-보디 왕자 경) 329-331 ㅡ 3. 소유의 비유
329. “so kho ahaṃ, rājakumāra, kiṃkusalagavesī anuttaraṃ santivarapadaṃ pariyesamāno, magadhesu anupubbena cārikaṃ caramāno, yena uruvelā senānigamo tadavasariṃ. tatthaddasaṃ ramaṇīyaṃ bhūmibhāgaṃ, pāsādikañca vanasaṇḍaṃ, nadīñca sandantiṃ setakaṃ supatitthaṃ, ramaṇīyaṃ samantā ca gocaragāmaṃ. tassa mayhaṃ, rājakumāra, etadahosi — ‘ramaṇīyo vata, bho, bhūmibhāgo, pāsādiko ca vanasaṇḍo, nadiñca sandantiṃ setakā supatitthā, ramaṇīyā samantā ca gocaragāmo. alaṃ vatidaṃ kulaputtassa padhānatthikassa padhānāyā’ti. so kho ahaṃ, rājakumāra, tattheva nisīdiṃ — ‘alamidaṃ padhānāyā’ti.』 【C】 『apissu maṃ, rājakumāra, tisso upamā paṭibhaṃsu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왕자여, 그렇게 무엇이 유익(有益)인지를 구하는 나는 위없이 평화롭고 고귀한 경지를 찾아 마가다에서 차례로 유행하면서 우루웰라의 장군촌에 이르렀다. 그곳에서 마음에 드는 땅과 만족스런 숲과 투명하게 흐르는 강과 튼튼한 강둑과 주변 일대의 마음에 드는 탁발할 수 있는 마을을 보았다. 왕자여, 그런 내게 이런 생각이 들었다. — ‘오! 마음에 드는 땅과 만족스런 숲과 투명하게 흐르는 강과 튼튼한 강둑과 주변 일대의 마음에 드는 탁발할 수 있는 마을이 있다. 참으로 이곳은 정진을 원하는 좋은 가문의 아들들이 정진하기에 충분하다.’라고. 그런 나는, 왕자여, ‘이곳은 정진하기에 충분하다.’라고 하면서 거기에 앉았다.』 【C】 『왕자여, 나에게 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세 가지 비유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seyyathāpi, rājakumāra, allaṃ kaṭṭhaṃ sasnehaṃ udake nikkhittaṃ. atha puriso āgaccheyya uttarāraṇiṃ ādāya — ‘aggiṃ abhinibbattessāmi, tejo pātukarissāmī’ti. taṃ kiṃ maññasi, rājakumāra, api nu so puriso amuṃ allaṃ kaṭṭhaṃ sasnehaṃ udake nikkhittaṃ uttarāraṇiṃ ādāya abhimanthento aggiṃ abhinibbatteyya, tejo pātukareyyā”ti? “no hidaṃ, bhante. taṃ kissa hetu? aduñhi, bhante, allaṃ kaṭṭhaṃ sasnehaṃ tañca pana udake nikkhittaṃ, yāvadeva ca pana so puriso kilamathassa vighātassa bhāgī assā”ti. “evameva kho, rājakumāra, ye hi keci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kāyena ceva cittena ca kāmehi avūpakaṭṭhā viharanti, yo ca nesaṃ kāmesu kāmacchando kāmasneho kāmamucchā kāmapipāsā kāmapariḷāho so ca ajjhattaṃ na suppahīno hoti, na suppaṭippassaddho. opakkamikā cepi te bhonto samaṇabrāhmaṇā dukkhā tibbā kharā kaṭukā vedanā vedayanti, abhabbāva te ñāṇāya dassanāya anuttarāya sambodhāya. no cepi te bhonto samaṇabrāhmaṇā opakkamikā dukkhā tibbā kharā kaṭukā vedanā vedayanti, abhabbāva te ñāṇāya dassanāya anuttarāya sambodhāya. ayaṃ kho maṃ, rājakumāra, paṭhamā upamā paṭibhāsi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예를 들면, 왕자여, 물 위에 놓여있는 젖고 수액이 있는 나무토막이 있다. 그때 어떤 사람이 ‘불을 피워야겠다. 열을 일으켜야겠다.’라면서 부시 막대를 가지고 올 것이다. 왕자여,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물 위에 놓여있는 젖고 수액이 있는 그런 나무토막에 부시 막대를 가지고 비비는 그 사람은 불을 피우고 열을 일으킬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 원인은 무엇입니까? 대덕이시여, 그 젖고 수액이 있는 나무토막은 또한 물 위에 놓여있어서 불을 피우고 열을 일으키기까지에는 그 사람이 지치고 짜증 날 것입니다.” “이처럼, 왕자여, 만약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들이 몸으로도 심(心)으로도 소유의 삶에서 떠나지 못한 채 머물고, 또한 소유의 삶에서 소유의 관심, 소유의 갈망, 소유의 열중, 소유의 열기를 안으로 잘 버리지 못하고 잘 가라앉히지 못한다. 만약 그들 사문-바라문 존자들이 고행에 의해 야기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을 경험하더라도 그들은 지(知)와 견(見)과 위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만약 그들 사문-바라문 존자들이 고행에 의해 야기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그들은 지와 견과 위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 이것이, 왕자여, 나에게 자연스럽게 떠오른, 전에 들어보지 못한 첫 번째 비유이다.
• opakkamika (adj.) caused by some contrivance. (adj.) → 고행(苦行)에 의해 야기되는; [fr. upakkama] characterising a sensation of pain: attacking suddenly, spasmodic, acute; always in connection with ābādha or vedanā
330. “aparāpi kho maṃ, rājakumāra, dutiyā upamā paṭibhāsi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seyyathāpi, rājakumāra, allaṃ kaṭṭhaṃ sasnehaṃ ārakā udakā thale nikkhittaṃ. atha puriso āgaccheyya uttarāraṇiṃ ādāya — ‘aggiṃ abhinibbattessāmi, tejo pātukarissāmī’ti. taṃ kiṃ maññasi, rājakumāra, api nu so puriso amuṃ allaṃ kaṭṭhaṃ sasnehaṃ ārakā udakā thale nikkhittaṃ uttarāraṇiṃ ādāya abhimanthento aggiṃ abhinibbatteyya, tejo pātukareyyā”ti? “no hidaṃ, bhante. taṃ kissa hetu? aduñhi, bhante, allaṃ kaṭṭhaṃ sasnehaṃ kiñcāpi ārakā udakā thale nikkhittaṃ, yāvadeva ca pana so puriso kilamathassa vighātassa bhāgī assā”ti. “evameva kho, rājakumāra, ye hi keci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kāyena ceva cittena ca kāmehi vūpakaṭṭhā viharanti, yo ca nesaṃ kāmesu kāmacchando kāmasneho kāmamucchā kāmapipāsā kāmapariḷāho so ca ajjhattaṃ na suppahīno hoti, na suppaṭippassaddho. opakkamikā cepi te bhonto samaṇabrāhmaṇā dukkhā tibbā kharā kaṭukā vedanā vedayanti, abhabbāva te ñāṇāya dassanāya anuttarāya sambodhāya. no cepi te bhonto samaṇabrāhmaṇā opakkamikā dukkhā tibbā kharā kaṭukā vedanā vedayanti, abhabbāva te ñāṇāya dassanāya anuttarāya sambodhāya. ayaṃ kho maṃ, rājakumāra, dutiyā upamā paṭibhāsi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다시, 왕자여, 전에 들어보지 못한 두 번째 비유가 뒤따라 나에게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예를 들면, 왕자여, 물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 놓여있는 젖고 수액이 있는 나무토막이 있다. 그때 어떤 사람이 ‘불을 피워야겠다. 열을 일으켜야겠다.’라면서 부시 막대를 가지고 올 것이다. 왕자여,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런 물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 놓여있는 젖고 수액이 있는 나무토막에 부시 막대를 가지고 비비는 그 사람은 불을 피우고 열을 일으킬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대덕이시여. 그 원인은 무엇입니까? 대덕이시여, 아무리 물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 놓여있을지라도 그 젖고 수액이 있는 나무토막은 불을 피우고 열을 일으키기까지에는 그 사람이 지치고 짜증 날 것입니다.” “이처럼, 왕자여, 만약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들이 몸으로도 심(心)으로도 소유의 삶에서 떠나 머물지만, 소유의 삶에서 소유의 관심, 소유의 갈망, 소유의 열중, 소유의 열기를 안으로 잘 버리지 못하고 잘 가라앉히지 못한다. 만약 그들 사문-바라문 존자들이 고행에 의해 야기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을 경험하더라도 그들은 지와 견과 위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만약 그들 사문-바라문 존자들이 고행에 의해 야기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그들은 지와 견과 위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 이것이, 왕자여, 나에게 자연스럽게 떠오른, 전에 들어보지 못한 두 번째 비유이다.
331. “aparāpi kho maṃ, rājakumāra, tatiyā upamā paṭibhāsi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seyyathāpi, rājakumāra, sukkhaṃ kaṭṭhaṃ koḷāpaṃ ārakā udakā thale nikkhittaṃ. atha puriso āgaccheyya uttarāraṇiṃ ādāya — ‘aggiṃ abhinibbattessāmi, tejo pātukarissāmī’ti. taṃ kiṃ maññasi, rājakumāra, api nu so puriso amuṃ sukkhaṃ kaṭṭhaṃ koḷāpaṃ ārakā udakā thale nikkhittaṃ uttarāraṇiṃ ādāya abhimanthento aggiṃ abhinibbatteyya, tejo pātukareyyā”ti? “evaṃ, bhante”. taṃ kissa hetu? aduñhi, bhante, sukkhaṃ kaṭṭhaṃ koḷāpaṃ, tañca pana ārakā udakā thale nikkhittan”ti. “evameva kho, rājakumāra, ye hi keci samaṇā vā brāhmaṇā vā kāyena ceva cittena ca kāmehi vūpakaṭṭhā viharanti, yo ca nesaṃ kāmesu kāmacchando kāmasneho kāmamucchā kāmapipāsā kāmapariḷāho so ca ajjhattaṃ suppahīno hoti suppaṭippassaddho. opakkamikā cepi te bhonto samaṇabrāhmaṇā dukkhā tibbā kharā kaṭukā vedanā vedayanti, bhabbāva te ñāṇāya dassanāya anuttarāya sambodhāya. no cepi te bhonto samaṇabrāhmaṇā opakkamikā dukkhā tibbā kharā kaṭukā vedanā vedayanti, bhabbāva te ñāṇāya dassanāya anuttarāya sambodhāya. ayaṃ kho maṃ, rājakumāra, tatiyā upamā paṭibhāsi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imā kho maṃ, rājakumāra, tisso upamā paṭibhaṃsu anacchariyā pubbe assutapubbā.
다시, 왕자여, 전에 들어보지 못한 세 번째 비유가 뒤따라 나에게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예를 들면, 왕자여, 물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 놓여있는 마르고 수액이 없는 나무토막이 있다. 그때 어떤 사람이 ‘불을 피워야겠다. 열을 일으켜야겠다.’라면서 부시 막대를 가지고 올 것이다. 왕자여,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런 물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 놓여있는 마르고 수액이 없는 나무토막에 부시 막대를 가지고 비비는 그 사람은 불을 피우고 열을 일으킬 수 있겠는가?” “그렇습니다, 대덕이시여. 그 원인은 무엇입니까? 대덕이시여, 그 마르고 수액이 없는 나무토막은 또한 물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 놓여있습니다.” “이처럼, 왕자여, 만약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들이 몸으로도 심(心)으로도 소유의 삶에서 떠나 머물고 또한 소유의 삶에서 소유의 관심, 소유의 갈망, 소유의 열중, 소유의 열기를 안으로 잘 버리고 잘 가라앉힌다. 만약 그들 사문-바라문 존자들이 고행에 의해 야기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을 경험하더라도 그들은 지와 견과 위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만약 그들 사문-바라문 존자들이 고행에 의해 야기되는 괴롭고 예리하고 거칠고 심한 느낌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그들은 지와 견과 위없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왕자여, 나에게 자연스럽게 떠오른, 전에 들어보지 못한 세 번째 비유이다. 왕자여, 나에게 전에 들어보지 못한 이런 세 가지 비유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Comments
대원행
2022.04.23 15:39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9_05 참조 (MN 85. 보디왕자 경 관련 페이지)
대원행
2022.04.24 20:40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6 참조 (MN 36. 삿짜까 큰 경 관련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