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93. 앗살라야나 경[네 계급의 청정과 바라문의 주장](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510)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93. 앗살라야나 경[네 계급의 청정과 바라문의 주장](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30510)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M2Wv8ZL-kUk
부처님은 네 계급의 청정(cātuvaṇṇiṃ suddhiṃ-차별 부정)을 선언합니다. 이 주제를 토론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선정된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가 부처님과의 토론에 나서는데, 바라문들의 대응 논리는 「바라문 계급만이 으뜸이고 다른 계급은 저열하다. 바라문 계급만이 선(善)이고 다른 계급은 악(惡)이다. 바라문만이 깨끗하고 바라문 아닌 자들은 깨끗하지 않다. 바라문만이 범천(梵天)의 정통한 아들이고, 입에서 태어났고, 범천에 의해 생겨났고, 범천에 의해 창조되었고, 범천의 후계자이다.」라는 일방적인 주장입니다. 부처님은 네 계급의 차별 없음을 열 가지 방법으로 설명하여논파하고,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는 귀의하여 재가 신자가 됩니다.
• 네 계급의 청정(cātuvaṇṇiṃ suddhiṃ)을 선언하는 부처님과 이 주제를 토론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가 추천됨
•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는 법을 말하는 자인 부처님과의 토론이 어렵다고 사양하지만 바라문들의 반복된 요청에 부처님과의 토론에 나섬
1. 네 계급의 청정에 대한 바라문들의 대응 논리 ― 「바라문 계급만이 으뜸이고 다른 계급은 저열하다. 바라문 계급만이 선(善)이고 다른 계급은 악(惡)이다. 바라문만이 깨끗하고 바라문 아닌 자들은 깨끗하지 않다. 바라문만이 범천(梵天)의 정통한 아들이고, 입에서 태어났고, 범천에 의해 생겨났고, 범천에 의해 창조되었고, 범천의 후계자이다.」
; 용례
• (DN 27.1-처음에 대한 앎 경, 와셋타와 바라드와자) ― 바라문으로서 출가한 와셋타와 바라드와자에 대한 다른 바라문들의 비난 → 옛날을 기억하지 못하는 바라문들은 그렇게 말하는 것 → 부처님이 옛날 즉 처음에 대한 앎을 설명함
• (MN 84-마두라 경) ― 단지 말로만 있는 주장 → 이 네 계급은 대등함(ime cattāro vaṇṇā samasamā honti) → 이것에 대해 네 가지 방법으로 알아야 함 → 이 네 계급은 대등해서 그들에게 어떤 차이점도 볼 수 없음
• (MN 93-앗살라야나 경) ― 네 계급의 청정(cātuvaṇṇiṃ suddhiṃ)
▣ 주제의 확장 ― (81) 「바라문 계급만이 으뜸이고 다른 계급은 저열하다.」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229
2. 바라문들의 대응 논리를 부처님이 논파함
1) 바라문들의 바라문 아내들은 월경도 하고, 임신도 하고, 출산도 하고, 젖도 빨게 한다. 그런데 자궁에서 생겨난 그 바라문들이 이렇게 말함. ― (DN 27.1-처음에 대한 앎 경, 와셋타와 바라드와자)/(MN 93-앗살라야나 경)
2) 요나와 깜보자 그리고 다른 먼 지방에는 주인과 하인의 두 계급만이 있고, 주인이었다가 하인이 되고, 하인이었다가 주인이 됨 → 바라문들에게 어떤 힘이 있고, 이렇게 말할 때 편안한 자는 누구입니까?
3) 십악업(十惡業)을 행하는 자는 누구라도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상실과 비탄의 상태, 비참한 존재, 벌 받는 상태, 지옥에 태어날 것 → 바라문들에게 어떤 힘이 있고, 이렇게 말할 때 편안한 자는 누구입니까?
4) 십선업(十善業)을 행하는 자는 누구라도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하늘 세상에 태어날 것 → 바라문들에게 어떤 힘이 있고, 이렇게 말할 때 편안한 자는 누구입니까?
5) 네 계급의 누구라도 이 자리에서 원망 없고 거슬림 없는 자심(慈心)을 닦는 것이 가능함 → 바라문들에게 어떤 힘이 있고, 이렇게 말할 때 편안한 자는 누구입니까?
6) 네 계급의 누구라도 때밀이와 목욕 가루를 가지고 강에 가서 먼지와 때를 씻는 것이 가능함 → 바라문들에게 어떤 힘이 있고, 이렇게 말할 때 편안한 자는 누구입니까?
7) 모든 불도 화염이 있고, 색깔이 있고, 밝게 빛남. 모든 불에 의해서도 불의 역할을 할 수 있음 → 바라문들에게 어떤 힘이 있고, 이렇게 말할 때 편안한 자는 누구입니까?
8) 끄샤뜨리야 청년-처녀와 바라문 처녀-청년이 함께 살아 낳은 자식은 어머니와도 같고 아버지와도 같아서 끄샤뜨리야라고 불릴 수도 있고 바라문이라고 불릴 수도 있음. 그러나 암말과 수당나귀의 교배로 태어나는 망아지는 노새일 뿐 말도 당나귀도 아님 → 경우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음
9) 어머니가 같은 형제인 두 명의 젊은 바라문이 한 명은 베다를 공부하고 실천하고, 한 명은 베다를 공부하지 않고 실천하지 않을 때 베다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자에게 음식을 먼저 공양할 것 → 베다를 공부하지 않고 실천하지 않는 자에게 주어진 것이 어떻게 큰 결실이 있겠습니까?
10) 어머니가 같은 형제인 두 명의 젊은 바라문이 한 명은 베다를 공부하고 실천하지만 계를 경시하고 나쁜 행위를 하고, 한 명은 베다를 공부하지 않고 실천하지 않지만 계를 중시하고 좋은 행위를 할 때 베다를 공부하지 않고 실천하지 않지만 계를 중시하고 좋은 행위를 하는 자에게 음식을 먼저 공양할 것 → 계를 경시하고 나쁜 행위를 하는 자에게 주어진 것이 어떻게 큰 결실이 있겠습니까?
⇒ “앗살라야나여, 처음에 그대는 태어남으로 갔습니다). 태어남으로 간 뒤에 만뜨라로 갔고(베다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자), 만뜨리로 간 뒤에 종교적 삶으로 갔고(계를 중시하고 좋은 행위를 하는 자), 종교적 삶으로 간 뒤에 내가 선언한 네 계급의 청정으로 돌아왔습니다.”
; (1~7) 바라문 계급 ― 태어남
; (8) 노새 ― 태어남이 모든 것을 결정하지 않음
; (9) 베다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자 ― 만뜨라
; (10) 계를 중시하고 좋은 행위를 하는 자 ― 종교적인 삶(tapa)
⇒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는 침묵하고, 눈을 내리깔고, 어깨를 늘어뜨리고, 고개를 숙이고, 슬픔을 억누르면서, 당황스럽게 앉아있음
3. 일곱 명의 바라문 선인들과 아시따 데왈라 선인의 일화 ― 아시따 데왈라 선인은 바라문 계급만이 으뜸이라는 견해를 가진 일곱 명의 바라문 선인들을 교차하여 질문하고, 이유를 묻고, 함께 대화함으로써 그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자신의 태어남을 설명할 수 없음을 일깨움
; ‘어머니는 오직 바라문에게만 갔다. 바라문 아닌 사람에게는 가지 않았다.’라고 알지 못함
; ‘어머니의 일곱 번째 선대까지의 어머니는 오직 바라문에게만 갔다. 바라문 아닌 사람에게는 가지 않았다.’라고 알지 못함
; ‘아버지는 오직 바라문 여인에게만 갔다. 바라문 아닌 여인에게는 가지 않았다.’라고 알지 못함
; ‘아버지의 일곱 번째 선대까지의 아버지는 오직 바라문 여인에게만 갔다. 바라문 아닌 여인에게는 가지 않았다.’라고 알지 못함
; ‘어떤 방법으로 태에 듦이 있는지 앎 ― ①어머니와 아버지의 결합이 있고, ②어머니가 월경하고, ③간답바가 나타남 → (MN 38-애(愛)의부서짐의 큰 경)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4_08&wr_id=6
4. 일곱 명의 바라문 선인들과 아시따 데왈라 선인의 일화에서도 그랬으니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가 자신의 태어남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함 → 일곱 명의 바라문 선인들을 섬기기 위해 국자를 쥐었던 뿐나만도 못함
5. 젊은 바라문 앗살라야나가 귀의하여 재가 신자가 됨